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cus elastic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1초

Bioprospecting of Novel and Bioactive Metabolites from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Rubber Tree Ficus elastica Leaves

  • Ding, Zhuang;Tao, Tao;Wang, Lili;Zhao, Yanna;Huang, Huiming;Zhang, Demeng;Liu, Min;Wang, Zhengping;Han, 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5호
    • /
    • pp.731-738
    • /
    • 2019
  • Endophytic fungi are an important component of plant microbiota, and have the excellent capacity for producing a broad variety of bioactive metabolites. These bioactive metabolites not only affect the survival of the host plant, but also provide valuable lead compounds for novel drug discovery. In this study, forty-two endophytic filamentous fungi were isolated from Ficus elastica leaves, and further identified as seven individual taxa by ITS-rDNA sequencing.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se endophytic fungi was evaluated against five pathogenic microorganisms. Two strains, Fes1711 (Penicillium funiculosum) and Fes1712 (Trichoderma harzianum), displayed broad-spectrum bioactivities. Our following study emphasizes the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bioactivity testing of chemical metabolites produced by T. harzianum Fes1712. Two new isocoumarin derivatives (1 and 2), together with three known compounds (3-5) were isolated, and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using NMR and MS. Compounds 1 and 2 exhibit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Our findings reveal that endophytic fungi from the rubber tree F. elastica leaves exhibit unique characteristics and are potential producers of novel natural bioactive products.

다섯가지 관엽식물의 광합성에 의한 실내 이산화탄소 제거능력 비교 (Comparison of Indoor CO2 Removal Capability of Five Foliage Plants by Photosynthesis)

  • 박신애;김민지;류명화;오명민;손기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864-870
    • /
    • 2010
  • 본 연구는 실내 관엽식물들의 실내 이산화탄소 제거능을 규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5종의 관엽식물인 헤데라($Hedera$ $helix$ L.), 벤자민 고무나무($Ficus$ $benjamina$ L.), 파키라($Pachira$ $aquatica$), 테이블 야자($Chamaedorea$ $elegans$),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를 사용하였다. 피트모스 배지와 하이드로볼 배지에 이식된 식물을 각각 밀폐 동화상에 넣고, 이산화탄소 500ppm 또는 1,000ppm을 주입하고, 광도는 50과 $200{\mu}mol{\cdot}m^{-2}{\cdot}s^{-1}$ 두 수준으로 하여, 주간과 야간의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1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변화량을 광합성 속도(${\mu}molCO_2{\cdot}m^{-2}{\cdot}s^{-1}$)로 산출하였다. 주간에 모든 품종의 식물들이 밀폐 동화상 안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였다. 파키라($Pachira$ $aquatica$)와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가 이산화탄소 제거에 효과적이었다. 초기 주입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500ppm일 때보다 1000ppm일때, 광도가 $50{\mu}mol{\cdot}m^{-2}{\cdot}s^{-1}$일 때보다 $200{\mu}mol{\cdot}m^{-2}{\cdot}s^{-1}$일 때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크며, 광합성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별로 광합성률을 비교해 보면, 파키라($Pachira$ $aquatica$), 헤데라($Hedera$ $helix$ L.),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와 같이 엽면적이 넓은 식물들이 상대적으로 엽면적이 작은 테이블 야자($Chamaedorea$ $elegans$)와 벤자민 고무나무($Ficus$ $benjamina$ L.)와 같은 식물들보다 높은 광합성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품종에서 주간에 흡수된 이산화탄소량에 비해 야간에 식물의 호흡에 의해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배지 종류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광합성률에서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실험을 통해서 관엽식물을 이용하여 실내 오염물질인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주간에 식물이 광합성 잘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거나, 부피가 크고 실내와 같은 저광 조건에서 활발한 광합성이 가능한 식물을 선택함으로써 이산화탄소 제거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관수주기에 따른 실내녹화용 목본식물 4종의 초기 생육반응 (Initial Growth Responses of Four Woody Plants for Indoor Landscaping according to Irrigation Frequency)

  • 권계정;박봉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8-34
    • /
    • 2017
  • 본 연구는 실내에 많이 사용되는 목본식물인 산호수(Ardisia pusilla), 클루시아(Clusia rosea), 팔손이(Fatsia japonica), 인도고무나무(Ficus elastica)를 대상으로 관수주기에 따른 식물생육 상태를 측정하여 향후 실내 환경개선에 도움이 되는 조경식물의 적절한 관수주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목본식물 4종을 10cm 포트에 식재하여, 관수주기를 2회/1주, 1회/1주, 1회/2주의 3수준으로 하여 120일 동안 처리한 후, 초고, 생체중, 건조중, SPAD, 엽색, 엽수분포텐셜, 엽록소 형광(Fv/Fm), 광합성율을 측정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평균 토양수분함량은 2회/1주 $48.8{\pm}2.1%$, 1회/1주 $25.2{\pm}4.4%$, 1회/2주 $10.3{\pm}2.4%$ 순으로 나타났다. 2회/1주 관수 시 산호수는 엽수분포텐셜이 높게 나타났고, Fv/Fm이 0.731로 나타나 과습에 대한 스트레스를 보였다. 1회/2주 관수 시 산호수, 팔손이, 인도고무나무의 광합성율은 유의성이 없어 클루시아에 비해 건조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회/1주 관수하여 평균 토양수분함량이 25%일 때 본 실험에 사용된 4종 목본식물 모두 실내 생육이 원활한 것으로 나타나 실내조경용으로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관엽식물의 근권부 박테리아 집단이 실내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cterial Population from Rhizosphere of Various Foliage Plants on Removal of Indo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 천세철;류명화;문영숙;신미호;손기철;정일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76-483
    • /
    • 2010
  • 실내식물 9종의 근권부 하이드볼 배지에서 배양된 세균집단이 공기중 벤젠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여러 식물 근권부의 배양토에서 배양된 세균 집단은 벤젠을 제거할 수 있었는데, $Spathiphyllum$ $wallisii$ Regel, $Pachira$ $aquatica$, $Ficus$ $elastica$, $Dieffenbachia$ sp. 'Marrianne' Hort., $Chamaedorea$ $elegans$ 식물들은 벤젠의 초기농도를 1.000으로 기준하였을 때, 세균 집단이 전혀 없는 배지의 대조구 초기 농도 대비 잔류율이 0.596이었으나 상기 언급한 식물들은 0.741-1.000으로서 벤젠의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켰다(LSD, $P$=0.05). 이와 같은 경향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었지만 톨루엔의 경우에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P.$ $aquatic$ 근권부의 배양토로부터 배양된 세균 집단을 $P.$ $aquatica$, $F.$ $elastica$, $S.$ $podophyllum$에 접종하였을 때 접종하지 않은 식물들에 비하여 벤젠과 톨루엔을 현저히 제거하는 효과가 나타나, 근권부의 미생물 집단을 이용하여 공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을 제거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미지 조사를 통한 자생수종 활용에 관한 연구 -상층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Interior Lanscape Plant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Image -Focused on the Tall Trees-)

  • 조현진;방광자;이남현;이영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0-221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te the visual preference and response between introduced and native trees for utilization of the south native trees in interior space. 1.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was below 500lux at 24 buildings of interior spaces surveyed. Generally the temperature was 24~$26^{\circ}C$, and humidity was 60~70%. 2. Total number of introduced tree species were 9 familiar, 16 genus, 18 species, especially palm genus were the largest tree among them at these surveyed interior spaces, but native trees were only 2 species. The introduced tree of 2 to 3m in height was 46 percent, and the case of 1.2 to 2m was 42 percent. 3. The mean of visual preference was the highest at Rhapis excelsa and howeia belmoreana, and followed with Neolitsea sericea, Daphniphllum macropodum, Listsea japonicum. In the mean of visual preference for selected tree groups, native tree was not different as compared with introduced tree. 4. Visual image factor of the native and introduced trees at interior spaces was classified by individual factor and emotional factor. These 2 factors were shown 66.5% total variance. The native tree was strongly recognized on individual factor, as , and introduced tree was also strongly recognized on emotional factor. 5. In the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and image, a difference between the selected groups of the introduced and native trees were not shown significant, and the introduced trees were similar to the native trees on the visual image. This result was as follow There was an analogy between Cinnamomum camphora, Ligustrum japonicum and Ficus retusa, Ficus benjamina. There is an analogy between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innamomum japonicum and Ficus retusa, Ficus benjamina. There was an analogy between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Fatsia japonica and Rhapis excelsa, Howeia belmoreana. There was an analogy between Neolitsea sericea, Daphniphyllum macropo여, Listsea japonica and Rhapis excelsa, Howeia belmoreana. There was an analogy between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Fatsia japonica and Dracaena fragranse, Ficus elastica, Monstera deliciosa.

  • PDF

형광등과 자연광의 광도에 따른 실내조경식물의 생육반응과 도입 방안 (Growth Responses and Introduction Plan of Interior Landscape Plants under Light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 and Sunlight)

  • 최경옥;이상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19-128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fundamental information of growth response of interior landscape plants under a fluorescent lighting, a sunlight at indoor. Ficus elastica Roxb. vu. decora Hort, Spathiphyllum 'Clevelandii', Codiaeum variegatum Blume var. pictum Mvell. Arg. 'Exalant' and Cordyline terminalis Kunth var. red edge Hort were examined under 100lux, 500lux, 1,000lux and 2,000lux light intensity consisted of fluorescent lighting and sunlight at indoor condition. Result of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A Ficus elastica Roxb. var. decora Hort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fluorescent lighting than sunlight. A plant growth status showed the best result under 2,000lux light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ing in cases of all conditions. 2. A Spathiphyllum 'Clevelandii' showed the best effective adaptations under law intensity among experimental plants. A Spathiphyllum 'Clevelandii',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fluorescent lighting than sunlight. A plant growth status showed the best result under 1,000lux light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ing in cases of all conditions. 3. It need the best high establishment of fluorescent lighting among experimental plants for good plant growth. A Codiaeum variegatum Blume var. pictum Mvell. Arg. 'Exalant'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fluorescent lighting than sunlight. A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high light intensity in case of same light source. A plant growth status showed the best result under 2,000lux light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ing. 4. A Cordyline terminalis Kunth var. red edge Hort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fluorescent lighting than sunlight. but, A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500lux\sim1,000lux$ than 2,000lux in cases of all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ing. while, A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1,000lux\sim2,000lux$ in cases of all intensity of sunlight.

Prevalence of Antibiotics in Nectar and Honey in South Tamilnadu, India

  • Solomon, RD. Jebakumar;Santhi, V. Satheeja;Jayaraj, Vimala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0권3호
    • /
    • pp.163-167
    • /
    • 2006
  • Reverse-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P-HPLC) based technique is one of the most sensitive techniques to detect the antibiotics present in honey. In the southern part of Tamilnadu, India, majority of the farmlands are occupied by plantations such as coconut, banana and rubber. A variety of antimicrobial compounds and antibiotics, which have been reported in pollen, nectar and other floral parts of the plant, gets accumulated in honey through honeybees (Apis mellifera). We have collected the nectar samples from banana (Musa paridasiaca) and rubber (Ficus elastica) flowers and the honey from honey hives of banana and rubber cultivated areas. The extracted nectar and honey samples are subjected to RP-HPLC analysis with authentic antibiotic standards. Nectar and honey samples showed 4-17, 11-29 ${\mu}g/kg$ of streptomycin, 2-29, 3-44 ${\mu}g/kg$ of ampicillin and 17-34, 26-48 ${\mu}g/kg$ of kanamycin respectively.

소형 벤로형 유리온실에서 적외선등 난방 시스템의 난방효과 분석 (Analysis of Heating Effect of an Infrared Heating System in a Small Venlo-type Glasshouse)

  • 임미영;고충호;이상복;김효경;배용한;김영복;윤용철;정병룡
    • 화훼연구
    • /
    • 제18권3호
    • /
    • pp.186-192
    • /
    • 2010
  • 경상대학교 농장 벤로형 유리온실($280m^2$)에 적외선등 난방 시스템을 설치하였다. 분식물 호접난, 홍콩야자나무, 무늬고무나무, 장미에 대한 적외선등 난방 시스템의 가열효과를 알아보고자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난방의 효과를 적외선등 난방시스템 'On'과 'Off'로 달리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적외선등 난방 시스템의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온실 내부 설정온도가 $18^{\circ}C$일 때 식물체의 엽온도는 $22.8{\sim}27^{\circ}C$, 화분에 담겨 있는 배지의 온도는 $21.3{\sim}24.3^{\circ}C$이었다. 관엽식물과 같이 키가 큰 작물은 상부의 온도가 홍콩야자나무와 무늬고무나무 각각 $24.0^{\circ}C$$26.9^{\circ}C$로 가장 높았고, 아래 로 내려오면서 점점 온도가 내려가는 경향을 보였다.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온도 변화 관찰을 통하여 적외선등 난방 시스템을 이용한 온실내 작물의 가열 효과는 충분함을 알 수 있었다. 장미의 경우 적외선등 난방 시스템을 이용한 난방의 경우 밤과 새벽 사이 외부 기온이 많이 떨어지는 시점에도 설정온도($18^{\circ}C$)에 가깝게 유지되고 있었다. 특히 'On' 상태에서 근권부 평균온도는 $21.8^{\circ}C$이었고, 엽의 평균온도는 $17.8^{\circ}C$이었다. 'Off' 상태의 경우 근권부 평균온도가 $20.4^{\circ}C$이었고, 엽의 평균온도는 $15.5^{\circ}C$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난방부하량은 약 $24,850{\sim}35,830kcal{\cdot}h^{-1}$ 정도로서 이 때 난방비를 경유로 환산 하면 약 27,000~40,000원 정도였다. 소비전력량과 전력요금은 각각 330~560 kWh 및 8,600~14,800원 정도였다. 즉 전체적으로 단순비교해 볼 때, 적외선등 난방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경유 온수보일러에 비해 난방비용이 약 35%정도 밖에 소요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적외선등 난방시스템을 이용한 난방의 경우 야간 시간대에 공기온도가 설정온도 보다는 다소 낮게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유리온실의 경우 밀폐성이 좋지 않아서 공기온도를 설정한 온도수준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유리온실에서 적외선등 난방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설치간격, 센서 부착위치 및 공기대류 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