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mulina velutipes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1초

담자균 추출물의 Prolyl Endopeptidase, Acetylcholine Esterase 저해 및 항혈전 응고활성 (Inhibitory Activities of Basidiomycetes on Prolyl Endopeptidase, Acetylcholine Esterase and Coagulation)

  • 이현진;김종식;허건영;이경복;이인구;송경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336-343
    • /
    • 1999
  • 담자균류로부터 치매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생물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립하기 위하여 56종의 배양 균사체 메탄을 추출물 및 배양 여액의 ethylacetate(EtOAc) 가용성 분획에 대하여 prolylendopeptidase(PEP), acetylcholine esterase(AChE) 및 혈전 응고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EP에 대하여 Amanita aspera, Phellinus chrysoloma의 균사체 추출물 및 배양여액의 EtOAc 가용성 분획이 40ppm에서 모두 90% 이상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분홍껍질고약버섯(Peniophora quercina),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Wolfiporia extensa, 좀나무싸리버섯(Clavicorona pyxidata) 및 Phanerochaete soy교교의 배양액이 90% 이상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AChE에 대하여는 40ppm 농도에서 어느 것도 강한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조개껍질버섯(Lenzites betulina), Phellinus chrysoloma, Wolfiporia extensa, Phanerochaete sordida의 균사체 추출물과 Hypocrea nigricans, Coriolus azureus, 팽나무버섯(Flammuzina velutipes), Phlebiopsis gigantea 및 Bondarzewia montana의 배양여액 EtOAc 가용성 분획이 40% 정도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혈전응고 저해활성의 지표로 삼은 thrombin times(TT) assay에서는 Amanita aspera, Oxyporus latemarginata, 분홍껍질고약버섯(Peniophora quercina), 말굽버섯(Fomes fomefarius)의 배양여액 EtOAc 추출물과 Clitocybe clavipes, Trametes versicolor, Phlebiopsis gigantea의 균사체 추출물이 550 ppn의 농도에서 혈전 생성에 걸리는 시간을 2배 내지 3배 연장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activated partial thromplastin times(APTT) assay에서는 어느 것도 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농수부산물 발효사료가 양돈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분석 (Agricultural and Marine By-Products Fermented Diet and Its Economic Value in Pigs)

  • 추교문;김회윤;하지희;양정모;양보석;박철진;송영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3호
    • /
    • pp.59-68
    • /
    • 2012
  • 본 연구는 인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낙과사과, 감껍질, 팽이버섯 부산물, 새송이버섯 부산물 및 맥주박을 이용하여 발효사료를 제조하였고, 이러한 농수부산물 발효사료가 양돈에 미치는 경제적인 효과를 분석하였다. 흑돼지 한 마리당 1일 사료비는 낙과사과 발효사료가 2.16~3.44%, 감껍질 발효사료가 3.83~13.35%, 팽이버섯 부산물 발효사료가 7.47~41.61% 감소하였다. 3원교잡종 한 마리당 1일 사료비는 새송이버섯 부산물 발효사료가 1.59~4.05%, 맥주박 발효사료가 59.09~66.90% 감소하였다. 흑돼지 한 마리당 도체가격은 2% 낙과사과 발효사료가 3.09% 증가하였고, 감껍질 발효사료가 1.20~3.40% 증가하였으며, 10% 팽이버섯 부산물 발효사료가 1.13% 증가하였다. 3원교잡종 한 마리당 도체가격은 새송이버섯 부산물 발효사료가 2.87~4.19% 증가하였고, 맥주박 발효사료가 41.31~49.14%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료비 및 도체가격의 분석을 통하여 농수부산물 발효사료는 사료비는 감소하고, 도체가격이 증가하게 되어 양돈 농가의 소득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처리 방법에 따른 느타리, 큰느타리 및 팽이버섯 수확후 배지의 당함량 비교분석 (Comparison of the saccharide content of spent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Pleurotus eryngii, and Flammulina velutipes) substrates under various pretreatment conditions)

  • 김정한;이윤혜;지정현;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0-7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버섯 수확후배지를 바이오매스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적정 전처리 조건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버섯 수확후 배지의 전처리방법 중 알카리 처리가 리그닌 함량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면서, 당전환율이 우수하였고 큰느타리 수확후 배지가 당전환율 80.7%로 가장 우수하였다. 큰느타리 수확후 배지에 1% NaOH를 이용한 알카리 처리시 전처리 온도별 성분분석 결과 $120^{\circ}C$처리시에 glucose 25.3%, xylose 14.8%로 유리당 함량이 가장 높고, 효소에 의한 당전환율도 66%로 무처리구 28.2%에 비해 2.3배 증가되었다. 촉매제 농도(NaOH 0.5~2.0%)에 따른 당분석결과 glucose 함량은 촉매제 농도와 관계가 적었으며, xylose와 arabinose는 촉매제 농도가 높을수록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당전환율은 NaOH 1% 처리시에 66%로 가장 높았다.

사철느타리버섯 형질전환주(形質轉換珠)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nts in Pleurotus florida)

  • 변명옥;김경수;차동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2-228
    • /
    • 1992
  • 사철 느타리버섯 영양요구성(營養要求性) 균주(菌株)를 팽이버섯 leu 2 유전자를 지닌 pM 301 백터를 이용(利用)하여 영양요구성(營養要求性)을 보완(補完) 시킴으로써 형질전환(形質轉換) 하였다. 형질전환균주(形質轉換菌株)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을 버섯 완전배지(完全培地)나 버섯 최소(最小) 배지(培地)에서 비교(比較)하였다. 형질전환주(形質轉換株)는 1 핵(核) 균사(菌絲)와 교배(交配)후 자실체(子實體) 형태(形態)를 비교(比較)하고 포자 분석(分析)에 의하여 유전분석(分析)을 하였다. 자실체(子實體) 발생(發生)과 자실체(子實體) 모양이 형질전환주(形質轉換株)는 모균주와 다른 특성(特性)이 나타났다. 모균주(母菌株)는 교배형(交配型)이 $A_1B_1$으로 $A_2B_1$ 교배형(交配型)인 1핵(核) 균주(菌株)와 교배(交配)에 의하여 자실체(子實體)를 형성(形成)하지 못하나 형질전환주(形質轉換株)는 교배형(交配型)이 $A_1B_1$이고 $A_2B_1$ 1핵(核) 균주(菌株)와 교배(交配) 하였을때 자실체(子實體)를 형성(形成)하였다.

  • PDF

버섯류 추출물의 피부각질세포(HaCaTcell)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mushrooms extract on TNF-α/INF-γ induced-cytokine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 최은주;김은경;지용석;이창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0-174
    • /
    • 2015
  • 식용버섯인 팽이버섯, 꽃송이버섯, 참송이버섯, 느타리 버섯, 녹각영지, 상황버섯, 눈꽃 동충하초, 아가리쿠스, 잎새버섯, 석이버섯, 노랑느타리버섯, 분홍느타리버섯, 편각영지버섯, 현미 동충하초, 번데기 동충하초, 표고버섯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피부염증완화 효능을 확인한 결과 열수추출물에서는 잎새버섯과 번데기 동충하초가 피부염증완화 효능이 탁월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영지버섯, 표고버섯, 번데기 동충하초와 팽이버섯에서 피부염증완화 효능이 탁월하였다. 특히, 각각의 추출물에서 피부염증완화 효능이 높은 것은 번데기 동충하초 임을 확인하였다.

팽이 및 수경인삼 분말 및 요구르트 발효에 의한 γ-Aminobutyric acid (GABA)의 전환효율 증진 (Effect of Conversion Rate of γ-Aminobutyric acid (GABA) by Yogurt Fermentation with Addition of Nanoparticle Winter Mushroom and Hydroponic Ginseng)

  • 신평균;김희정;유영복;공원식;오연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4-337
    • /
    • 2015
  • 팽이버섯 내에 존재하는 GAD 효소를 발효를 통해 활성화 시켜 MSG를 GABA로의 전환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효과적인 고농도 GABA를 생산하기 위해 나노분말 팽이버섯에다가 수경재배한 인삼을 첨가하여 야쿠르트발효기에서 발효한 결과 GABA 전환율은 팽이나노인삼분말 발효군(88%) > 팽이분말 발효군(52%) > 팽이나노분말 발효군(44%)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MSG를 기질로 첨가하는 식품에서 활용할 가치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버섯의 장내 유산균 증식 효과 (Effect of Mushrooms on the Growth of Intestinal Lactic Acid Bacteria)

  • 한명주;배은아;이영경;김동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47-952
    • /
    • 1996
  • 버섯이 유산균 증식 효과를 측정한 결과 대부분의 버섯이 B. breve에 대한 증식 효과와 배양배지의 pH 저하 효과가 우수했으며 식용버섯 중에서는 표고버섯, 운지버섯, 영지버섯, 느타리버섯이 우수했다. 사람 및 흰쥐의 장내 세균을 버섯추출물 함유 배지에서 배양시 배지의 pH 저하 효과가 우수한 표고버섯, 운지버섯, 양송이버섯은 장내유산균을 선택적으로 증식시켰다. B. breve 배양시 버섯추출물의 첨가는 균의 성장을 촉진하였으며 ${\beta}-glucosidase$의 효소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배양배지의 pH 저하 효과와 비례하였다. 표고버섯, 영지버섯, 운지버섯은 사람 및 흰쥐의 장내 세균총 효소인 ${\beta}-glucosidase$ 및 tryptophanase 효소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pH 저하 효과와 비례하였다.

  • PDF

In Vitro Antagonistic Characteristics of Bacilli Isolates against Trichoderma spp. and Three Species of Mushrooms

  • Kim, Wan-Gyu;Weon, Hang-Yeon;Seok, Soon-Ja;Lee, Kang-Hyo
    • Mycobiology
    • /
    • 제36권4호
    • /
    • pp.266-269
    • /
    • 2008
  • Twenty isolates of Bacillus species obtained from livestock manure composts and cotton-waste composts were tested for their antagonistic effects in vitro against three green mold pathogens of mushrooms (Trichoderma harzianum, T. koningii, and T. viridescens). However, there exists a possibility Bacillus species may have antagonistic effects against mushrooms themselves, and thus the same 20 isolates were tested in vitro against three species of mushrooms (Flammulina velutipes, Lentinus edodes, and Pleurotus ostreatus). Of the 20 Bacillus species isolates tested, two inhibited mycelial growth of T. harzianum, seven that of T. koningii, and eight that of T. viridescens. Importantly, the bacterial isolates M27 and RM29 strongly inhibited mycelial growth of all the Trichoderma spp. isolates tested. The isolate M27 was subsequently identified as the most effective in inhibiting mycelial growth of all the Trichoderma species. Interesting results of the effect Bacillus isolates had upon the mushroom species followed. It was found that most Bacillus isolates except 5T33 at least somewhat inhibited mycelial growth of the three mushroom species or some of the mushrooms. Furhermore, the antagonistic effects of the bacterial isolates against the three species of mushrooms varied depending on the mushroom species, suggesting a role for mushroom type in the mechanism of inhibition. The bacterial isolates M27 and RM29 were identified as having the most antagonistic activity, inhibiting mycelial growth of all the Trichoderma spp. as well as mycelial growth of the three species of mushroo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acterial isolates and their antagonistic effects on green mold pathogens should be further studied for their practical use for biological control of green mold in the growing room of the mushrooms.

Extraction and Application of Bulk Enzymes and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Spent Mushroom Substrates

  • Lim, Seon-Hwa;Kwak, A Min;Min, Kyong-Jin;Kim, Sang Su;Kang, Hee Wan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9-19
    • /
    • 2014
  • Pleurotus ostreatus, P. eryngii, and Flammulina velutipes are major edible mushrooms that account for over 89% of total mushroom production in Korea. Recently, Agrocybe cylindracea, Hypsizygus marmoreus, and Hericium erinaceu are increasingly being cultivated in mushroom farms. In Korea, the production of edible mushrooms was estimated to be 614,224 ton in 2013. Generally, about 5 kg of mushroom substrate is needed to produce 1 kg of mushroom, and consequently about 25 million tons of spent mushroom substrate (SMS) is produced each year in Korea. Because this massive amount of SMC is unsuitable for reuse in mushroom production, it is either used as garden fertilizer or deposited in landfills, which pollutes the environment. It is reasonably assumed that SMS includes different secondary metabolites and extracellular enzymes produced from mycelia on substrate. Three major groups of enzymes such as cellulases, xylanases, and lignin degrading enzymes are involved in breaking down mushroom substrates. Cellulase and xylanase have been used as the industrial enzymes involving the saccharification of biomass to produce biofuel. In addition, lignin degrading enzymes such as laccases have been used to decolorize the industrial synthetic dyes and remove environmental pollutions such as phenolic compounds. Basidiomycetes produce a large number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that show antibacterial, antifungal, antiviral, cytotoxic or hallucinogenic activities. However, most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ed on therapeutics and less on the control of plant diseases. SMS can be considered as an easily available source of active compounds to protect plants from fungal and bacterial infections, helping alleviate the waste disposal problem in the mushroom industry and creat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to reduce plant pathogens. We describe extraction of lignocellulytic enzymes and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SMSs of different edible mushroom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 PDF

플라스마 중합을 이용한 LDPE 식품포장 필름의 차단성 향상 (Improvement of Barrier Property of LDPE Food Packaging Film by Plasma Polymerization)

  • 김경석;조동련
    • 폴리머
    • /
    • 제32권1호
    • /
    • pp.38-42
    • /
    • 2008
  • 메탄, 아세틸렌, hexamethyldisiloxane(HMDSO) 및 HMDSO+산소를 플라스마 중합시켜 식품포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의 표면에 얇은 박막을 코팅하여 LDPE 필름의 차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산소에 대한 차단성은 HMDSO+산소(유량 : 0.6+9.0 SCCM) 플라스마로 40 W에서 10분간 코팅할 경우 가장 크게 향상되어 산소 투과도가 18.6배까지 감소되었으며, 이산화탄소와 수분에 대한 차단성은 아세틸렌(유량 : 0.75 SCCM) 플라스마로 10 W에서 10분간 코팅할 경우 가장 크게 향상되어 이산화탄소와 수분 투과도가 각각 12.0배와 3.0배까지 감소되었다. 또한, 이렇게 코팅된 필름을 사용하여 방울토마토, 오이, 팽이버섯 등을 포장할 경우, 신선도 유지기간이 코팅 전에 비하여 $1.5{\sim}3.0$배까지 연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