• 제목/요약/키워드: Ethylene-vinyl acetate foam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Ethylene Vinyl Acetate / Styrene Vinyl Isoprene Styrene Triblock Copolymer 블렌드의 발포특성 (Foaming Characteristics of Ethylene Vinyl Acetate/Styrene Vinyl Isoprene Styrene Triblock Copolymer Blend)

  • 허재영;김진태;윤정식;유종선;김원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2호
    • /
    • pp.106-114
    • /
    • 2000
  • 상온에서의 충격 흡수특성과 compression set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와 styrene vinyl isoprene styrene triblock copolymer (SVIS)를 블렌드하여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발포제 및 EVA/SVIS 블렌드비가 발포배율 및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VIS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블렌드의 점도는 증가하였고 가교 속도는 감소하였으며, 발포배율은 감소하여 비중은 증가하였다. 발포제 함량 증가, 즉 발포배율 증가에 따른 반발탄성은 변화가 없는 반면에, SVIS 함량 증가에 따라 발포체의 상온에서의 tan ${\delta}$ 값은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반발 탄성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EVA/SVIS 블렌드 발포체에서 SVIS 함량 증가에 따라 가교밀도와 비중이 증가하므로 compression set 값도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Ethylene Vinyl Acetate / Ethylene-1-Butene Copolymer 블렌드 발포체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Ethylene Vinyl Acetate/Ethylene-1-Butene Copolymer Blend Based Foam)

  • 차길수;김진태;윤정식;김원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6권1호
    • /
    • pp.14-21
    • /
    • 2001
  • 신발 중창용 소재인 ethylene vinyl acetate (EVA) 발포체의 인장강도, 반발탄성, 영구압축줄음율 (compression set)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ethylene-1-butene copolymer (EtBC)를 EVA에 블렌드하여 가교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발포체를 제조한 후 셀의 구조적 특성 및 발포체의 기계적 물성을 조사하였다. EVA/EtBC 블렌드에서, EtBC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블렌드의 점도 및 가교 밀도는 증가하여 oscillating disk rheometer (ODR)에서 높은 torque 값을 나타내었으며 발포배율은 감소하였다. 발포제 함량의 증가에 따라서 발포배율 및 셀의 크기는 증가하였다. 발포체를 동일 비중에서 비교하였을 경우, EtBC 함량이 증가할수록 EVA/EtBC 발포체의 인장강도, 영구압축줄음율, 반발탄성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해졌다.

  • PDF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발포체의 발포특성 및 물리적 특성 (Foaming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Properties of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ams)

  • 김진태;손우정;안병현;김원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6권1호
    • /
    • pp.52-60
    • /
    • 2001
  • 발포체의 물성은 발포체의 밀도, 사용된 폴리머의 기계적 물성과 열린 셀(open cell) 함량, 셀 크기, 셀 크기 분포, 셀 형태, 격벽의 두께 등을 포함하는 셀 구조에 의존하며 이러한 발포체의 밀도는 사용된 폴리머의 종류와 가교제의 농도, 발포제의 농도 그리고 가공 기술 및가공 조건 같은 다양한 원료물질과 가교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Ethylene vinyl acetate coplymer (EVA) 발포체는 가교 발포체로서 가교속도와 발포제의 분해속도에 의해 발포특성에 영향을 받으며 이에 따라 발포체 물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가공 온도인 $155^{\circ}C$에서의 시간에 따른 발포제의 분해 속도 차이와 이에 따른 발포특성과 발포체의 물성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발포제 분해 속도가 보다 느린 경우, 발포제 분해속도가 빠른 경우와 비교하여 낮은 밀도를 보여주었으며, 우수한 충격흡수성을 나타내었고 발포체의 셀 크기는 보다 균일하였다.

  • PDF

규조토를 함유한 올레핀계 폼의 기계적 물성 및 수분 제어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Moisture Control Performance of Diatomite filled Olefin Foams)

  • 김재양;이지은;성동기
    • 접착 및 계면
    • /
    • 제22권1호
    • /
    • pp.22-28
    • /
    • 2021
  • 여러 방면에서 사용되는 규조토를 이용한 제품은 수분흡수에 최적화되어 있지만 고경도, 가루날림, 거친 표면 느낌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경도가 낮고 탄성이 우수한 EVA (Ethylene vinyl acetate)를 이용하여 과량의 무기물을 첨가하여 수분 흡수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저경도, 고탄성을 지니는 올레핀계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발포체의 수분 흡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규조토를 첨가하였으며, 수분 흡수/건조 특성은 규조토의 함유량에 따라 약 10~15%의 수분 흡수율과 10~70%의 수분 건조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규조토가 첨가된 수분흡수형 올레핀계 발포체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발포체에 첨가된 규조토는 그 미세구조와 특징으로 인해 수분 흡수와 발산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인솔 재질별 진동 및 소음 평가 (Analyzing the Effect of Insole Materials on Vibration and Noise Reduction between Floors)

  • 민승남;이희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10-122
    • /
    • 2023
  • The COVID-19 pandemic increased people's time at home and caused an 80% increase in noise disputes between flo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uitable materials for making indoor shoes (insoles) to minimize noise between floors. Subjects without back pain and leg-related disease (e.g. arthritis, etc.) from three different age groups (childhood, adolescence, and adulthood)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Five polymer insole materials were considered: Chloroprene Rubber (CR foa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foam), Natural Latex foam, Ethylene Vinyl Acetate (EVA foam), and Polyurethane (PU foam). From these materials, 20 combinations were prepared and randomly tested for noise and vibration.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oise and vibration levels based on the type of material used and the age of the subject. Nevertheless, all materials under consideration successfully reduced noise and vibration; in particular, type A-C greatly decreased. The CR foam material was especially effective at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p<.01). This study suggests that adding insoles into socks that children wear at home could reduce noise vibration and disputes between floors.

방탄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 평판의 피탄 해석 및 적층 배열 연구 (Ballistic Analysis and Stacking Sequence of Laminate Plate for Enhancing Bulletproof Performance)

  • 김기현;김민규;김민제;신명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5호
    • /
    • pp.331-338
    • /
    • 2023
  • 현대의 방탄 장갑은 우수한 관통 저항성을 갖추어야할 뿐만 아니라 군인과 군용차량의 기동성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경량화가 중요한 개발 요소가 되었다. 이종 적층 평판 구조의 방탄 장갑의 방탄 성능은 동일 중량 대비 구성 재료의 배열에 따라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케블라,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그리고 에바 폼으로 구성된 방탄 장갑의 적층 배열에 따른 방탄 성능을 분석한다. 구성 재료의 두께가 5mm와 6.5mm인 두 가지 경우에서 6가지 적층 배열에 대하여 7.62 × 51mm NATO 탄환의 M80 탄을 856m/s의 속도로 충돌시키는 피탄 해석을 수행하였다. 방탄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종 적층 평판을 관통한 발사체의 잔류 속도와 잔류 에너지를 측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케블라,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에바 폼의 배열 순서를 갖는 적층 구조가 동일 중량에 대해 가장 우수한 방탄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Characteristics of Complex Foaming Composites' Normal Pressure Foaming of Using Rubber and Bio-Degradable Materials

  • Dong Hun Han;Young Min Kim;Dan Bi Lee;Kyu Hwan Lee;Han-Seong Kim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323-329
    • /
    • 2023
  • There are many types of foam molding method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are the pressure foaming method, in which foam resin is mixed with a foaming agent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the normal pressure foaming method, which foams at high temperature without pressure. The polymer resins used for foaming have different viscosities. For foaming under normal pressure, they need to be designed and analyzed for optimal foaming conditions, to obtain resins with low melt-viscosity or a narrow optimal viscosity rang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hanges in viscosity, molding temperature, and cross-link foaming conditions aff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lded foam, prepared by blending rubber polymer with biodegradable resin. The morphologies of cross sections and the cell structures of the normal pressure foam were investigated by SEM analysis. Properties were also studied according to cross-link/foaming conditions and torque.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foaming characteristics was studied by analyzing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hich are mechanical properties of foaming composites.

폐폴리에틸린/폐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블렌드 발포체의 난연 및 발포 특성에 관한 연구 (Flame Retardancy and Foaming Properties of the Waste-Polyethylene(W-PE)/Waste-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W-EVA) Blend Foams)

  • 문성철;조병욱;최재곤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8권4호
    • /
    • pp.316-32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폐폴리에틸렌 (W-PE)/폐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W-EVA) 블렌드계에 무기계 및 인계 난연제 등을 첨가하여 난연폴리올레핀 발포체를 제조하고, 수지대비 난연제, 특히 무기계 난연제의 종류 및 함량 변화에 따른 발포 및 난연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W-PE/W-EVA 블렌드계의 조성비가 50/50 (w/w)이고, 수지 대비 난연제의 함량이 220phr의 범위 내에서 가교반응을 쉽게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폐고분자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가교 및 발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V-PE 난연 발포체와 비교해 비교적 균일한 독립기포를 갖고, 발포율이 오히려 증가 (100 % 이상)함을 알 수 있었으며, 난연특성 (limiting oxygen index; LOI, heat release rate; HRR, total heat release; THR, effective heat of combustion; EHC등) 또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난연제의 종류 및 함량이 발포 및 난연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큼을, 그리고 무기계 난연제의 난연 및 연기발생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무기계 난연제 중 수산화알루미늄은 LOI 상승에, 수산화마그네슘은 발포율 상승 및 HRR, COY를 낮추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을 동시에 사용했을 때 상호작용에 따른 시너지 효과로 난연성을 보다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3D 프린팅을 활용한 재료조합에 따른 온습도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by Material Combination Using 3D Printing)

  • 이희란;김소영;이예진;이옥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7-137
    • /
    • 2022
  • Recently, various clothing items are being developed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but comfort has become an issue while wearing them for a long time.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on how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devices developed by 3D printing change depending on the material combination. Five types of material combinations (EVA foam, TPU density 10%, TPU density 30%, EVA foam+TPU density 10%, and EVA foam+TPU density 30%) were selected as variables,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wo different cases with and without a cover. All the ten types of samples were placed on the hot plate set at 36℃, and the surface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measured at three different points for 10 minutes. As a result, the case with only TPU showed the greatest temperature change while the case with 100% EVA foam showed the least temperature change. The humidity of the surface layer gradually decreased with time for 100% EVA foam. For the case with TPU materials, the moisture was transferred to the surface layer at first, thereby increasing the humidity but then dropped significantly. Meanwhile, the cases with the cover on showed similar tendencies of change in both temperature and humidity where the overall temperature and humidity delivery were slow.

Cure Characteristics of Foaming EVA Compounds: Influence of EVA Types and Cure Systems

  • Choi, Sung-Seen;Bae, Jong Woo;Kim, Jung-Soo;Han, Dong-Hu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1권3호
    • /
    • pp.212-217
    • /
    • 2016
  • Influence of poly(ethylene-co-vinyl acetate) (EVA) types and cure systems on cure characteristics of foaming EVA compounds were investigated. Three kind EVAs with different VA contents were employed. Influence of triallyl cyanurate (TAC) and dicumylperoxide (DCP) content on the cure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e minimum torque ($T_{min}$) and delta torque (${\Delta}T$) decreased as the VA content increased. The ${\Delta}T$ was increased by adding TAC and by increasing the DCP content. For the foaming EVA compounds without TAC, the cure times such as the minimum cure time ($t_{min}$), scorch time ($t_2$), and optimal cure time ($t_{90}$) did not show a specific trend according to the DCP contents. For the foaming EVA compounds containing TAC, the cure times decreased as the DCP content increas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efficienct DCP/TAC ratio for improvement of the crosslink density was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