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cted benefit of learning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6초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수업에서 시간적 기대 효익, 학습효과 기대 효익, 기술적 친숙도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 COVID-19, the Effect of Expected benefit of Time, Expected benefit of Learning, and Technology Familiarity in Online Class on Class Satisfaction)

  • 유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57-263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비대면 수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는 전북과 충북에 소재한 치기공과 재학생의 208부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적 통계, 평균분석(t-test, 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시간적 기대 효익은 3.87, 학습효과 기대 효익은 3.30, 기술 친숙도는 3.40, 수업만족도는 3.21로 나타났다. 수업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술적 친숙도이었다. 온라인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수업에 활용되는 학습 도구의 활용능력과 온라인 수업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친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환경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비대면수업의 학습효과와 강의만족도에 따른 연구 (A study according to the learning outcomes of non-face-to-face classes and lecture satisfaction)

  • 김서연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23-129
    • /
    • 2021
  • 교수자와 대학생의 학습효과 및 비대면 강의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2020년 10월5일부터 10월 23일까지 J지역과 K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348부 시행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win 22.o을 이용하였다. 비대면수업 기대효익 중 시간적 기대효익은 3.69점, 학습효과 기대효익은 3.46점으로 나타났고, 기술적 친숙도는 3.47점으로 나타났다. 비대면수업 강의만족도는 3.58점으로 나타났다. 비대면수업 강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효과 기대효익, 대학 만족도, 기술적 친숙도, 시간적 기대효익, 다음 학기 희망하는 비대면 수업 과목 수이었다. 학습효과 기대효익이 높을수록, 대학 만족도가 높을수록, 기술적 친숙도가 높을수록, 시간적 기대효익이 높을수록, 다음 학기 희망하는 비대면수업 과목 수가 많을수록 비대면수업 강의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대면수업의 교수자와 대학생의 학습효과 및 강의만족도에 있어서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것을 확인하였다.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신념 (Medical Students' General Beliefs about Their Learning)

  • 박재현
    • 의학교육논단
    • /
    • 제14권2호
    • /
    • pp.64-68
    • /
    • 2012
  • Learning in medical school is usually regarded as a very specialized type of learning compared to that of other academic disciplines. Medical students might have general beliefs about their own learning. Beliefs about learning have a critical effect on learning behavior. There are several factors that affect medical students' learning behavior: epistemological beliefs, learning styles,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beliefs. Several studies have addressed epistemological beliefs,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trategies in medical education. There are, however, few studies that have reported on medical students' beliefs about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at learning beliefs medical students have, what the causes of these beliefs are, and how medical educators teach students who have such beliefs. In this study, the five learning beliefs are assumed and we considered how these beliefs can affect students' learning behaviors. They include: 1) medical students are expected to learn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n a short time. 2) memorization is more important than understanding to survive in medical schools. 3) learning is a competition and work is independent, rather than collaborative. 4) reading textbooks is a heavy burden in medical education. 5) the mos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s the lecture. These learning beliefs might be the results of various hidden curricula, shared experiences of the former and the present students as a group, and personal experience. Some learning beliefs may negatively affect students' learning.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medical students' learning beliefs are significant and indicate that students and educators can benefit from opportunities that make students' beliefs about learning more conscious.

u-스마트 관광정보2.0를 이용한 모바일 학습 콘텐츠 구현 (Implement of Mobile Learning Contents using u-smart tourist information2.0)

  • 선수균;이승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243-250
    • /
    • 2015
  • 모바일 학습 콘텐츠 구현은 IT와 관광을 융합하는 IT관광 융합 학문이다. 학습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학습 모듈별로 분류한다. 본 논문은 u-스마트 관광정보2.0 시스템을 제안한다. 모바일 학습 콘텐츠 구현은 IT 관광 융합인 u-스마트 관광정보2.0 시스템을 이용한다. 이것은 디자인 패턴과 XML를 융합하여 학습자에게 재미와 흥미를 준다. 이것은 국가 직무 능력 표준구조로 학습자들의 디자인 패턴으로 나뉘어 학습 모듈별로 수업진행이 최대 장점이다. 그 결과 학습자 출석률이 향상되며 더욱 좋은 학습효과가 나왔다. 다른 장점은 관광정보 콘텐츠 정보품질에 맞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고 관광정보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학습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학습 콘텐츠 구현은 향후 국가 직무 능력 표준 학습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Mobile-Learning에 의한 수학학습에서 학생들의 인식변화, 성취도, 및 성향에 대한 연구 (Students' Perspectives towards M-learning Achievement, and Disposition towards Mathematics Using a mobile phone)

  • 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863-885
    • /
    • 2009
  • 무선 인터넷 시대를 맞아 기기의 사용은 PC나 노트북 컴퓨터를 벗어나 휴대폰으로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학습현장에 활용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휴대폰을 기반으로 한 M-learning의 학습효과를 파악하고자 설계되었다. 그 동안 전통적인 학습환경이 면대면 학습위주였다면 이런 인터넷환경은 유비쿼터스적인 환경을 제공하므로 학습의 기회를 좀 더 많은 사람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학생들의 폰강의 대한 인식은 유비쿼터스 환경, 요점정리, 저렴한 비용 등의 긍정적인 측면을 선호하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폰강 학습을 통해 수학에 대한 성향이 향상되었으며 보충수업 반보다 성취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 PDF

도시근린공원의 추구편익에 의한 중요-성취도 분석 - 대전광역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by Benefit Sought in Neighborhood Park - Focused on the Neighborhood Parks in the City of TaeJon)

  • 이시영;허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14-125
    • /
    • 2004
  • On the assumption that marketing is a useful technique to activate park use, this study aims to find what benefits people pursue and how much they attain them through a park visit. To achieve this, the survey of a Benefits-Sought for a park was conducted at four major parks in the city of Taejon and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was conducted. Additionally, a Present Condition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park managers.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major benefits are a comfortable rest, an escape from bustling city life, to see natural scenery and to promote physical health, and so forth. Second, performance was relatively lower than importance in the case of recreation and leisure activities, which means that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and programs for park use should be developed. Third, at GaYang park, importance and performance are good in balance. DongChunDang park and Seattle park have 5 items and 7 items for which immediate improvements are required. Saemmeury park generally shows good proportions and it can be much activated by improving the learning and experiencing activities. The results objectively show conditions of neighborhood parks in the city of Taejon from a view of park user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would be useful in determining priorities when improving park facilities or their programs.

Educational Use of IPTV: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 LEEM, Junghoon;HAN, Seungyeon;KIM, Seri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0권2호
    • /
    • pp.85-105
    • /
    • 2009
  • National support for use of IPTV in school has increas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public education. As a convergence media, IPTV is expected to create a better and more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 with individualized content and advanced technology. While the potential benefits of IPTV have been discussed in different perspectives, we cannot fully benefit from new media without careful preparation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ducational use and applicability of IPTV in Korea. First, it redefin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IPTV in an educational context. Second, it identifies the main issues and considerations in practice. Lastly, the paper discusses guidelines for future tasks to facilitate the educational use of IPTV in terms of educational application, technological issues (e.g., LMS, set-top box), and content development.

이러닝 활용 다문화교육에 대한 결혼이민자의 수요 분석 및 지원 방안 (Support plan and analysis of deman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e-learning by marriage immigrants)

  • 안성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31-14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학력이 낮은 결혼이민자들에게 이러닝을 통하여 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현재 한국은 남아 선호 사상에 따른 성비 불균형과 한국 여성들의 농.산.어촌 생활 기피로 외국인과 결혼하는 한국 남성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한국 정부에서는 결혼이민자에게 한국어교육과 직업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 적응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결혼이민자의 대부분은 가정 및 직장 생활의 부담 때문에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들에게 이러닝을 통해 한국어교육과 직업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결혼이민자들의 이러닝을 통한 다문화교육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결혼이민자들은 대부분 이러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신 국적과 거주지역에 따라 원하는 교육내용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러닝 교육과정을 국적별로 편성하고 지역의 실정에 맞게 운영할 수 있는 방안, 이러닝 교육내용을 한국어교육 중심으로 편성하는 방안, 결혼이민자들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직업교육 마련 방안 등의 결혼이민자에 대한 이러닝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결혼이민자들이 우리 사회의 소외계층으로 전락하지 않고 당당한 일원으로 정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중·고등학생이 인식하는 도서관활용수업 편익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Benefits of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Recogniz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강봉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69-186
    • /
    • 2013
  • 본 연구는 도서관활용수업이 주는 편익에 대해 도서관활용수업을 1년 이상 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조사하고 분석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중, 고등학생 18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일대일 심층 면접을 실시하고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도서관활용수업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편익은 '학습 효율성 증가' 등 18가지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도서관활용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얻을 수 있는 편익을 바탕으로 도서관활용수업 서비스의 편익별 세분화를 통해 학교도서관의 마케팅 전략을 구상해볼 수 있을 것이다.

Can Artificial Intelligence Boost Developing Electrocatalysts for Efficient Water Splitting to Produce Green Hydrogen?

  • Jaehyun Kim;Ho Won Jang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75-188
    • /
    • 2023
  • Water electrolysis holds great potential as a method for producing renewable hydrogen fuel at large-scale, and to replace the fossil fuels responsible for greenhouse gases emissions and global climate change. To reduce the cost of hydrogen and make it competitive against fossil fuels, the efficiency of green hydrogen production should be maximized. This requires superior electrocatalysts to reduce the reaction energy barriers. The development of catalytic materials has mostly relied on empirical, trial-and-error methods because of the complicated, multidimensional, and dynamic nature of catalysis, requiring significant time and effort to find optimized multicomponent catalysts under a variety of reaction conditions. The ultimate goal for all researchers in the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is the rational and efficient design of materials with desired performance. Discovering and understanding new catalysts with desired properties is at the heart of materials science research. This process can benefit from machine learning (ML), given the complex nature of catalytic reactions and vast range of candidate materials. This review summarizes recent achievements in catalysts discovery for the 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 and oxygen evolution reaction (OER). The basic concepts of ML algorithms and practical guides for materials scientists are also demonstrated. The challenges and strategies of applying ML are discussed, which should be collaboratively addressed by materials scientists and ML communities. The ultimate integration of ML in catalyst development is expected to accelerate the design, discovery, optimization, and interpretation of superior electrocatalysts, to realize a carbon-free ecosystem based on green hydro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