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ercise-induced anaphylaxi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44초

Food allergies and food-induced anaphylaxis: role of cofactors

  • Shin, Meey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8호
    • /
    • pp.393-399
    • /
    • 2021
  • Food allergies and food-induced anaphylaxis are important health problems. Several cofactors modulating the onset of anaphylaxi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presence of cofactors, allergic reactions may be induced at lower doses of food allergens and/or become severe. Exercise and concomitant infections are well-documented cofactors of anaphylaxis in children. Other factors such as consumption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lcohol ingestion, and stress have been reported. Cofactors reportedly play a role in approximately 30% of anaphylactic reactions in adults and 14%-18.3% in children. Food-dependent exercise-induced anaphylaxis (FDEIA) is the best-studied model of cofactor-induced anaphylaxis. Wheat-dependent exercise-induced anaphylaxis, the most common FDEIA condition, has been studied the most. The mechanisms of action of cofactors have not yet been fully identified. This review aims to educate clinicians on recent developments in the role of cofactors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cofactors in food allergies and food-induced anaphylaxis.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분석 및 비타민 C와 catalase 투여 효과 분석 (Studies of Exercise-Induced Allergy Anaphylaxis Mechanisms and the Effects of Vitamin C and Catalase Supplementation in Exercise-Induced Allergy Anaphylaxis Models)

  • 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1-518
    • /
    • 2010
  • 전 세계적으로 알레르기 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운동이 알레르기 질환을 증가 시켜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에 대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은 운동 중과 운동 후 혈관부종, 두드레기, 호흡, 위와 장계의 증후 및 아나플락시스 등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의 분석 및 비타민 C와 catalase 투여에 대한 항 알레르기 효과와 활성 산소종 생성 조절제 들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고 전반적인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무병원성환경에서 사육한 생후 7주령의 BALE/c마우스(Female)를 그룹핑 하여 통제군과 훈련군에게 각각 알레르기를 유발한 후, 서로 다른 기간의 운동 효과를 분석하였고,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군에게 비타민c와 catalase를 투여하여 투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은 훈련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과 쇼크사는 복강 림프구에서 발현하는 ROS는 큰 연관이 있다는 것, 그리고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치료 효과는 catalase를 투여하는 것 보다 비타민을 투여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기전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Combined effects of food and exercise on anaphylaxis

  • Kim, Cheol Woo;Figueroa, Arturo;Park, Chan Ho;Kwak, Yi Sub;Kim, Kwi Baek;Seo, Dae Yun;Lee, Hyung Roc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5호
    • /
    • pp.347-351
    • /
    • 2013
  • Food-dependent exercise-induced anaphylaxis (FDEIAn) is induced by different types and various intensities of physical activity, and is distinct from food allergies. It has been shown that consumption of allergenic food followed by exercise causes FDEIAn symptoms. Intake of allergenic food or medication before exercise is a major predisposing factor for FDEIAn. Urticaria and severe allergic reactions are general symptoms of FDEIAn. Dermatological tests and serum IgE assays are the typical prescreening methods, and have been used for several decades. However, these screening tests are not sufficient for detecting or preventing FDEIAn. It has been found that exercise may stimulate the release of mediators from IgE-dependent mast cells that can result in FDEIAn when a certain threshold level has been exceeded. Mast cell degradation might be a major factor to induce FDEIAn but this has not been determined. A number of foods have been reported to be involved in the onset of FDEIAn including wheat, eggs, chicken, shrimp, shellfish, nuts, fruits, and vegetables. It is also known that aspirin increases the occurrence of type I allergy symptoms when combined with specific foods. Moreover, high intensity and frequent exercise are more likely to provoke an attack than low intensity and less frequent exercise.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current views of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FDEIAn within the context of exercise immunology. We also present a detailed FDEIAn definition along with etiologic factors and medical treatment for cholinergic urticaria (UC) and exercise-induced anaphylaxis (EIA).

운동이 면역력에 미치는 효과분석 (The Analysis of Exercise on the Immune Responses)

  • 곽이섭;진영완;백일영;엄상용
    • IMMUNE NETWORK
    • /
    • 제5권2호
    • /
    • pp.117-123
    • /
    • 2005
  • The immune response to any stimulus is complex, requiring coordinated action by several types of cells in a tightly regulated sequence. Thus, a physical stress such as exercise may act at any number of points in the complex sequence of events collectively termed the immune response. Although exercise causes many propound changes in parameters of immune function, the nature and magnitude of such changes rely on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immune parameters of interest; type, intensity, and duration of exercise; fitness level or exercise history of the subjec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mbient temperature and humidity. Although regular moderate exercise appears to be important factor for increasing immunity, Athletes are susceptible to illness, in particular upper respiratory track infection, during periods of intense training and after competition. In addition, in elite athletes, frequent illness is associated with overtraining syndrome, a neuroendocrine disorder resulting from excessive training. Through this paper, we wan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on the immunosuppression such as exercise induced lymphopenia, asthma, anaphylaxis, URT (upper respiratory track), and TB (tuberculosis) infection. and also, we want to suggest a direct mechanism, protection and therapy of exercise induced immunosuppression.

환경, 음식 및 운동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고찰 (The Review of Environment, Food and Exercise on Allergy Anaphylaxis)

  • 곽이섭;백영호;김승현;김영일;유병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7-152
    • /
    • 2010
  • 규칙적인 운동이 면역력 증가에 도움을 주는 것이 일반적인 사실이지만 차고 건조한 환경에서의 격렬한 운동은 호흡기 질환의 일종인 운동 유발성 천식과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을 야기하고, 상기도 감염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는 수행되는 운동의 종류나 방법 등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며 운동 수행의 경험과 운동 환경 등에 따라서 상이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운동하는 환경이 야외에서 이루어지며 오존이나 먼지 등을 많이 접하면서 수행되는 운동과 동계 스포츠인 스키, 스노우보드, 스케이트 및 아이스하키와 같은 운동 수행으로 운동 시 폐가 차갑고 건조한 공기에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운동 유발성 천식과 운동유발성 알레르기 반응이 초래된다. 이러한 반응은 음식 알레르기와도 함께 나타나는데, 음식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운동 시 더욱 알레르기 반응이 증가하게 되고, 음식 알레르기가 나타나지 않은 사람도 특정 음식 섭취 후 격렬한 운동 시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소화된 음식물이 장으로 지나갈 때, 혈액의 IgA가 덜 소화된 단백질을 혈액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어해 주지만, 결렬한 운동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IgA가 감소하게 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음식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이 나타나게 되는데, 운동 시 이러한 반응이 더욱 심화되며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아나플락시스로 나타나기도 한다.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은 운동의 방법, 종류 및 수행되는 운동시간 등에 따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임상적인 징후로는 심한 기침, 가슴의 답답함, 호흡 곤란, 쌕쌕거림의 현상, 피부두드러기 및 혈관부종, 심할 경우 혈관파괴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돌연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격렬한 운동은 과 호흡을 유발시키고, 이로 인해 폐의 비만세포가 증가하게 되며, 증가된 비만세포에서 나오는 히스타민이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한다. 운동 유발성 두드러기나 아나필락시스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항은 가족력과 병력에 대한 사항이며, 이외에도 메타콜린 피부 반응검사 등이 있다. 치료는 일상생활에서 활동의 수준과 범위를 수정하는 하는 것이 핵심이며, 이를 위해서는 전문가를 통한 환자 교육이 매우 중요하며, 식후에는 시간을 두고 운동해야 한다. 그리고 운동전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음식물의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본 연구자는 운동 알레르기와 관련된 인자를 크게 운동 시의 환경과 음식물로 구분하고, 여러 문헌을 고찰하여, 운동 시 일어날 수 있는 알레르기 반응을 미연에 방지하고, 운동을 수행하는 엘리트 운동선수 및 동호인, 운동을 지도하는 지도자, 스포츠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FDEIA)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분석 (Effects of Different Exercise Intensity on FDEIA and Related Mechanisms)

  • 이원준;곽이섭;유병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42-5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선 운동 강도(저강도, 중강도, 고강도)를 달리하여 훈련한 서로 다른 그룹에서 운동 유발성 알러지 아나필락시스의 차이를 규명하고 운동강도에 따른 운동 유발성 알러지 질환의 기전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 하였다. 본 실험을 위하여 군당 25마리씩 통제군(S; control sensitized, n=25), 저강도 훈련군(S30, n=25), 중강도 훈련군(S50, n=25) 및 고강도 훈련군(S80, n=25)으로 구분하여 수영훈련 강도별 알러지를 유도하였을 때, 알러지 아나필락시스를 조사하고 아울러 비장지수, 림프구의 수, 림프구 증식반응, 싸이토카인(IL-4, INF-${\gamma}$), 항체 및 복강과 비장의 ROS를 함께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일반 감작군에 비하여 운동 감작군에서 알러지가 더 잘 일어남을 확인하였고, 운동강도의 증가와도 밀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운동강도가 증가할수록 OVA반응에 대한 림프구 증가가 현저하게 일어나는 원인과 복강활성산소의 증가 및 알러지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싸이토카인인 IL-4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운동강도의 증가에 따라 INF-${\gamma}$의 감소도 의미 있는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추후 운동 강도뿐만이 아니라 운동빈도에 따라서도 FDEIA의 변화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운동빈도의 차이가 식이유도 운동알레르기 질환과 관련기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Physical Frequency on Food-Dependent Exercise Induced Allergy Anaphylaxis (FDEIA) and Related Mechanisms)

  • 김철우;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97-90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적절하게 알레르기가 유발되는 운동강도인 50분간의 강도를 선정한 후 운동빈도를 서로 달리하여 통제 그룹(S) 저빈도 그룹(F2, 주2회), 중빈도 그룹(F3, 주 3회) 및 고빈도 그룹(F5, 주5회)으로 나누어 훈련을 부여하고 OVA알부민으로 감작한 후 OVA로 challenge를 하였을 때, 알레르기 아나플락시스의 변화 양상 차이를 살펴보고 동시에 기전변화를 함께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그룹당 25마리씩 통제군(S; control sensitized, n=25), 저빈도 훈련군(F2, n=25), 중빈도 훈련군(F3, n=25) 및 고빈도 훈련군(F5, n=25)으로 구분하여 수영훈련 빈도에 따른 알레르기를 유도하였을 때, 알레르기 아나플락시스를 조사하고 아울러 비장지수, 림프구의 수, 복강 ROS, ASAS, 및 싸이토카인(INF-${\gamma}$, IL-4)의 변화를 함께 측정하였다. 이 때, 알러지 아나플락시스 테스트는 그룹당 10마리를 사용하였고, 나머지는 세포분석과 ROS 측정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일반 감작군에 비하여 운동 감작군에서 알러지가 더 잘 유도됨을 알 수 있었고, 같은 운동강도 부여시 저빈도의 운동군에 비하여 고빈도 운동군에서 알러지 반응이 더 잘 일어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고빈도 운동군에서 현저히 증가되는 IL-4 반응과 ASAS 반응으로 알 수 있었고, 특히 이러한 반응이 고빈도 운동그룹에서 현저히 증가하는 ROS 반응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저빈도 그룹에서는 오히려 INF-${\gamma}$의 증가와 ROS 반응이 감소하였고, ASAS 반응이 통제군보다 오히려 줄어들어 운동의 빈도가 알레르기반응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이러한 원인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요구되며, 알레르기 반응의 cross training 및 detraining 효과도 함께 규명 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식품알레르기 (Food allergy)

  • 이재천;김철우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90-94
    • /
    • 2022
  • Food allergy is one of the adverse food reactions, which is developed by immunological reactions. Food allergy is increasing in prevalence among children and adults. In the diagnosis, food challenge is confirmative with history and laboratory tests. Avoidance of culprit food is the only preventive method, especially in patients with severe symptoms. In some food allergies, cross-reactivity among allergens should be considered. Latex-fruit/vegetable syndrome and pollen food allergy syndrome are well-understood phenotypes of food allergy related to cross reaction. Red meat allergy is recently described as one of tick-borne diseases. In a rare phenotype of food-dependent exercise-induced anaphylaxis, factors affecting the absorption of food allergen are important in its pathophysiology.

운동과 면역반응에 대한 고찰 (Immunological Aspects of Contemporary Exercise)

  • 곽이섭;김철우;백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166-1171
    • /
    • 2007
  • 면역학이 발점함에 따라서 인간의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에 대한 수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연령, 영야상태, 스트레스, 질병, 비만, 고지혈증, 장애 등 무수히 많은 변인들이 면역방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운동 또한 상당한 영향력이 있어, 운동시 나타나는 면역 반응에 대하여 고찰하게 되었다. 규칙적인 운동은 초기면역과 그 이후의 적응면역을 증진시키며 특히 적응면역 중 세포 매개 면역반응과 항체매개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운동도 몸의 상태가 건강하거나 몸에 맞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시해야 효과적이며, 운동의 경험이 없거나 스트레스나 질병이 있는 상태에서의 운 동은 오히려 신체에 부담을 주어 면역력을 악화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일회성의 운동도 체력수준에 맞게 수행되어야 하는데, 장시간 너무 무리하게 수행하면 에너지 고갈과 함께 면역력의 감소를 초래하여 상기도 감염과 같은 질환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무리한 운동 후 'open window' 시기에 적절한 이온음료의 섭취, 영양분 공급 및 휴식은 건강 관리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수행한 운동이 규칙적이라 할지라도 운동은 운동 환경이나 선천적인 요소에 따라 운동 유발성 천식을 포함하는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을 야기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므로 본론에서 제시한 지식을 바탕으로 마라톤과 같은 장기간 운동 시 특히 주의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Differential induction of allergy responses by low molecular weight wheat proteins from six wheat cultivars

  • Cho, Miju;Lee, Hyeri;Hwang, Min Hee;Cheong, Young-Keun;Kang, Chon-Sik;Lee, Nam Taek;Chung, Nam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1호
    • /
    • pp.55-59
    • /
    • 2017
  • Although wheat is a common staple food in the world, some people suffer from a variety of wheat allergies. For example, wheat-dependent exercise-induced anaphylaxis is induc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y wheat proteins. Relatively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s that are salt-insoluble induce many wheat allerg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nduction of an allergy response using crude wheat proteins, which are relatively low molecular weight, salt-soluble proteins. The crude antigen used in this study was extracted using phosphate buffered saline. When the antigen extracts from various wheat cultivars were orally administered, differentiable degrees of allergy responses were observed as measured by serum IgE and histamine secretion compared to the control. Serum IgE levels increased following administration of three of the wheat extracts. This evidence suggests that a combination of salt-soluble wheat proteins could be antigens for the induction of various allergy respon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