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cuation equipment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7초

공동주택의 화재위험성 분석 및 피난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16층 이하의 기존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Fire Risk by Fire and the Improvement of Evacuation Equipment for Apartment (About Existing 16 or Fewer Storey Apartment))

  • 민세홍;이재문;사재천;남중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27-13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존 16층 이하 공동주택의 화재취약성 및 피난시설에 대한 문제점을 평가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에서 화재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주방화재를 가정하여 CFD 모델링을 이용하여 화재위험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방에서 발생한 화재는 거실로 연소 확대되면서 빠르게 다른 침실로 연기가 확대되었으며, 화재발생 세대 출입구에서 90초에 열에 의한 영향 온도인 $60^{\circ}C$를 넘는 것으로 분석되어 초기에 화재발생을 인지하고 피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피난출구가 막혀 큰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기존 피난시설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된 피난대피시설의 경우 발코니에 설치되어 있다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온도 및 복사열유속에 의한 안전성 평가 결과 세대 내의 다른 지점에 비해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국의 대피시설 실태조사를 통한 민방위 대피시설 표준 정립 모델 구축 연구 (A Study on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 박남희;여욱현;김태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56-70
    • /
    • 2012
  • 현재 우리나라에 설치되어 있는 민방위 대피시설을 조사하여 그동안 시설 지정에 치우쳐왔던 민방위 대피시설 운영 실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 민방위 대피시설에 대한 시설설비, 관리 등의 조사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해 민방위대피시설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방위대피시설의 표준 정립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방위 대피시설은 지역별로는 서울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고, 시설별로는 아파트주차장의 빈도가 가장 높다. 둘째, 민방위 대피시설이 주기적으로 점검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설별 점검회수가 일정하지 않고 체계적인 점검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셋째, 유선전화, CCTV, 이동통신설비, 방송설비 등 통신시설이 없는 대피시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상 상황시 외부와의 연락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넷째, 종합적으로 보면 현재 수도권 및 대도시 중심으로 2000년 이전에 건축되어 비교적 노후한 대피시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정립모델안은 위치, 규모, 수용인원, 인접시설과의 거리, 독립공간 유무, 개구부, 계단, 진입방식, 시설관리, 안내시설, 전기시설, 통신시설, 소방시설, 냉난방시설, 급배수시설, 위생시설 측면에서 필수 사항을 정리하였다.

Evacuation Safety Evaluation of High School according to Hydrogen Fluoride Leakage

  • Boohyun Baek;Sanghun Han;Hasung K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2호
    • /
    • pp.255-266
    • /
    • 2024
  • The purpose is to evaluate evacuation safety by simulating the toxic effects of hydrogen fluoride leaks in areas surrounding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areas that do not satisfy evacuation safety. For human casualties caused by hydrogen fluoride leakage accidents, 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 is calculated by the toxic effects quantified with the Areal Locations of Hazardous Atmospheres (ALOHA), an off-site consequence assessment program. The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 is calculated through Pathfinder, an evacuation simulation program. Evacuation safety is assessed by comparing ASET and RSET. The ALOHA program was used to evaluate the time to reach AEGL-2 concentration in 12 scenarios. The Pathfinder program was used to assess the total evacuation time of the high school among specific fire-fighting objects. Of the 12 accident scenarios, ASET was larger than RSET in the worst-case scenarios 1 and 9. For the remaining 10 accident scenarios, the ASET is smaller than the RSET, so we found that evacuation safety is not guaranteed, and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Since evacuation safety is not satisfactory, we proposed to set up an evacuation area equipped with positive pressure equipment and air respirators inside specific fire-fighting objects such as the high school.

환경에너지 시설내 화재 및 피난해석 (Fire and Evacuation Analysis in Environmental Energy Facilities)

  • 전용한;김종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84-9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환경에너지 시설내 전자기기실 내부의 화재 및 피난을 수치적 해석 방법을 통해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화재 시뮬레이션은 FDS을 이용하여 가시거리, 온도분포, CO의 농도분포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피난시뮬레이션인 Pathfinde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재실자들의 피난시간을 계산하였으며 피난안전성 평가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전자기기실 내부의 피난 허용시간은 P-01에서 203.3 s로 가장 단시간 내에 대피가 요구되었으며, P-05에서 398.6 s로 피난 허용시간이 가장 큰 값을 나타내었다. 피난 소요시간 분석 결과 모든 지점에서 모든 재실 인원이 대피가 이루어져 대피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이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피난안전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소방설비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서 실제 화재 발생 시 소방설비가 작동된다면 보다 우수한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고층 공동주택의 USN기반 피난시스템 도입을 위한 수직적 피난위계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tting the Grade of Vertical Evacuation Rank to Introduce an USN-based Evacuation System into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s)

  • 홍원화;전규엽;최준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33-14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an evacuation time and to ensure safety by using an Ubiquitous Sensor Network computing when a fire breaks out at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that is a type of building to solve the problem of separation of the urban function and the phenomenon of hollowing out downtown has been on the increase, high-rise apartment housings occupying 52.7% of whole housings in 2005. However, if a fire breaks out, there would be serious damage since it accommodates many people and facilities as existence of vertical gigantism in the city. The architectural law in force has no clause on it which is universally applicable to general building, it is difficult to be applicable to a densely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and there would be in danger of a resident's evacuation in the fire. Therefore, as a previous study to introduce an USN-based fire-warning facility and evacuation equipment, this study shows the improvement way after analyzing factors that are barriers to evacuaee's behavior of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and also shows establishment of the grade of vertical evacuation rank by SimuleX, one of the best computer simulation program.

기존 건축물을 용도변경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화재 인명피해 예방과 피난 대책 -광주·전남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Prevention of Human injury and Countermeasure of evacuation about Fire of Nursing Homes by Conversion of existing buildings - Focused on rural areas in Gwangju and Jeonnam -)

  • 김현태;김원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7-36
    • /
    • 2018
  • At present,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is 14% of the total population and then We has entered an the society of advanced age. Along with this,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nd palsy are also increasing. The demand for elderly nursing homes for elderly people with severe diseases such as dementia and stroke is also increasing, and the existing buildings are being secured by Conversion of existing buildings.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cuate and fire due to the out of date of buildings by Conversion of existing buildings. For example, there is a fire in the Indukukwon, Pohang City and Hyosung Geriatric Hospital, Jangseong in Korea, which have changed the use of existing buildings. Many elderly people died in a night fire. It was because of the sandwich panel walls and PVC flooring material produced toxic gas instantl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ursing home that changing the use and established fire prevention of human injury and countermeasure of evacuation. First, the sandwich panels which leading to deaths due to the toxic gas were installed in most nursing home. We recommend the RC, the masonry wall, and the glass fiber panel instead of the sandwich panels, In addition, the PVC flooring is most used in nursing home, the flooring material is considered such as the building stones, the tile, and the yellow soil closing instead of the PVC flooring. Second, we investigated the installation status of fire fighting equipment. As a result, the automatic-emergency open&shut equipment, the smoke ventilator and the evacuation slide were rarely installed. In order to secure the golden time in case of fire and to prevent the asphyxia caused by the toxic gas, the law should be amended to install the equipment.

화학사고 발생에 따른 주민대피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과학조사장비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Scientific Investigation Equipment to Support Decision-making of the Resident Evacuation in the Event of a Chemical Accident)

  • 오주연;이태욱;조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3호
    • /
    • pp.1817-1826
    • /
    • 2022
  • 2012년 구미 불화수소 누출사고 이후 정부는 화학사고의 대응과 수습 등 재난관리를 체계화하고 있다. 특히, 행정안전부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근거로 화학사고 발생에 따른 주민대피에 대한 명령을 소관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화학사고 조사장비를 활용한 화학사고 이후 주민대피 의사결정 지원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화학사고로 인한 과학적 정보수집을 위한 장비 운용체계는 상시와 비상시로 구분하여 원거리 측정장비와 근거리 측정장비의 역할 및 활용목적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원·근거리 측정장비를 통해 취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비상시에는 화학물질의 검출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시에는 업체별 검출물질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주민대피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상시 운용체계에 한하여 장비별로 현장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화학물질을 측정한 결과, 원거리 측정장비에서는 화학물질의 실시간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장비의 측정가능 거리 및 범위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거리 측정장비의 경우,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이 주로 검출되며, 온산국가산업단지에 비해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에서 높은 수준으로 측정된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지속적인 데이터 구축을 통해 화학사고 발생에 따른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성능위주 화재와 피난시뮬레이션 입력데이터의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제안 (Proposals on the Input Data Standardization Needs of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 in Performance Based Design)

  • 장근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18-25
    • /
    • 2016
  • 국내 성능위주설계 방법 및 기준에서는 다양한 입력 데이터들에 대한 입력 규정이 따로 마련되어있지 않으며, 설계자별로 인용하는 근거 데이터가 상이하여 피난허용시간과 피난완료시간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성능위주 화재와 피난 시뮬레이션에 대한 신뢰도 문제와도 직결되고 있다. 시뮬레이션에 입력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표준화함으로서 설계자의 경험이나 기술능력에 무관하게 동일한 위험도의 건물에서는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어야 한다. 또한 그 위험도 합당한 소방 방재설비가 설치되고 유사한 성능위주 대상 건물에서는 개연성 있는 초기투자비용이 소요됨으로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안전 확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피난실험을 통한 피난시간 지연요인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Stagnation Factors Analysis and Improvement Methods through an Evacuation Experiment)

  • 한운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57-66
    • /
    • 2018
  • 초고층건축물에서 재난 및 화재발생 시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것은 재실자가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는 물리적으로 피난 동선이 길어졌고, 동시에 상대적으로 많아진 재실자로 인해 피난자들이 느끼는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시켜 피난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3회에 걸쳐 대규모 인원이 참여한 피난실험을 하였으며, 실험 중 나타난 현상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피난시간에 지연을 초래할 수 있는 요인을 발굴하고 이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발생한 초고층주상복합건축물 화재에서 방재시스템 운영미숙으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사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피난실험을 실시하여 적응력을 확보하였다. 둘째, 피난시뮬레이션 통계와 피난실험에서 수집된 Data 수치를 비교 분석 검증하였다. 셋째, 피난실험 과정에서 실험에 참여가 불가한 다수의 인원들이 있었으며, 이러한 참여 불가사유를 분석하고, 그 내용이 실제 피난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넷째, 피난시간 지연 초래 요인에 대한 최적의 대응 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피난장비를 구입하고, 실험 전후 비교분석을 통하여 피난시간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점을 도출, 피난자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기준을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를 초고층건축물 소방안전관리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 피난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노유자시설의 효율적인 화재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Fire Countermeasures for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Children)

  • 황의홍;최한빛;최돈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107-114
    • /
    • 2020
  • 국가 산업의 발달에 따라 노인, 장애인, 아동 등 노유자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고, 노유자시설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노유자시설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막대한 인명피해를 야기한다. 이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속·정확한 경보와 피난경로의 확보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유자시설 관련 법령과 통계자료를 검토하고, 노유자 등의 법적용어의 상이, 경보설비의 비화재보 문제, 방화구획기준의 사각지대, 피난경로 확보문제, 인명안전구조기구의 기준부재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개선방안으로 노유자 등의 유사용어에 대한 법적정의 정리, 비화재보 점검체크리스트 제안, 방화구획 관련기준 제정, 피난용 승강기의 도입, 인명안전구조기구 기준 제정 및 대피자용 방염물품비치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