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ing desatura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7초

Augmentation of respiratory muscle activities in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desaturation

  • Kwon, Dong Rak;Park, Gi Young;Jeong, Ji Eun;Kim, Woo Taek;Lee, Eun J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3호
    • /
    • pp.78-83
    • /
    • 2018
  • Purpose: Frequent desaturation due to immature incoordination of suck-swallow-breathing in preterm infants can influence multiple organs such as the heart, lungs, and brain, which can then affect growth and development. Most notably in preterm infants, feeding desaturation may even affect pulmonary function during gavage feeding. Because respiratory muscle activities may reflect the work required during respiration, we evaluated the differences in these activities between full-term and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desaturation,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with clinical variables. Methods: Nineteen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desaturation (group 1) and 19 age-matched full-term infants (group 2) were evaluated. Oromotor function was evaluated using video recording. The root-mean-square (RMS) envelope of the electromyography signal was calculated to quantify the activities of muscles involved in respiration. The differences in RMS between both groups and the correlation with clinical variables including gestational age (GA), birth weight (BW), and Apgar scores (AS) at 1 and 5 minutes after birth were evaluated. Results: The RMS values of the diaphragm (RMS-D) and rectus abdominis (RMS-R)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group 1 compared to group 2, and the 1- and 5-min A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1 compared to group 2. RMS-D and RMS-R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GA, BW, 1- and 5-min AS in all infant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respiratory muscle activities were augmented during feeding in preterm infants compared to full-term infants. Additionally, respiratory muscle activities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all clinical variables.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수유 시 산소포화도 저하와 구강자극 요법의 효과 (Feeding Desaturation and Effects of Orocutaneous Stimulation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최해원;박혜원;김희영;임진아;구소은;이병섭;김애란;김기수;피수영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193-200
    • /
    • 2010
  • 목적: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는 경구수유를 진행하는데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어, 경구수유로의 이행이 늦어진다. 본 연구에 서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 중, 수유 시 산소포화도 저하가 발생하는 군과 산소포화도 저하가 없는 군 사이의 특징을 비교하고,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경구수유 이행 및 입원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구강자극요법을 시행하는 경우, 수유 시 산소포화도 저하와 경구수유 능력의 발달, 입원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방법: 제 1상 연구에서는 2003년 10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125명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를 대상으로 차트 분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실시하여, 수유 시 산소포화도 저하 여부에 따른 특성, 산소포화도 저하가 경구수유 능력 발달 및 입원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 2상 연구에서는 2009년 3월부터 2010년 5월까지 29명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게 구강자극요법을 시행하며 전향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81명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통해 두 그룹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72.8%에서 수유 시 산소포화도 저하를 보였고. 그 중 37.4%에서 서맥을 동반하였다. 수유 시산소포화도 저하가 발생하는 시점은 평균 58.2일이었고, 당시 평균 175.4 mL의 수유를 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위관영양과 경구수유를 병행하고 있었지만, 36.3%에서는 위관영양만 시행하고 있었다. 수유 시 산소포화도 저하가 발생한 군은 정상군 보다 출생 시 재태연령이 낮고, 5분 아프가 점수가 낮았으며, 위식도 역류 및 상인두 부조화가 유의하게 많았다. 또한 기관지폐이형성이 있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수유 시 산소포화도의 저하가 발생할 확률은 19배 증가하였다. 수유 시 산소포화도 저하가 있는 군은 경구수유로 완전히 이행하는 시기가 늦었으며, 입원기간도 길었다. 위 결과를 토대로,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구강자극요법을 시행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경구수유 시작시기 및 경구수유로 완전히 이행한 시기가 빨랐으며, 입원기간이 단축되었다. 결론: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구강자극요법은 경구수유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입원기간을 단축하는데 도움이 된다.

미숙아에게 적용한 구강 자극 프로그램이 젖병 수유로의 이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Oral Stimulation Program on the Transition from Tube to Bottle Feeding in Premature Infants)

  • 김희영;방경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0-167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 oral stimulation program on premature infant's transition from tube feeding to bottle feeding, decrease in desaturation during feeding, and early discharge.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in on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of an university hospital. The control group data (n=69) were obtained from June 2008 to May 2009, and the experimental group data (n=67), from June 2009 to May 2010. The oral stimulation program (OSP) was provided daily before feeding for the experimental group until transition to bottle feeding was completed. Results: The OSP group began bottle feeding earlier and were on complete bottle feeding earlier than control group. Discharge delay due to feeding desaturation was lower than for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OSP for premature infants was helpful in transition from tube feeding to bottle feeding and early discharge and thus can contribute health and development in premature infants.

기관지폐 형성이상 미숙아의 젖병수유 시 저산소증: 생후 4개월까지 수유상태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Oxygen Desaturation during Nutritive Sucking in Premature Infants with Bronchopulmonary Dysplasia : Its Effect on Feeding and Growth until 4 Months of Corrected Age)

  • 임창환;이주영;이현승;이정현;김소영;성인경;전정식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2호
    • /
    • pp.134-141
    • /
    • 2008
  • 목 적 : 기관지폐이형성을 가진 미숙아에서 젖병 수유(nutritive sucking) 시 산소포화도 저하를 알아보고 저하 정도의 차이가 수유 상태 및 단기 성장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 2002년부터 2007년까지 6년간 가톨릭의대 부속 성모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기관지폐이 형성으로 진단된 미숙아 중에서 심장, 위장관계 및 호흡 기계의 주요 기형이 없었던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재태주령 36주되는 시기에 관찰한 젖병 수유에 따른 산소 포화도의 저하 정도에 따라서 산소포화도 저하가 없거나 경한 14명(A군)과 중등도 이상의 산소포화도의 저하를 보였던 20명(B군)의 임상적 특성, 수유 상태 및 성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유 시 산소포화도가 저하되는 정도는 경증(85-89%), 중등도(81-84%), 중증(${\leq}$80%)으로 나누었다. 결 과 : B군이 A군에 비하여 출생 시 체중이 더 작고, 이른 재태주령에 출생하였으며, 입원기간이 길었고, 늦은 재태주령 시기에 퇴원하였으며, 인공환기 및 산소요법 기간이 더 길었다. B군은 A군보다 젖병 수유를 늦게 시작하였으며, 수유 전 산소포화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젖병 수유 시 산소포화도의 저하 정도가 심했다. 재태주령 40주되는 시점에 수유곤란을 경험한 영아는 B군에 더 많았고, 평균 체중 및 평균 성장 속도도 B군에서 A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교정연령 4개월 시점에는 수유곤란을 경험한 영아의 수, 평균 체중, 성장 속도 등에 있어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기관지 폐 이형성을 가진 미숙아에서 젖병 수유에 의하여 유발되는 산소포화도 저하가 중등도 이상인 경우 수유 곤란 및 성장 부진과 연관이 있으나 그 적용기간은 4개월 미만이었다.

고지방식이 및 운동훈련이 흰쥐 간조직의 총지방산 및 인지질 지방산패턴에 미치는 영향 (High Fat Diet or Exercise Training Alters Hepatic Total and Phospholipid fatty Acid Compositions in Rats)

  • 정은정;엄영숙;차연수;박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1호
    • /
    • pp.13-22
    • /
    • 2000
  • Effects of high fat diet and/or endurance exercise training on hepatic total and phospholipid(PL)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evaluated in rats fed one of the following diets for 31 days. control diet(CD, 5 wt% corn oil) or high fat diet(HFD, 35 wt% corn oil). Half of the rats in each group were exercise-trained regularly on a treadmill for 90 minutes/day during the entire feeding period. Total and PL fatty acid compositions of hepatic lipid extracts were determined by a gas-liquid chromatograph),. Endurance exercise training did not change the daily food intake, but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ratio of rats, which were most prominent in animals fed HFD. Exercise training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percentages of ∑saturated fatty acids (SFA)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PUEA), but decreased the percentage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MUFA) in hepatic total fatty acids, which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decrease in (equation omitted) 9-desaturation index of hepatic total fatty acid metabolism. Exercise training significantly lowered the percentages of 16 : 0 and 22 : 5$\omega$3, and increased the percentages of 20 : 1 and 20 : 3$\omega$3 in both total and PL fatty acid compositions in rat liver. Both total fatty acid and PL fatty acid compositions of rat liver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changes in dietary fat content than to endurance exercise training in this study. Feeding HFD, whoch contains high level of linoleic acid(LA, 18 : 2$\omega$6),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ercentages of ∑SFA and $\Sigma$MUFA, and increased the percentages of ∑PUFA and ∑$\omega$6 fatty acids of hepatic total fatty acids. Hepatic total fatty acid composition was affected by dietary fat content and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more sensitively than those found in hepatic PL fatty acid composition. HFD significantly decreased most of desaturation indices, while exercise training significantly decreased elongation index(20 : 5$\omega$3⇒22 : 5$\omega$3) of hepatic total and PL fatty acid metabolism in rats. (Korean J Nutrition 33(1) : 13-22, 2000)

  • PDF

Comparison of minimally invasive surfactant therapy with intubation surfactant administration and extubation for treating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Sabzehei, Mohammad Kazem;Basiri, Behnaz;Shokouhi, Maryam;Ghahremani, Sajad;Moradi, Ali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5권4호
    • /
    • pp.188-193
    • /
    • 2022
  • Backgroun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is a common cause of hospitalization and death in preterm infants who require surfactant treatment and respiratory suppor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minimally invasive surfactant therapy (MIST) and the INtubation, SURfactant administration, and Extubation (INSURE) technique in preterm infants with RDS. Methods: In this clinical trial, 112 preterm infants born at 28-36 weeks of gestation and diagnosed with RDS randomly received 200-mg/kg surfactant by MIST or the INSURE method. In the MIST group, surfactant was administered using a thin catheter (5F feeding tube); in the INSURE group, surfactant was administered after intubation using a feeding tube and the tracheal tube was removed after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was started.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was applied in both groups for respiratory support and the postprocedure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Results: The mean hospitalization time was shorter for infants in the MIST group than for those in the INSURE group (9.19±1.72 days vs. 10.21±2.15 days, P=0.006). Patent ductus arteriosus was less frequent in the MIST group (14.3% vs. 30.4%, P=0.041). Desaturation during surfactant administration occurred less commonly in the MIST group (19.6% vs. 39.3%, P=0.023).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other early or late complication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rfactant administration using MIST could be a good replacement for INSURE in preterm infants with RDS since its use reduced the hospitalization time and the number of side effects.

신생아에서 Chloral Hydrate의 부작용의 빈도와 관련 인자 (Adverse Effects of Chloral Hydrate in Neonates: Frequency and Related Factors)

  • 이주영;윤영아;김순주;이현승;김소영;성인경;전정식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130-136
    • /
    • 2011
  • 목적: Chloral hydrate는 검사 시 진정 목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약물이나 신생아에 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중환자실에서 chloral hydrate의 사용 시에 나타나는 부작용의 빈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chloral hydrate만으로 진정이 되지 않아 추가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 부작용이 증가하는지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검사 시 진정 목적으로 chloral hydrate를 사용한 104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Chloral hydrate 투여 시 부작용은 41.3%에서 나타났으며 산소 포화도 감소(18.8%), 무호흡 증가(17.5%), 서맥 증가(10%), 수유량 감소(3.8%)가 있었다. Chloral hydrate 투여 시부작용은 chloral hydrate 투여 시기에 산소 투여 여부와 관련이 있었다(odds ratio [OR], 10.911: 95% confidence interval [CI], 2.082-57.178). 추가 약물 투여는 chloral hydrate 투여 시 산소 투여 여부와 관련이 있었고(OR, 4.151: 95% CI, 1.455-11.840) chloral hydrate 단독 투여 군에 비해 수유량 감소를 제외하고는 부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진정 요법이 필요한 검사 시 산소를 투여하고 있는 신생아에서 chloral hydrate의 사용은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고 추가 약물 투여의 가능성이 높다. 추가 약물 투여가 필요한 경우에는 진정 유도 후 나타나는 수유량 감소에 주의하면서 진정을 유도할 수 있겠다.

미숙아에서 발견된 부분형 DiGeorge 증후군 1례 (A Case of Partial DiGeorge Syndrome in Prematurity)

  • 성태정;고은영;김달현;오지은;권영세;임대현;손병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3호
    • /
    • pp.383-389
    • /
    • 2002
  • 저자들은 미숙아에서 청색증과 무호흡증으로 입원 치료 하던 중 저칼슘혈증으로 인한 경련이 나타난 환아에게서 흉부 X선 사진과 MRI상 흉선을 관찰할 수 없으면서 T 세포수의 감소와 부갑상선 홀몬수치 감소를 나타내고 소악증, 어구, 부리모양의 코 등의 안면 기형과 합지증, 코 역류증,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구개 범인두 부전증 등의 증상을 보이며 염색체 22q11 극소결실이 FISH검사에서 확진된 부분형 DiGeorge 증후군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