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m Failing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기업결합 규제에서의 효율성 및 파산기업 항변: 경제적 논거와 정책적 함의 (Efficiency and Failing Firm Defenses in Merger Assessment: Economic Rationale and Policy Implications)

  • 진양수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5권1호
    • /
    • pp.103-135
    • /
    • 2013
  • 본 논문은 '경쟁제고'와 '반사실'의 두 가지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경쟁제한적 기업결합 심사에서 항변으로 고려되는 효율성 및 파산기업 문제의 경제적 근거와 인정 요건들을 정합적으로 설명한다. 효율성 항변에 대해서는 그 경제적 근거가 효율성 증대 자체보다 효율성 증대가 초래하는 경쟁제고 효과에 있음을 강조한다. 파산기업 항변에 대해서는 당해 기업결합이 진행된 후의 경쟁 상황이 그렇지 않은 반사실 경우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이 주요 경제적 근거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이해 방식은 최근의 관련 국제 논의 및 경쟁법 선진국들이 운용하고 있는 기업결합 가이드라인에 공통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할 경우 항변의 인정 요건들도 정합적으로 설명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간의 국내 기업결합 심사 사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기업결합심사기준"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효율성과 관련해서는 소비자 이전 가능성 요건 합병 특유성 인정 요건으로서의 제3자와의 기업결합 문제 등을 논의하며, 파산기업과 관련해서 경제적 근거 포함 문제 등을 논의한다.

  • PDF

글로벌 리서치 - OECD 리포트 : 금융위기와 경쟁정책 이슈

  • 송정원
    • 월간경쟁저널
    • /
    • 제160호
    • /
    • pp.90-103
    • /
    • 2012
  • 이 글은 2008년 미국발(發) 금융위기 이후 OECD 경쟁위원회가 개최하였던, 다음과 같은 금융위기 관련 주제에 대한 라운드테이블에서의 논의 결과를 요약한 것입니다. ${\cdot}$ Exit Strategies(2010), Concentration and Stability in the Banking Sector(2010), Failing Firm Defence(2009), Competition and Financial Markets(2009).

  • PDF

국내 금융기관의 IT 거버넌스 체계에 관한 연구 : IT 거버넌스 원칙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Case Analysis of IT Governance Practices : IT Principles Perspective)

  • 김은영;이정훈;이채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1-67
    • /
    • 2012
  • In recent years, research has begun to place greater emphasis on the strategic use of IT in seeking to build firm's capability, thus innovating firm's business value. Many leading firms have been put efforts to formulate and implement IT governance (ITG) structures, processes, and mechanisms for firm's IT activities. However, recent literatures reviews found that ITG framework have been discussed independently rather than in an integrated and on convergent manner failing to provide comprehensive conceptual framework.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herefore,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that enable to conduct a comparative ITG case studies. The proposed framework, developed by one of author, has extensively applied in real case study to validate its usefulness and also aims to contribute practitioners to understand how well IT principles are formed within the organization as well as corelate with ITG objectives and ITG execution.

벤처기업 실패의 동태적 과정: 실패의 유형, 과정 그리고 그 차이점에 대한 종단적 분석 (The Failure of Venture Firm: A Longitudinal Study of Failed Firms' Taxonomy, Failing Process, and Differences)

  • 장수덕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0-159
    • /
    • 2010
  •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실패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실패의 원인, 과정, 실패의 유형별 차이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를 10여 년간에 걸쳐 추적조사하고 2차례에 걸친 설문조사를 통해 기업의 전략, 환경, 조직구조의 변화에 대해 종단적 자료를 확보했다. 그리고 그 변화에 따른 벤처기업의 실패 그리고 실패유형별 실패과정 및 실패원인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벤처기업의 실패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실패의 과정에 있어서도 매우 차이가 많이 발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실패한 벤처기업들의 경우 실패의 다양한 경로가 존재할 수 있으며 그 경로에 따라 각기 다른 실패요인들이 실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생존과 실패에 대해 사후적 분석을 시도하는 일반적인 연구들에 비해 벤처기업 실패의 동태적 과정을 파악하게 이해하게 한다는 점에서 분명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점에서는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 PDF

경영전략과 최고경영자 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Competitive strategies, CEO characteristics, and firm performance in venture businesses)

  • 박경미;황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2-63
    • /
    • 2019
  • 전략분야의 연구들은 일정 수준 이상 성공한 대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제대로 된 성과함의를 도출하지 못할 여지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미래 시점에 성공할 기업과 실패할 기업이 현재 시점에 혼재되어 있는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논의의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보다 변별력 있는 연구결과를 획득할 가능성은 높아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경영전략과 최고경영자의 특성,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제시하고, 387개 벤처기업으로부터 회수된 설문에 근거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전략분야의 논의들이 어떤 타당성을 가지는지를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경영전략 중에서는 기술혁신 차별화 전략이,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에서는 혁신성과 장기지향성이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영전략과 최고경영자의 특성 간의 상호작용효과의 경우 원가우위 전략과 마케팅 차별화 전략은 위험감수성향, 혁신성, 장기지향성 모두에 대해 유의한 결합효과를 보여주었다. 반면에 기술혁신 차별화 전략은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 어느 것과도 유의한 결합효과를 보여주지 않았다. 이를 통해 원가우위 전략과 마케팅 차별화 전략은 기업성과에 단독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최고경영자의 특성과 결합될 때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기술혁신 차별화 전략은 기업성과에 단독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최고경영자의 특성과는 결합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성과제고를 위해서는 경영전략과 최고경영자의 특성 간에 적합성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Identifying the Winner's Curse in the First Spectrum Auc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an Event Study Approach

  • Lee, Hyeongjik;Seol, Seongho;Kweon, Soocheon
    • ETRI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1126-1133
    • /
    • 2013
  • The first spectrum auc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is attention-worthy owing to the fierce competition for the only 1.8-GHz spectrum license, the winning bidder of which was suspected of overpaying for its acquisition.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xistence of a "winner's curse" in the first Korean spectrum auction by using a standard event study methodology. The results show that both the winner and loser experienced significant positive returns on the completion day of the auct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re was no winner's curse in the auction and that the losing firm might increase its competitive advantage by acquiring other spectrum licenses despite failing to achieve its initial target spectrum.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gulators may need to consider bringing about positive short-term wealth benefits to all bidders by appropriately designing a spectrum auction, such as by performing multiband auctions.

성과공유제 지원정책의 문제점 분석 및 기업성과에 미친 효과성 연구 (Problems of Benefit Sharing Support Policy and its Policy Effectiveness affecting the Firm Performance)

  • 이홍열;이은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37-24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성과공유제 운영 및 성과공유제 지원정책이 기업 성과에 미친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성과공유제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정부의 현 성과공유제 운영현황 문제점을 분석하고, 225개 성과공유제 도입(위탁)기업과 협력(수탁)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과공유제는 다양한 인센티브 부족에 따른 도입기업의 증가와 확산 어려움, 현금배분 등 실질적인 성과공유 미흡, 신기술 신제품 혁신유도가 어려운 경영관리시스템 모델 증가, 1차 이외 2 3차 협력사로 제도 확산 한계 등 일부 개선점이 발견되었다. 반면, 그간 정부의 성과공유제 지원정책은 성과공유제 도입(위탁)기업과 협력(수탁)기업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협력(수탁)기업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이 확인되었다. 향후 과제로, 협력(수탁)기업의 매출증가 또는 R&D 역량증가 등과 같은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현황과 기업성과간 상호 연관성 등의 검증을 통한 연구 수행을 통해 객관성과 정확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건설분야 품질관리 분업조 활동의 문제점에 관한 사례연구 (A Study on the Trouble of qualify Control Circle Activity in Construction Field)

  • 이복영;김세희
    • 기술사
    • /
    • 제24권5호
    • /
    • pp.129-137
    • /
    • 1991
  • 기업에서 TQC를 추진할 경우 그 활동의 일환으로 제일 먼저 실시하는 것이 QCC 활동이다. 그래서 QCC활동이 성공하지 못하면 TQC가 성공하지 못한다는 결론을 미리내고 QCC활동 활성화에 역점을 두어 교육훈련에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그러나 국내소개된 TQC 관련자료로서 건설업에 관련된 내용은 전무한 상태이고, 모두가 제조업 위주의 자료로 구성되어 일부건설업에서는 QCC 활동에 배타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당사 및 일부회에서는 일본건설업체를 통하여 번역 자료물을 이용한 교재를 자체 제작하여 보급하였다. 그러나 문제는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본다. 일본의 경우는 가장 기본적인 QCC 활동의 특징을 업체자체적으로 연구개발하였으나, 우리나라는 기본이념을 망각하고 일본 것을 답습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실패로 끝났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시말해서 과정보다는 결과만을 중시하였기 때문이다.

  • PDF

실물옵션을 활용한 G7 한국형고속전철의 다이나믹 가치평가 (Dynamic Valuation of the G7-HSR350X Using Real Option Model)

  • 김성민;권용장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37-145
    • /
    • 2007
  • In traditional financial theory, the discount cash flow model(DCF or NPV) operates as the basic framework for most analyses. In doing valuation analysis, the conventional view is that the net present value(NPV) of a project is the measure of the present value of expected net cash flows. Thus, investing in a positive(negative) NPV project will increase(decrease) firm value. Recently, this framework has come under some fire for failing to consider the options of the managerial flexibilities. Real option valuation(ROV) considers the managerial flexibility to make ongoing decision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investment projects and the deployment of real assets. The appeal of the framework is natural given the high degree of uncertainty that firms face in their technology investment decisions. This paper suggests an algorithm for estimating volatility of logarithmic cash flow returns of real assets based on the Black-Sholes option pricing model, the binomial option pricing model, and the Monte Carlo simulation. This paper uses those models to obtain point estimates of real option value with the G7- HSR350X(high-speed train).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한 코스닥기업의 부실예측모형 연구 (Failing Prediction Models of KOSDADQ Firms by using of Logistic Regression)

  • 박희정;강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05-311
    • /
    • 2009
  • 기업부실 및 그에 따른 도산은 직접적으로는 주주, 종업원, 채권자 등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고, 더 나아가 금융기관의 부실화를 초래하는 등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은 기술력은 높으나 사업화 가능성이 낮고 자본력이 취약하여 부실화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는 코스닥기업들 가운데 건전기업과 부실기업을 표본으로 삼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부실예측모형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연도별 모형의 분류정확도는 $76.5%{\sim}77.5%$로 나타났으며. 평균모형의 분류정확도는 $70.6%{\sim}83.4%$로 나타났다. 이들 모형 중 분류정확도가 가장 높은 모형은 부실 3년, 2년, 1년전 평균모형으로 83.4%이다. 둘째, 분류정확도가 가장 높은(부실 3년, 2년, 1년 전) 모형을 선정하여 확인 표본을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예측정확도가 부실 3년 전 71.7%, 부실 2년 전 75.0%, 부실 1년 전 90.0%로 부실 3년 전에서 부실 1년 전으로 갈수록 높은 예측력을 보이고 있다. 특히 부실 1년 전의 경우 90.0%의 높은 예측정확도를 나타내 개발한 모형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