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nditures Calori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운동 강도와 에너지소비량에 따른 단기간의 유산소운동이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Immune Cell of Short-Term Aerobic Exercise by Exercise Intensity and Expenditures Calorie)

  • 이정자;조중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4-280
    • /
    • 2008
  • 본 연구는 남자학생 8명을 대상으로 GXT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최대운동검사를 통하여 측정된 피험자 개개인의 VO2max를 기준으로 각각 50%, 70%에 해당되는 산소섭취량과 경사도 및 속도를 산출하고, 산소섭취량(ml/min/kg)의 METs 및 칼로리 소비량을 대입, 전체 300kcal와 600kcal가 소모되는 운동시간을 산출하였다. 유산소운동에 따른 T, B, NK cell의 변화는 림프구 전체에서 T, B, NK 림프구가 차지하는 상대적 비율이 운동 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T cell에서 에너지 소비량(p<.01), 상호작용(p<.05)효과에서, B cell은 에너지소비량(p<.01)에서, NK cell은 에너지소비량(p<.001), 상호작용(p<.05)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운동 강도와 에너지소비량에 따른 단기간의 유산소운동이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Immune Cell of Short-term Aerobic Exercise by Exercise Intensity and Expenditures Calorie)

  • 이정자;조중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386-394
    • /
    • 2008
  • 본 연구는 적정 운동 강도 중 VO2max 50%와 70%의 운동 강도로 운동을 실시할 때, 각각 300kcal, 600kcal를 소비하는 시점에서 유발되는 면역세포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인체 면역 세포의 긍정적 변화와 면역력 강화를 위한 적정 운동방법을 규명하고자 남자학생 8명을 대상으로 GXT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최대운동검사를 통하여 측정된 피험자 개개인의 VO2max를 기준으로 각각 50%, 70%에 해당되는 산소섭취량과 경사도 및 속도를 산출하고, 산소섭취량(ml/min/kg)의 METs 및 칼로리 소비량을 대입, 전체 300kcal와 600kcal가 소모되는 운동시간을 산출하였다. 유산소운동에 따른 T, B, NK cell의 변화는 림프구 전체에서 T, B, NK 림프구가 차지하는 상대적 비율이 운동 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T cell에서 에너지소비량(p<.01), 상호작용(p<.05)효과에서, B cell은 에너지소비량(p<.01)에서, NK cell은 에너지소비량(p<.001), 상호작용(p<.05)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대생 집단의 에너지 소비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ily Energy Expenditure of Co-eds in a University)

  • 김석영;차복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9-153
    • /
    • 1993
  • 본 연구는 자연스런 환경에 있는 다수인의 소비에너지를 측정하고자 할 때 보다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소비에너지를 측정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또 우리나라 여대생의 일일 소비에너지와 비만도에 다른 소비에너지 및 활동강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여대생 82명을 대상으로 15-min check list와 calorie counter에 의한 두가지 방법으로 3일간의 소비에너지를 측정하여 두 방법에 의해 측정된 소비에너지의 관계를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일의 소비에너지는 15-min check list에 의한 경우가 1963 kcal였고, calorie counter에 의한 경우가 1649kcal로 국내에서 보고된 타 연구결과와 비교해 볼 때 15-min check list에 의한 측정치는 비슷하였으나, calorie counter로 측정할 때에는 실제보다 낮게 측정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두 방법이 모두 신체 계측치와 상관성이 높았고, 또 두 방법사이에 상관도도 매우 높았으므로 calorie counter로 측정한 값을 'DEE by 15-min check list=3.31186+1.18837$\times$DEE by calorie counter' 의 식에 의해 15-min check list값으로 환산해 주면 다수인을 대상으로 측정할 때 보다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소비에너지를 측정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상대적 비만도에 따라 세군으로 나누었을 때 소비에너지와 활동강도가 세군에서 유의하게 달랐다. 또 자신의 활동을 15분 단위로 기록하게 한 뒤 활동등급별로 집계한 결과 활동등급 1의 빈도수가 저체중군이나 정상체중군에 비해 과체중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반면 활동등급 3의 경우에는 과체중군이 저체중군에 비 해 유의하게 빈도수가 낮아서 과체중군이 덜 활동적이라고 볼 수 있었다.

  • PDF

칼로리 소비량과 유산소운동의 면역반응 (Immune Response of Aerobic Exercise and Expenditures Calorie)

  • 오상덕;조중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175
    • /
    • 2010
  • 본 연구는 VO2max 70%의 고강도 유산소운동을 통해 각각 300kcal와 600kcal를 소비하는 시점에서 유발되는 면역세포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운동량에 따라 어떠한 상이한 영향을 미치고, 인체 면역세포의 긍정적 변화와 면역력 강화를 위한 적정 칼로리 소비량을 구명하고자 남자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면역반응 T cell(CD3), B cell(CD19), NK cell(CD16+CD56)을 SPSS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 one-way ANOVA, 사후검증은 Turkey HSD를 통해 분석한 결과, T cell(CD3)에서 운동전보다 운동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600kcal를 소비하였을때,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 cell(CD19)에서는 운동 전보다 운동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으며,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NK cell(CD16+CD56)에서 운동 전보다 운동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특히 600kcal를 소비하였을 때,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교사들을 위한 학교 구내식당의 식단에 대한 영양평가 및 교사의 활동량에 관한 연구 - 인천 시내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Nutritional Evaluation of Foods in School Cafeteria for Teachers and Its Relation to Daily Energy Expenditure of Teachers (I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in Incheon))

  • 이건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9-78
    • /
    • 1986
  • Meals served in school cafeteria for teachers were evaluated in terms of calorie and nutrient level and food composition. Daily energy expenditure of teachers was compared with caloric content of the meal. The followings are results of the study. 1) Twelve different foodstuffs were used in each meal of school cafeteria for teachers. The average amount of food served meal was 396.0g. The ratio of animal food to total food served was 13.2%. The meal was consisted of 44.8% of basic food group 4, 34.7% of basic food group 3, 19.3% of basic food group 1, 0.4% of basic food group 2 and 0.9% of basic food group 5. 2) The average caloric content of the meal was 629.9Kcal. The caloric ratio of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to total calorie was 72.4% : 15.3% : 12.3% respectively. The ratio of animal protein to total protein was 43.2%. In meals of school cafeteria, the level o fall nutrients except iron and niacin was lower than RDA for male, whereas the level of all nutrients except protein and niacin was lower than RDA for female. 3) The average daily energy expenditures of teachers were 2,017.2Kcal for male and 1,735.3Kcal for female. The meal in school cafeteria supplied 93.7% of daily energy expenditure of male teachers and 110.0% of daily energy expenditure of female teachers. When planning meals in school cafeteria, recommended allowance, actual energy expenditure and food preference of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meals. Also it seems desirable to give teachers the nutritional education for taking balanced diet.

  • PDF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 이용자의 소득에 따른 커피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umption Behaviour of Coffee Product according to Monthly Income in Franchised Coffee Shop's Consumer)

  • 김용욱;송완구;이연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19-527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consumer behavior of coffee product according to monthly income in franchised coffee shop's consumer in Korea. A total of 293 questionnaires were used out of the 330 that had been distributed for analysis; those that lacked reliability were excluded. Frequenc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hypotheses of the study.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er behavior with regard to seeking health, eco-friendly products, product brand, and product taste as well as preferred coffee menu and coffee consumption expenditures. High income consumers rather than low income groups showed much higher score for concerning health, concerning diet, concerning calorie, concerning instant, concerning caffeine and concerning nature, organic in coffee consumer behavior. In amount spent on purchasing coffee products according to income, low income consumers rather than high income groups had much higher financial expense bu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