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ing test mod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6초

1 N급 단일추진제 추력기 개발모델의 장기수명 연소시험 -Part II: 펄스모드 성능 특성 (Life Firing Test of 1 N-class Monopropellant Thruster Development Model -Part II: Pulse Mode Performance)

  • 원수희;김수겸;전형열;이준희;박수향;이재원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8-74
    • /
    • 2014
  • 1 N급 단일추진제 추력기 개발모델의 장기수명 연소시험 동안 펄스모드 성능 특성 및 성능 추이를 살펴보았다. 응답 시간의 경우 주입압력조건에 따른 편차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으며, 점화지연, 반응시간, 하강시간이 각각 32-35 ms, 86-91 ms, 89-98 ms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안정화된 펄스 영역에서 주입압력조건에 따라 임펄스 비트는 $3{\sigma}$ 기준 1.41, 1.32, 2.10%의 뛰어난 재현성을 보여주었다. 장기수명 연소시험 동안 임펄스 비트가 다소 감소하지만 그 감소폭은 제한적이며, 따라서 펄스모드 성능이 유지되었다. 추력 중심 지연 또한 장기수명 연소시험 동안 일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형 액체 추진기관 연소 시험을 위한 추력 측정 장치의 성능 특성 연구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rust Measurement System for Hot-Firing Test of Small Liquid Propulsion Engines)

  • 김인태;허환일;김정수;장기원;이재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22-129
    • /
    • 2004
  • 소형 액체 엔진의 개발을 위한 과정에는 정확한 추력 측정이 성공적인 시험 및 평가를 위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추력 측정 장치의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 할 설계 요소 및 제작 과정 동을 살펴본다. 측정 장치의 특정들이 기술되고 진공 환경을 모사한 연소 시험을 통해서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측정 장치의 성능 시험을 위해 추진제 주입 압력의 변화에 따라 정상모드와 펄스모드에서 연소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고유 진동수 및 구조물 의 선형성 시험과 같은 특성 시험을 통해 소형 액체 엔진의 정확한 추력 측정을 위한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엔진 착화 라인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LPI 엔진 가솔린 연료 적용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Firing Test of LPI Engine Using Gasoline Fuel for Improving the Production Process at End of line)

  • 황인구;최성원;명차리;박심수;이종수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33-14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gasoline fuel to the LPI engine. Firing test bench was used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 on gasoline-injected LPI engine. Gasoline fuel was supplied into the reverse direction(3-4-2-1 cylinder) at 3.0 bar with commercial gasoline fuel pump. Engine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firing test mode at end of line. The deviations of excess air ratio of each cylinder and maximum combustion pressure using gasoline fuel were within 0.1 and $1{\sim}2\;bar$. Engine start time was measured with changing coolant temperature at $20^{\circ}C,\;40^{\circ}C,\;80^{\circ}C$, respectively. Residual gasoline volume in the fuel line was measured about 32 cc after firing test and it was less than 2 cc within 10 seconds purging. To simulate the end of line, the residual gasoline in the fuel line was purged during 5 and 10 seconds. Start time of LPI engine with LPG fuel were 0.61 and 0.58 seconds. This work showed that severe problems such as misfiring and liner scuffing were not occurred applying gasoline fuel to LPI engine.

단일액체추진제 소형 추력기의 진공환경 연소시험 및 성능특성 평가 (Hot-Fire Tes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Small Liquid-Monopropellant Thrusters under a Vacuum Environment)

  • 김정수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84-90
    • /
    • 2004
  • 추진제 주입압력 350 psia 에서 0.95 lbf 의 정상상태 공칭추력을 내는 단일액체추진제 하이드라진 추력기의 성능평가 결과를 추력, 임펄스 비트, 비추력 등을 통하여 제시한다. 연소시험 형상과 절차에 대한 간략한 묘사와 더불어 정상상태 연소모드로부터 얻어지는 추진제 공급압력. 질량유량, 추력기 작동환경 진공도, 그리고 추력 등의 변이거동에 대한 전형적인 결과를 검토한다. 제시된 추력기 성능은 1-lbf급 표준형 단일추진제 로켓엔진의 기준성능에 성공적으로 비교된다. 선별된 추력기군을 위성체 추진시스템의 비행모델로 채택하기 위한 추력기간 성능편차에 대해 부연한다.

200 N급 GCH4/LOx 소형로켓엔진의 형상설계와 성능시험평가 (Part II: 정상상태 지상연소시험) (Configuration Design, Hot-firing Tes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200 N-Class GCH4/LOx Small Rocket Engine (Part II: Steady State-mode Ground Hot-firing Test))

  • 김민철;김영진;김정수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16
    • /
    • 2020
  • 200 N급 기체메탄/액체산소 소형로켓엔진의 성능시험평가 수행되었다. 산화제 공급압이 증가함에 따라 연소압과 추력이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비추력과 특성속도 및 그 효율이 증가하였다. 특성속도는 약 90%의 성능효율로 측정되었다. 시험조건의 연소실 종횡비 변화는 추력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시험결과의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불확도평가를 수행하였다.

단일액체추진제 하이드라진 추력기의 펄스모드 추력 거동 연구 (A Study on the Pulse-mode Thrust Behavior of Liquid-monopropellant Hydrazine Thruster)

  • 김정수;박정;최종욱;김성초;장기원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94-197
    • /
    • 2005
  • 추진제 주입압력 350 psia 에서 0.95 lbf 의 정상상태 공칭추력을 내는 단일액체추진제 하이드라진 추력기의 펄스모드 성능평가 결과를 제시한다. 연소시험 절차에 대한 간략한 기술과 함께 펄스모드 작동으로부터 얻어지는 추진제 공급압력, 추력기 작동환경 진공도, 그리고 추력 등의 변이거동에 대한 전형적인 결과를 추력기의 열적 반응과 더불어 검토한다. 제시된 성능은 1-lbf급 표준형 단일추진제 로켓엔진의 펄스모드 기준성능과 성공적으로 비교된다.

  • PDF

우주발사체 자세제어용 하이드라진 추력기의 정상상태 추력 특성 (Steady-state Thrust Characteristics of Hydrazine Thruster for Attitude Control of Space Launch Vehicles)

  • 김종현;정훈;김정수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8-55
    • /
    • 2012
  • 우주발사체 자세제어용 하이드라진 추력기의 지상연소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추력기는 추진제 주입압력 2.41 MPa (350 psia) 에서 정상상태 공칭추력 67 N (15 $lb_f$) 을 목표로 설계/제작 되었다. 개발모델 추력기의 성능특성 검토를 위해 정상상태 연소모드에서의 추력, 추진제 공급압력, 질량유량, 추력실 압력, 그리고 온도 등의 성능변수를 이용한다. 시험결과, 실제의 성능이 이론 요구규격 대비 89.1% 이상의 성능효율을 만족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고공모사 환경에서의 1 Ibf급 단일액체추진제 로켓엔진 연소성능시험 (Hot Firing Performances of 1 lbf-Liquid Monopropellant Rocket Engine under the Environment of High Altitude Simulated)

  • 김정수;한조영;이균호;황도순;장기원;이재원;강주성;정종록;조대기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3년도 제20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9-192
    • /
    • 2003
  • 추진제 주입 압력 350 psi 에서 0.95 lbf 의 정상상태 공칭추력을 내는 단일액체추진제 하이드라진 추력기의 검증을 위한 성능 요구조건과 시험결과를 요약한다. 성능특성은 정상상태 및 펄스 모우드 연소상태에서의 추력 거동으로 제시되고 지상연소시험과정이 간략히 소개된다.

  • PDF

1 N급 자세제어용 추력기의 개발 시험 (Development Test of 1 N Attitude Control Thruster)

  • 이재원;김인태;정세용;장기원;황종선;허환일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3년도 제21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38
    • /
    • 2003
  • 위성체와 발사체의 자세제어에 적용 가능한 1 N급의 추력기 개발 및 시험과정에 대해 기술하였다. 엔진의 특성 및 성능이 진공을 모사한 시험장치에서 연소 시험을 통해 평가되었다. 추력기의 성능 평가는 정상모드 및 펄스모드에서 추진제의 주입 압력을 변화시켜가면서 수행되었으며 시험 장치와 절차에 대해서도 간략히 기술하였다.

  • PDF

마이카 고전압 커패시터의 환경시험과 가속 수명시험을 통한 신뢰성 평가 (Reliability assessment of mica high voltage capacitor through environmental test and accelerated life test)

  • 박성환;함영재;김정석;김경훈;소성민;전민석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270-275
    • /
    • 2019
  • 마이카 커패시터는 세라믹 커패시터에 비해 내고충격 특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유도무기체계의 고전압 기폭장치에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산화된 마이카 고전압 커패시터의 고전압 기폭장치 적용을 위해 단자강도시험, 내습성시험, 열충격시험과 같은 환경시험과 함께 가속 수명 시험을 진행하였다. 마이카 고전압 커패시터의 고장모드는 절연저항 감소 및 이를 통한 절연 파괴이다. 가속수명모델의 중요 상수를 실험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전압계수 n 및 활성화 에너지 Ea는 각각 5.28 및 0.805 eV이었다. 가속모델식을 이용하여 도출한 가속계수는 496이었으며 가속수명시험을 통해 도출된 정상 사용 조건에서의 마이카 고전압 커패시터의 수명은 38.5년으로 기폭장치 적용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