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ball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BLEVE와 Fireball의 매개변수 민감도분석 및 피해 산정 (Parametric Sensitivity Analysis and Damage Estimation for BLEVE and Fireball)

  • 김형석;김인태;송광호;고재욱;김인원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5-36
    • /
    • 1998
  • 석유화학산업에서는 많은 복잡한 공정과 고온, 고압으로 가연성과 반응성을 가진 화학물질을 사용$\cdot$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 및 폭발사고의 가능성이 잠재하고 있다. 화학공장은 특성상 BLEVE (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와 Fireball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BLEVE와 Fireball에 의한 폭발 영향평가를 위하여 모델을 제시하고 피해를 예측 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BLEVE는 단열 팽창 모델, 등온 팽창 모델, 물리적 폭발모델을 Fireball은 Solid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모델의 매개변수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벤젠, 톨루엔, 메타-자일렌의 BLEVE와 Fireball에 의한 폭발량 등의 피해를 산정하였다.

  • PDF

Fireball로 인한 Thermal flux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Flux Estimation of Fireball)

  • 김인태;김인원;송희열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46-52
    • /
    • 2000
  • Fireball로 인한 위험성 및 피해를 평가하기 위한 프로그램, FIRESTOR를 개발하여 Fireball로 인한 Thermal flux를 예측하였고, FIRESTOR 프로그램을 부천가스 충전소 사고를 모델로 하여, BLEVE ESTIMATOR와 상용프로그램인 Dupont 사의 SAFER와 비교 분석 하였 다. 용기압력이 일정시 Propane과 Butane의 경우 Thermal flux는 거리변화에 따라 지수함 수로 감소하였다. 거리변화에 따른 Thermal flux변화를 BLEVE ESTIMATOR, SAFER, FIRESTOR로 상호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연구개발한 FIRESTOR 프로그램은 SAFER 와 ESTIMATOR의 중간값으로 Dupont사의 상용프로그램인 SAFER에 근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우수한 프로그램으로 판단된다.

  • PDF

핵폭발 초기 화구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SIMULATION OF INITIAL FIREBALL AFTER NUCLEAR EXPLOSION)

  • 송승호;이창훈;최정일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5-51
    • /
    • 2014
  • We develop a numerical method for solving the radiation hydrodynamic equations in one-dimensional spherical coordinates. The present method is validated through simulations of shock tube, thermal radiative diffusion and point explosion problems. The transient growth of the fireball is investigated by varying explosion yields. The present study clearly captures well-known breakaway phenomena related to the shock separation between pressure waves and thermal shock front. The fireball radius at the breakaway point is roughly increased by the yield to power of 0.4.

2020년 9월 23일 서천 화구 폭발 관측 연구 (A Study of the Seocheon Fireball Explosion on September 23, 2020)

  • 제일영;김인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88-699
    • /
    • 2021
  • 2020년 9월 23일 새벽 1시 39분경 전국 여러 곳에서 목격된 서천 화구는 대기권에 진입 후 두 차례 폭발했음이 전천 카메라 영상에 확인되었으며, 충격파는 한반도 서남부 지역 지진 및 인프라사운드 관측소에 기록되었다. 17개 관측소에서 측정된 화구 지진파 및 음파의 도달 시간 정보와 베이지안에 기초한 격자탐색법으로 화구 발생 위치를 추정하였다. 위치결정에는 대기권 바람 분포에 따른 음파 속도 변화를 반영하여 계산 결과의 신뢰도를 높였다. 화구 발생 위치는 36.050°N, 126.855°E, 고도 35 km로 전천 카메라 영상에서 관측된 두번째 화구 위치와 유사하였다. 서해 상공에서 한반도 내륙으로 입사하며 발생한 두 차례의 폭발이 근거리 인프라사운드 관측소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서천 화구 폭발 충격음은 장거리를 전파하여 최대 ~266 km에 위치하는 관측소에서도 기록되었으며 파형 모델링이 관측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인프라사운드 5개 관측소에서 측정된 두번째 화구 폭발 신호의 평균 주기는 ~0.4 s이며, 주기-폭발 에너지 관계식을 적용했을 때 서천 화구의 폭발 에너지는 약 0.3 ton TNT 폭발에 상응한다.

Unusual Radar Echo from the Wake of Meteor Fireball in Nearly Horizontal Transits in the Summer Polar Lower-Thermosphere

  • Lee, Young-Sook;Kirkwood, Sheila;Kwak, Young-Sil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5권2호
    • /
    • pp.83-92
    • /
    • 2018
  • The summer polar lower thermosphere (90-100 km) has an interesting connection to meteors, adjacent to the mesopause region attaining the lowest temperature in summer. Meteors supply condensation nuclei for charged ice particles causing polar mesospheric summer echoes (PMSE). We report the observation of meteor trail with nearly horizontal transit at high speed (20-50 km/s), and at last with re-enhanced echo power followed by diffusive echoes. Changes in phase difference between radar receivers aligned in meridional and zonal directions are used to determine variations in horizontal displacements and speeds with respect to time by taking advantage of radar interferometric analysis. The actual transit of echo target is observed along the straight pathwa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extended as much as a distance of at least 24 km and at most 29 km. The meteor trail initially has a signature similar to 'head echoes', with travel speeds from 20 - 50 km/s. It subsequently transforms into a different type of echo target including specular echo and then finally the power reenhanced. The reenhancement of echo power is followed by fume-like diffusive echoes, indicating sudden release of plasma as like explosive process probably involved. We discuss a possible role of meteor-triggered secondary plasma trail, such as fireball embedded with electrical discharge that continuously varies the power and transit speed.

Uniconazole처리가 토마토의 저온 및 고온 피해 경감에 미치는 효과 (Alleviation of Low and High Temperature Injury in Tomato Plants by Uniconazole)

  • 구자형;이영복
    • 농업과학연구
    • /
    • 제27권2호
    • /
    • pp.86-94
    • /
    • 2000
  • 작물의 저온 및 고온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토마토 품종, Fireball과 Patio를 공시재료로 하여 0, 0.001, 0.01, $0.1mg{\cdot}pot^{-l}$의 uniconazole을 처리하였다. 주간/야간의 길이를 12시간으로 하고, 온도를 $25/25^{\circ}C$, $2.5/25^{\circ}C$, $25/2.5^{\circ}C$, $40/40^{\circ}C$로 조절하여 4일간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시피해율과 간장의 억제율은 $2.5/25^{\circ}C$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엽장의 감소는 $40/40^{\circ}C$에서 가장 높았다. 주야간 고온($40/40^{\circ}C$)을 처리한 경우 개화를 지연시켰고 화뢰의 발달을 저해하고 낙뢰를 초래하였다. 온도처리에 따른 피해율은 Fireball에서 Patio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uniconazole은 식물체의 생장을 크게 억제하고 chlorophyll의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개화를 지연시키고 저온 및 고온에 의한 가시피해율을 크게 감소시켰다. 3. 일반적으로 uniconazole처리는 고온 및 저온에 의한 엽록소함량의 감소와 개화지연 및 화뢰의 낙뢰를 막아주는 효과는 크게 인정되지 않았다. 고농도 처리는 오히려 Fireball 품종에서 개화지연과 화뢰의 낙뢰를 조장하는 결과를 보였다. 4. Uniconazole의 저온 피해 경감은 free radical scavenger의 역할을 하는 물질의 생성 및 활성증대가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되나 고온피해에 대한 경감효과의 해석에는 더 진전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스티렌 모노머 화재폭발사고 피해예측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mage prediction analysis for styrene monomer fire explosion accidents)

  • 최형수;최민제;조규선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37-44
    • /
    • 2024
  • 본 연구는 석유 화학사 생산공장에 설치된 스티렌 모노머 저장 탱크의 화구(fireball)와 증기운 폭발(VCE)에 대한 최악의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피해 예측 및 사고영향을 분석하였다. 혼합잔사유 저장 탱크의 주성분인 스티렌 모노머 이상중합반응 시 화구(fireball)와 증기운 폭발(VCE)로 인한 복사열과 과압의 영향 범위는 e-CA 사고 피해 예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복사열과 폭발 과압의 피해 영향 범위는 각 최대 반경 1,150m와 626m로 분석된다. 복사열 4kW/m2이 미치는 1,150m 이내 사람은 20초 동안 노출 시 피부가 부풀어 오를 수 있다. 폭발 과압 21kPa이 미치는 626m 이내 건축물은 철 구조물의 손상과 기초에서 이탈될 수 있고, 사람은 신체 부상할 수 있다. 화재, 폭발 또는 누출 사고 발생 시 복사열, 과압에 의한 사업장 내 근로자, 인근 주민 또는 주변 시설물 등의 위험 정도와 수용 여부 위험 기준을 판단하고, 취급 물질 유해·위험성 파악, 비상대응체계 구축, 개선 및 투자 활동 등을 통해 사업장 피해 최소화 대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위험물 취급설비 화재 사고결과 영향평가 프로그램 개발 방향 (Development Direction of Fire Consequence Analysis Programs for Hazardous Materials)

  • 유재환;김용수;이영순;이경봉;이성우;박달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 취급설비에 대하여 4가지 화재유형으로 나누어 사고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작성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SuperChems Pro., 3.1, SAFER Trace Ver., 8.2, PHAST Pro., Ver., 5.2 등 외국의 사고결과 영향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고결과 영향평가 프로그램의 적용 특성을 분석·평가하였으며 이들 프로그램의 분석, 적용 평가 결과 및 관련이론을 활용하여 이를 전산화 할 수 있는 화재모델 및 서브모델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 PDF

지하매설 도시가스배관의 누출시나리오에 따른 사고피해영향분석 (Consequence Analysis for Release Scenario of Buried High Pressure Natural Gas Pipeline)

  • 김진형;고병석;양재모;고상욱;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7-74
    • /
    • 2014
  •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심지역에 매설된 천연가스 공급배관은 외부 또는 내부 결함으로 인한 가스의 누출, 확산, 화재, 폭발로 발생되는 재산과 인명피해의 큰 잠재위험을 지니고 있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정량적 평가에 기초한 위험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매설배관의 정량적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사고피해영향 분석을 통한 화학물질의 누출량 계산, 확산 분석, 화재 및 폭발로 인한 복사열과 압력파 계산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CPS, TNO에서 제안하는 model 들을 통하여 실제 San Bruno 매설배관 폭발 사고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천연가스의 누출량, Fireball의 복사열 계산을 수행하고 결과 값을 실제 피해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반응성구조체의 고속충돌에 따른 온도분포 분석 (Analysis on Temperature Profiles upon High Speed Impact of Reactive Structural Materials)

  • 정상현;조수경;배광태;이기봉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54-664
    • /
    • 2017
  • The temperature profiles upon high speed impact of reactive structural materials were analyzed. A two color pyrometer, which included high-speed camera, spectral splitter, and band pass filters, was utilized to measure transient temperature profiles during and after reactive metal samples impacted into steel plate with velocities of 1600~1700 m/s. The spatial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analyzed from the ratio of spectral radiances at two different wavelength in infrared zone, i.e. 700 and 900 nm. The measured temperatures were calibrated with black body source. Two different types of metal samples, namely aluminum and nickel, were employed to understand reaction behavior upon the impact of samples in ambient condition. According to our experiments, the Ni sample appeared to barely react with ambient air producing an instant small fireball, while Al sample reacts violently with air generating a relatively prolong fireb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