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inguish Abilit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MCS에 의한 Helium 기체 중의 전자수송특성 해석 (Analysis of electron transport characteristic in He gas by MCS)

  • 송병두;하성철;서상현;문기석;유회영;김상남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E
    • /
    • pp.1752-1754
    • /
    • 1998
  • Recently the research about electron transport characteristic and energy distribute function in mixture gases within Helium, has been used and developed widely as industrial quality improvement of extinguish characteristic, electrical dielectric strength ability of application of each species high voltage apparatus, gas plasma etching progress of work to use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thin film molding by CVD, insulation film to use ultra LSI, etc. This paper analyze electron transport characteristic in the range E/N $1{\sim}60$[Td], pressure $0.1{\sim}6.0$[Torr] by MCS. It is necessary to seek electron drift velocity, diffusion coefficient, lonization coefficients, characteristic energy, mean energy and electron energy distribution function as electron transport characteristic.

  • PDF

이산화탄소를 가압원으로 하는 할론대체 소화기용 청정소화약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lean Agents for Halon Replacement in the Portable Extinguisher with CO2 as an Expellant Gas)

  • 정기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51-55
    • /
    • 2019
  • CFC의 오존층 파괴로 인해 이를 대체할 냉매, 세정제, 발포제의 개발과 더불어 소방분야에서는 할론대체소화약제개발에 주력하여 왔다. 특히 소화기분야에서는 할론1211 소화기를 대체할 청정소화약제를 개발하여 왔다. 그 결과로 개발된 소화기용 청정소화약제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소화약제가 HCFC-123이다. 대부분의 청정소화약제들은 자체 증기압이 약하기 때문에 어떠한 가압원을 사용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화기용 소화약제들 중 HCFC-123, HCFC-124, HFC-125, Novec-1230을 선정하여 이들 약제에 대한 가압원으로 보조소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CO2를 사용하였다. 각 소화약제별로 약제량과 CO2량을 조절하며 시험을 실시한 결과 HCFC-123 소화약제로부터 기대한 소화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소화기인 HCFC-123 2.5 kg을 질소로 가압하여 소화능력 ABC 각 1단위인 소화기보다 소화약제가 적은 HCFC-123 1.5 kg과 CO2 1.5 kg을 혼합한 소화기로 동일한 소화능력시험에 성공하였다. 이러한 소화시험의 결과는 가압원인 CO2의 보조소화효과를 확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중간대체물질로 분류되어 있는 HCFC계열의 소화약제를 줄일 수 있어 기존의 소화기보다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라 할 수 있으며 B,C급 화재용 소화기인 CO2 소화기로 A급 가연물이 많은 전기, 전자 관련 시설을 방호하는 불합리함을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지상작전의 원칙 측면에서 미 제1해병사단의 장진호 연결작전 고찰 (From the point of view of ground operations principle, Chosin Link-up operation discussion of the US 1st Marine Division)

  • 김규빈;최영렬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13호
    • /
    • pp.1-41
    • /
    • 2016
  • US 8th Army in the attack on the Western Front was a situation that was frustrated by the 13th Corps Communist army. To this time support this, goals that have been granted to the US 1st Marine Division that initiated the attack in Mupyonri direction, lack the potential to achieve was not decisive. It was a operation specific erroneous judgment that occurred because there was no one accurately grasp the battlefield of the situation the wrong UN Forces Command. Tactical victory can be to maximize the operation outcomes. However, there is no possible failure of the operation is to expand the tactical success. This is because the failure of the operation, because directly linked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war. Tactical victory can be to maximize the operation outcomes. However, operation specific failure is not it possible to expand the tactical victory. Therefore tactical success of the US 1st Marine Division, can not compensate for operation specific failure of the United Nations Forces Command. However, Chinese Communist Army 9th Corps is obsessed only victory of tactics to annihilate the US 1st Marine Division, by being fixation to the Chosin whole area, it was not possible to run a operational operation. Therefore tactical success df the US 1st Marine Division, Chinese Communist Army 9th Corps is to extinguish the ability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13th Corps of the Western Front, 8th Army US have contributed to have escaped the crisis. In addition, the US 10th Corps while maintaining the combat force, by an important role to withdraw through the sea, was able to complement the misjudgment of the operation.

  • PDF

목조 문화재 건축물의 화재로 인한 초기 대응 능력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of Initial Response Wooden Cultural Asset Architecture by Fire)

  • 이성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12-121
    • /
    • 2019
  • 목조로 된 문화재 건축물들은 국가 또는 지방 자치에서 관리하는 관리의 권원이 분리되어 있으며 국보급 등 많은 문화재 건축물들이 화재로 인한 소실 우려가 높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보급 등 정부와 각 시도에서 관리하는 목조 문화재의 현황을 파악해서 방재측면에서 설치되어 있는 주요 설비 효용성과 화재 시 초기 진압과 소방차의 출동으로 인한 문제점 등을 심층적으로 파악을 하였다. 또한, 관련 법령에 의한 소화설비들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현실에 맞도록 제도 개선을 위하여 관계인에게 심층 개별 면담을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거나 부속 건물들이 인접해 있어 이에 알맞은 방재 대책을 세워 시설을 유지관리 함으로써 화재 등 재난으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에 도달하였다. 목조 문화재의 대부분은 단독 건물에 면적이 작고 단층이기 때문에 소방법상 소방시설 설치규정에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최선의 방법으로는 화재 발생전 안전관리 대책 등 화재 대응 매뉴얼을 작성하여 매뉴얼에 따라 자체적으로 소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향후, 국가의 중요 문화재 건물에 대하여 화재로 소실되기 전 예방을 위한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 전문기관이 설립 또는 지정되어 보호할 수 있도록 실질적 고려를 위한 후속 연구로 제언하고자 한다.

은나노 처리된 임플란트의 골조직 형성에 미치는 효과 평가 (Evaluation of Effect of Silvernanoparticle Treated Implant on Bone Formation)

  • 김신근;윤연진;이영만;이태선;최동원;송윤정;박준우;최동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233-238
    • /
    • 2012
  •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silvernanopartilce treated implants on the bone formation and osseointegration. Methods: Silvernanoparticle was produced using an anodic oxidation method. The size of silvernanoparticle ranged from 3.5 nm to 5.9 nm. To check the effect of the capability of osseointegration of silvernanoparticle coated Implant, 32 implants (16 piece of Implant treated with nanoparticle, and 16 piece of Implant was not treated for control) were placed at both the tibia of 8 New Zealand white rabbits. After 4 weeks, 4 rabbits were sacrificed and the removal torque was measured for comparison of the osseointagration ability. Further, 4 rabbits were sacrificed and sliced samples were made. H&E stain was done for microscopic finding. Results: The removal torqu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102.37{\pm}30.54$ N/cm, and the control group was $73.30{\pm}19.97$ N/cm.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Microscopic finding also shows extinguish results in silvernanoparticle treated implants. Bone formation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43.94% and the control group was 7.58%. It was obser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7). Bone to implant contact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58.09%, and the control group was 19.43%. It was foun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1). Conclusion: The silvernanopartilce treated implant shows a better capability of bone regeneration and osseointegration than the non-treated one. Technology to produce smaller particles would make silver more useful and safer.

함정 유류화재 대응을 위한 수성막포의 유변학적 특성 연구 (Research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Aqueous Film Forming Foam to Respond to Ship Oil Fires)

  • 전길송;김휘성;유정훈;유용호;박진욱
    • 공업화학
    • /
    • 제34권6호
    • /
    • pp.603-607
    • /
    • 2023
  • 수성막포(aqueous film forming foam, AFFF)는 함정 유류화재 대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주요 소화약제 중 하나이다. 이 형태의 소화약제는 막 형성, 열 제거, 연소 억제, 그리고 화학 물질 혼합물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특성은 유류화재 대응에 있어서 큰 장점을 제공하지만, AFFF는 폼 형태로 분사되어 화재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기존 유체와 차별점을 가진다. 따라서 AFFF 폼의 레오미터를 활용한 유변학적 특성 분석은 함정 유류화재 대응을 위한 AFFF 분사 특성 예측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는 효과적인 화재 진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오미터 실험을 통해 AFFF 폼의 비뉴턴 유체(전단박화) 거동을 확인하였으며, 폼의 안정성과 직결되는 데이터들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 데이터들은 AFFF를 활용한 소화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