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eted Classification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4초

Combining Faceted Classification and Concept Search: A Pilot Study

  • 양기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23
    • /
    • 2014
  • This study reports the first step in the Classification-based Search and Knowledge Discovery (CSKD) project, which aims to combine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retrieval approaches for building digital library application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generation and application of a faceted vocabulary as a potential mechanism to enhance knowledge discovery. The faceted vocabulary construction process revealed some heuristics that can be refined in follow-up studies to further automate the creation of faceted classification structure, while our concept search application demonstrated the utility and potential of integrating classification-based approach with retrieval-based approach. Integration of text- and classification-based methods as outlined in this paper combines the strengths of two vastly different approaches to information discovery by constructing and utilizing a flexible information organization scheme from an existing classification structure.

KDC 조기표를 이용한 국내서의 패싯 내비게이션 기능 개선 방안 (Improving Faceted Navigation Using the KDC Tables for the Korean Bibliography)

  • 박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6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조기표를 활용하여 차세대 도서관 목록(NGC)에서 강조하는 검색 결과의 패싯 내비게이션 기능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조기표는 자료의 형식적인 측면이나 내용 측면을 체계적으로 나타내므로, 기존의 NGC에서 제공하고 있는 주요 패싯인 언어나 발행년도, 주제(대구분)와 같이 효과적인 패싯이 될 수 있다. 이에 한국십진분류법(KDC)을 적용한 서지레코드의 분류기호를 분석하여, 본표와 조기표의 합성 현황과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본표에 합성된 조기성 기호가 패싯 내비게이션 기능 강화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 방안은 분류기호를 부여하기 위해 기존에 이루어져 왔던 주제 분석 과정의 산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도 가지고 있다.

문학류를 위한 새로운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osed Faceted Scheme for Literature)

  • 정해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73-296
    • /
    • 2003
  • 미래의 분류체계가 모든 주제를 분류의 대상으로 할 때 열거식 분류체계는 조합식 분류체계로 변화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그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학류에 대한 새로운 분류체계를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제안된 분류체계는 기호의 조합방법이 간단하며, 패싯에 따라 기호를 다르게 표현하기 때문에 패싯의 의미는 분명하지만 혼합기호를 사용하여 분류기호가 복잡하다.

  • PDF

시소러스를 연계한 문학류 패싯 분류체계 개발 (Developing a Faceted Classification Scheme Integrated with a Thesaurus for Literature)

  • 박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77-8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시소러스 연계 패싯 분류체계(FCT)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한국십진분류법을 패싯분류표로 재구조화시키고,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디스크립터와 연계하였다. FCT를 기존의 KDC와 비교하면 1) 복합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2) 인용순서를 변경할 수 있으며, 3) 새로운 분류항목을 추가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류표의 표목을 시소러스의 디스크립터와 연계하여 분류표와 시소러스 간에 패싯을 공유하고, 분류표목의 개념수준 확장에 활용할 수 있었다.

유네스코 소장 한국 관련 수집 기록물의 패싯 분류 체계 연구 - 1950~1979년 기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eted Classification Scheme for the Korea-related Records (1950~1979) Collected from UNESCO Archive)

  • 박도영;오경묵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9-118
    • /
    • 2020
  • 본 연구는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의 소장 자료 중 한국과 관련하여 수집한 기록물 1,136건(1950~1979년)을 대상으로 패싯 분류 체계를 설계한 것이다. 기록물의 제목과 색인어에서 명사 1,601개를 추출한 뒤 임시로 설정한 기본 범주를 기초로 하여 용어들을 분류하고 범주화하였고, 결과로 도출된 패싯 요소들을 10개의 기본 패싯과 38개의 하위 패싯으로 구조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패싯 요소를 정의하고 패싯별 분류기준을 제시하였으며, 패싯의 배열 순서를 지정하고 기호를 부여하였다.

패싯분석 기법을 적용한 방송자료의 내용 구조화에 관한 연구: 시사보도 뉴스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A Faceted Classification Analysis of TV content: Using News and Current Affairs Programs)

  • 심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3-32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방송자료에 대한 지적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한 방편으로, 뉴스 및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내용 기술을 위한 패싯 분석 기법의 적용을 시도하였다. 랑가나단의 PMEST 기본 패싯에 기반하여, 보도 장르에 적합한 기본 패싯-'누가', '무엇을', '어떻게', '어디서', '언제'-을 생성하였으며, 보도 장르의 형식적 구조와 내용적 요소를 반영하여 패싯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실제 방영한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적용해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패싯이 보도 장르의 맥락적 요소를 잘 표현해주고 있었으며, 패싯의 적용은 특정 방송내용에 대한 식별을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되었다.

대통령기록관 대통령선물 검색을 위한 패싯 분류체계 개발 (Development of a Facet Classification System for Presidential Gift Search in Presidential Archives)

  • 윤규빈;김다은;장효정
    • 기록학연구
    • /
    • 제76호
    • /
    • pp.119-157
    • /
    • 2023
  • 본 연구는 기존의 대통령선물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보완을 위하여 패싯검색기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통령기록관이 온라인 서비스 중인 3,574건의 대통령선물을 바탕으로 대통령선물의 선물명, 증정인, 증정국가와 증정일 및 수령 경위, 규격, 특징에서 추출된 기록물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초로 5개의 기본 패싯과 51개의 하위패싯으로 대통령선물 패싯 기반의 분류를 설계하였으며 구조화된 패싯은 각 패싯 요소를 정의하고 배열 순서 및 기호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검색시스템에 적용하여 패싯네비게이션을 구축하는 기반으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를 통해 대통령선물에 대한 새로운 분류체계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한 대안적 의미의 분류체계로서 패싯 분류를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열거식 계층분류체계에 분석합성식 기법의 도입에 관한 연구-KDC를 중심으로

  • 도태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9권
    • /
    • pp.241-27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nalytic-assembling(faceted analysis) methods applied in enumerative-hierarchical classification schemes. (mainly in KDC) The method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For the enumerative-hierarchical classification schemes, in principle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subdivisions by only one facet at the same level, and step by step. However some subjects, for exampl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and others in KDC, are divided into subdivisions by multiple facets at same level like Colon Classification. 2. Most of enumerative-hierarchical classification schemes have various kinds of auxiliary tables, such as standard subdivisions, areas, periods, and languages. Each of them is considered as foci by a facet applied to subdivide all kinds of subjects or some special subjects into lower level. 3. To classify the compound subjects with phase relation, KDC provides ready-made classification numbers or notes that says 'divide by 001-999'(whole subjects) of 'divide by xxx-xxx'(limited scope of subjects). The ready-made compound subjects, or subdividing by whole or limited scope of subjects are similar to representation of phase relation in Colon Classification. Yet these analytic-assembling methods in KDC are needed to be supplemented and amended. Subdividing methods for faceted analysis have to be unified through the whole schedule. The auxiliary tables should be enlarged and subdivided more specifically. And for representation of phase relation, the linking signs can be useful in KDC as well as UDC and other analytic-assembling classification schemes like Colon Classification.

  • PDF

한식 정보 조직을 위한 패싯 구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ucture of a Faceted Classification for Organizing Korean Food Information)

  • 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5-3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식 관련 정보를 개념화하고 풍부하게 조직할 수 있는 패싯 구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식 분야의 학문적인 흐름과 동향, 핵심적인 개념을 파악하여 한식 분야의 지적 구조를 분석하였고 한식 관련 국내서 776권의 목차 데이터와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디렉터리에서 한식 관련 항목명, 총 23,470건을 수집 분석하였다. 수집된 용어를 범주화하여 공통 속성을 도출하고, 기본 패싯 및 하위 패싯을 정의하였으며, 패싯 간에 계층 구조, 기본 열거 순서와 기호화를 결정하였다. 한식에 관한 16개의 기본 패싯과 85개의 하위 패싯과 함께 패싯의 인용 순서를 '음식 종류'를 중심으로 재료, 에너지, 공간, 시간 순으로 조합하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글로벌 한식 정보 조직과 검색의 효율화를 가져올 것이며, 패싯 분석을 통한 주제 분야별 분류체계 모형 개발의 기초가 될 것이다.

열거식분류표가 지향하는 조합식분류에 대한 고찰 - DDC를 중심으로

  • 정해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449-48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model of classification, to compare enumerative schemes with faceted schemes and finding the facted schems used in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The Structural model of classifications can be divided to enumerrative schemes and facted schemes(analytico-synthetic schemes). Enumerative schemes represent the various kind of subject in different ways and have to not only list all existing combinations of subjects but also any of potential subjects. Faceted schemes is the decomposition of concepts into all possible characteristics which are known as facets. DDC was originally created as enumerative, but over 20 editions has moved increasing towards synthetic features such as the add instructions, and the seven auxiliary tables. Many DDC class numbers found in the Schedules may be subdivied by another number(or part of it) that has been drawn from the Schedules or auxiliary tables. This process of subdividing class numbers is called number building and it can be done only when there are number building instruction in the Schedules or Tab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