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lix Guattari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2000년 이후 보그 이탈리아 에디토리얼 패션 사진에 나타난 광기이미지 (Madness images shown i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in Vogue Italia since 2000)

  • 이채영;하지수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3호
    • /
    • pp.450-467
    • /
    • 2014
  • Modern society attaches great important to state of the technology, but, unconscious desire and subconscious are also discussed in an important value. In the social background of such madness is acting as an artistic inspirational to the many people. At such a time, fashion photographs also being used medium which speak for people's desire.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with unusual stories or including experimental visual elements unlike fashion advertising have increas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recognition of madness from ancient times until now and find out new meaning of the unusual and informal form of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showed in Vogue Italia since 2000. The analysis data of this study, we used 36 photographs of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taken by Steven Meisel, Tim Walker and Miles Aldriege. The final process of analysis made in with agreement of 10 major people. We used photograph's basic visual elements as analysis to avoid arbitrary interpretations.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drawing i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from the viewpoint of Michael Foucault's Madness theory, Deleuze and Felix Guattari's Madness as the aspects of desire. The madness images in the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were showed as Decadence, Blindness, Violence and Grotesqu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rom abov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enabled the awareness on the value and importance of madness in modern society. These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can be the source of our wider perspectives for changing recognition of madness.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적 탈주 표현 연구 -송하영 회화·오브제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ressions of Rhizomatic Escape by Deleuze and Guattari - Song Hayoung With a focus on paintings and objet works -)

  • 송하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25-330
    • /
    • 2021
  • 연구자의 작품에 투영되어 있는 탈주체의 형상과 속성, 그리고 탈주 방식 등을 들뢰즈와 가타리가 사회 변혁의 방식으로 제시한 리좀적 사유에 연결시켜 살펴보고, 그것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밝혀보았다. 연구자의 작품에 투영된 탈주체는 어떤 완성체가 아니며 언제나 변화와 생성을 전제하고 있는 질료와 같은 것이다. 이 탈주체는 유·무의식적 욕망이 존재한다. 이 욕망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모순된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등의 긍정적 속성을 지닌 생성의 욕망이다. 탈주체에 이 욕망을 배치하게 되면 탈주을 감행한다. 이 탈주 방식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리좀적이다. 이것은 모순된 것을 해체하고, 외부와의 연결·접속과 단절을 반복하면서 새로운 질서를 생성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리좀적 탈주체는 반복적 붓질을 한 색면과 결합된 오브제를 가변 설치하여 탈주하는 과정과 방식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작품에서 탈주하는 탈주체들의 목표는 존재자들의 가치와 자유롭고 창조적인 삶을 인정하는 공간으로 안전하게 착륙하는 것이다. 이 탈주체들은 드넓은 초원을 유동하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풍경을 생성하는 노마드이며, 모순된 사회에 저항하는 예술가, 문학가, 즉 들뢰즈와 가타리가 사회 변혁의 개념으로 제시한 전쟁기계와 거리의 열정을 만들며 새로운 가치와 정치를 창안·창조하는 니체의 아곤 개념과 연결된다. 이들이 추구하는 것은 기존 질서를 완전 해체하는 것이 아니며, 타자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희망한다.

Portrayal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Chinese novels: Focusing on Shi Tiesheng's novels "Ming Ruo Qin Xuan", "Yuan Zui", "Wo zhi Wu", and "Shan Ding Shang de Chuan Shuo"

  • Dae il M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1호
    • /
    • pp.114-121
    • /
    • 2024
  • Deleuze and Guattari introduced the concept of minority groups resisting the majorit. Minority groups consist of individuals who are excluded and marginalized by the majority. They advocate for a society in which these individuals, through mutual solidarity, can escape prejudice and fixed ideologies and lead a dignified human life. In this context, through his novels featuring protagonists with disabilities, Stéphane aimed to create an ideal societal atmosphere. The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in the novels incessantly strive toward life goal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of effort and progress, even if the ultimate goals are not achieved. The dedicated pursuit of goals and the journey toward them hold significance beyond the attainment of objectives. Such an attitude and approach toward life by minority individuals is deemed sufficient to challenge the power structures established by the majority. This narrative challenges the societal norm and power structures, which highlights the value and meaning found in the process of striving and progressing, and ultimately contributes to breaking down societal barriers and fostering a more inclusive and equitable society.

피터 핼리 작품에 나타난 전형성 (감옥, [독]방, 도관[통로])의 사회적 의미 (The Social Meanings of Typicality(Prison, [Solitary] Confinement, and Conduit[Passage]) in Peter Halley's Works)

  • 송하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31-336
    • /
    • 2021
  • 우선 핼리 작품에 나타난 감옥, (독)방, 도관(통로) 등의 전형성에 대한 사회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핼리 작품에 드러난 감옥과 (독)방은 억압된 구조적 틀이지만 전자는 자유와 탈주가 배태되어 있다는 것, 후자는 긍정적인 매개성을 지닌 공간으로 상호 조절과 접속을 가능케 할 수 있다는 것, 도관은 유동적이면서 외부와의 접속과 소통을 통해 새로운 것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다음으로 핼리 작품에 드러난 전형성의 의미와 질 들뢰즈와 페릭스 가타리가 사회 정의로 제시한 선분 개념이 상호 맥을 같이 한다는 측면에서 비교·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핼리의 감옥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견고한 선, (독)방은 유연한 선, 도관(통로)은 탈주선과 연결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리좀 특성이 반영된 하이퍼텍스트스페이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pertext-space based on the Rhizome characteristic)

  • 안현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63-73
    • /
    • 2011
  • In the middle of that a information form is being formlessly changed to diverse deirections, a design and a space as physical consequence show not only a allegory but mutually relational charicteristic meaning a nonboundary and nonlinear form by development of modem digital culture. Following development of the modern digital culture, a design and space which are physical results, show a point of correlative specificity, allegory, nonlinear and nonboundary, Not only a design and culture but also various circles handle a hypertext as a representative pivot in this change. this has same contexts as rhizome possessing a asignifiante and nomadic characteristic said by Felix Guattari and Gilles Deleuze. An ideal of rhizome space shows historical decisions, unexpected accidents, a concepts, an individual. a group, social compositions above an contrifugal exterior force, This study examines into surroundings designed by a hypertext and rhizome through a case accordingly and infers an ultramodern characteristic in conventional precognition with synthesizing a peculiarity of the digital generation space.

The Other's Body: Vietnamese Contemporary Travel Writing by Women

  • Anh, Lo Duc
    • 수완나부미
    • /
    • 제11권1호
    • /
    • pp.169-184
    • /
    • 2019
  • In recent years, Vietnamese literature has seen the rise of women writers in a genre traditionally dominated by men-travel writing. Phuong Mai, Huyen Chip, Dinh Hang, among others, are just a few who have introduced innovations to this gen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actice of contemporary Vietnamese women travel-writers and how they differ in perception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One of the most crucial differences is that women perform cultural embodiment, employing their bodies instead of their minds. An encounter of the woman writer with other cultures is, therefore, an encounter between the body and the very physical conditions of culture, which leads to a will to change, to transform, more than a desire to conquer, to penetrate the other. Utilizing the concept deterritorialization developed by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this paper argues that despite being deemed fragile and without protection, women's bodies are in fact fluid and able to open new possibilities of land and culture often stripped away by masculinist ideology.

  • PDF

노인 미디어 교육을 통한 '여성 - 되기' 사례 연구 -노인 미디어 학습동아리 <은빛둥지> 활동을 중심으로 (Case Study of 'Becoming Women' through the Media Education -Media Education Club for Seniors )

  • 장유정;강진숙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0권
    • /
    • pp.277-305
    • /
    • 2015
  • 후기구조주의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는 소수성과 소수자에 관한 논의를 통해 현대사회는 이미 소수자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즉, 노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이자 특이성을 지닌 소수자들의 '- 되기'를 제시하고 있다. '- 되기'는 어떻게 하면 기존의 동일성에서 분열하여 다른 삶, 다른 주체로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실천적 방법론이다. 연구 목적은 '여성 - 되기'를 위한 노인 미디어 교육을 탐색하여 노인여성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노인 미디어 교육의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론적 논의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주요 개념과 사유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유를 전제하는 이유는 기존의 양적 기준으로 정의되었던 소수자와 소수성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소수자로서 노인여성들의 욕망을 '- 되기'라는 생성의 차원으로 재조명하고자 함이다. 이를 통해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노인 미디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후기구조주의적 신체론에 의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서의 신체표현 연구 -1990년대 이후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ressional Features of Body through Fashion Illustration based upon Post-Structuralism Theory -Focused on Fashion Illustrations since the 1990's)

  • 김순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1052-1063
    • /
    • 2007
  •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body images appearing in the fashion illustrations since the 1990's and thereby attempts to determin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xpressional features and aesthetic values in reference to theory of post-structuralism. Especially among numerous post-structuralist, Michel Foucault, Gilles Deleuze/Felix Guattari, and Julia Kristeva set unique arguments on body, which provide valuable leads to decipher the image of body. For that reason, body images shown in the fashion illustration are categorized into grotesque body, fragmented body, humanoid body, and post-gendered body, and reviewed their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s based on critics of above three scholars.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mage of body entails meaning of an resistance of traditional social concepts and order, and second it serves the purpose of creating a new and unique sense. Finally, it is not an object of representation of physical facts, but rather a representation of the real itself, apart from presenting the original material. Given arguments enhance understanding of images of body in fashion illustration in a broader sense.

뒤샹의 레디메이드에 함의된 노마드적 사유 (Nomad Thinking Implied in Duchamp's Readymades)

  • 송하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215-222
    • /
    • 2021
  • 뒤샹이 레디메이드를 선택한 주요 요인은 망막적 회화의 부정, 그리고 그의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변화에 대한 욕망과 유동적 사유 때문이었다. 뒤샹의 그러한 사유는 레디메이드 작품에서 잘 드러난다. 그의 레디메이드 초기 작품 <자전거 바퀴> 는 존재자들과 자본과의 상관관계를 표현한 것으로 그 본질은 자본과 존재자들의 욕망을 염두에 둔 것이다. 이것은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가 사회의 변혁과 창조적 모델로 제시하였던 욕망 또는 욕망기계와도 연관된다. 그런데 <자전거 바퀴> 가 단순하게 자본과 존재자들의 욕망 관계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존재자들이 지닌 욕망이 긍정적 욕망으로 전환했을 때는 그것이 끊임없이 반복적이고 유동적이며 새로운 것을 창안·창조한다. 뒤샹은 이러한 긍정적 욕망을 레디메이드 <샘> 을 통해 전달하고자 했다. 뒤샹이 변기라는 기성품을 <샘> 이라는 개념으로 창조시켰던 것은 그에게 유동하는 욕망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것은 정착하지 않고 끊임없이 유동하면서 새로운 풍경을 찾아다니는 노마드의 속성과 연관된다. 이러한 그의 사유는<여행 가방 속 상자>라는 작품에서 확연하게 드러난다. 뒤샹이 <여행 가방 속 상자> 작품을 제작하게 된 동기는 그의 유동적 사유가 주요했다. 그런데 이 작품은 장소와 배치라는 두 가지 요소의 향방에 따라 다양한 상황이 수시로 전개될 수 있다. 여기서 장소는 유동성, 배치는 가변성 또는 욕망을 담보하고 있다. 유동성은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에 의하면 흐름과 변주(變奏)의 특성을 지닌 노마드인 것이며, 욕망은 생산성 즉 생성 또는 창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여행 가방 속 상자> 는 노마드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의 노마드는 끊임없이 유동하면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한곳에 정착하기를 거부했었던 그리고 기존 질서로부터 탈주하여 새로운 예술세계를 창조했었던 뒤샹의 사유와 부합한다. 이 노마드는 혁명가, 차이를 긍정하고 생성을 만들어 내는 창조자라는 할 수 있다. 노마드는 기존 질서에 대한 저항의 개념도 담고 있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이 저항의 모델로 전쟁기계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뒤샹과 그의 레이메드 작품 등은 모두 전쟁기계로 볼 수 있다.

상호작용성(Interactivity)과 리좀(Rhizome)적 작품체계: 디지털 이미지를 중심으로 (Interactivity and Rhizomatic Art Systems: Focusing on the Digital Images)

  • 박연숙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9호
    • /
    • pp.33-57
    • /
    • 2010
  •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interactivity in the appreciation of media art, this study is associated with the continually changed art texts and a participator's physical reactions to savor the art. Digital works of art emphasizing interactivity usually decentralize and disperse the responsibility and the central role for creating and producing the art works. Proper procedure of the work is generated by actions such as clicking the mouse, controlling the joy stick or actual movement of anticipators' bodies. The art works are influenced by participators' interactivity, which makes the leading roles and the responsibility for creating art scattered and divided. These features are similar with those of the 'Rhizome' which Gilles Deleuze(1925~1995) and Felix Guattari(1930~1992) have discussed. In their argument, 'Rhizome' is an interval or being 'between', which keeps changing. 'Rhizome' is a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 and the work of art never reach the conclusion, only a phenomenon of eternally altering. Like 'Rhizome', this sort of art work has the decentralized system, opens for several directions, and activates the system which is changeable as linked items increased or decreased. These works stimulate the individual to perform and act while appreciating the art piece. In terms of processing and preceeding, interactivity is the important equipment and catalyzer. Through these procedures, the pieces can be the 'floating work of art' combined and condensed with the whole participators' reactions. The 'floating work of art' is neither the expression of an individual nor that of one particular group. Multidimensional influence of the web is the web which is constantly reorganizing and producing in its connective state. This connective state is activated by interactivity. The Rhizomatic system embodies the floating work of art process. Due to each individual perceiving art in individualistic terms, there is no dominating powers or central points. I regard this art works possessing above traits as the work of art with Rhizomatic system. The work of art with the Rhizomatic system is embodied through interactivity and because physical action activates the process of appreciation, a participator can actually experience and practice the philosophy. Ultimately the Rhizomatic speculation occurs during the interactivity of appreciating the Rhizomatic art pieces. The Rhizomatic system penetrates into the intuitive area beyond our recognition and thoughts, as we are engaged in the connective process. With the methods and manners of interactive art, we can possibly reconsider the system as a tool in which the participator is directly able to link experience and theory to the philosophies of Deleuze and Guattar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