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mulina velutipes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2초

팽나무버섯 액체 종균의 접종 전 오염 검사 (The contamination check before inoculation at the liquid Spawn on Flammulina velutipes)

  • 심규광;유영진;구창덕;김명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4-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배양된 액체종균의 세균 오염 여부를 Giemsa 용액의 단일 염색으로 짧은 시간 안에 정확하게 판정이 가능한지를 조사하였다. Giemsa 용액은 혈액 골수 림프절 말라리아 원충 리케차 세포 등을 염색하는 것으로, 염기성 색소인 methylene azul과 methylene blue, 그리고 산성색소인 eosine을 methyl alcohol-glycerine에 녹여서 제조하였다. 그리고 팽이 액체종균의 폭기 배양액 분취하여 슬라이드에 올리고 Gimesa 용액으로 염색한 후 광학 현미경으로 검사하였다. 이 결과 40~60초 동안의 세균세포를 (팽나무)버섯(류) 균사세포의 부스러기나 잔존 대두박 등과 구별할 수 있었다. 이 Gimesa 용액을 이용한 염색 및 검경방법은 빠르고 간편하며 정확하므로 액체종균을 사용하는 버섯재배 농가에서도 세균 오염을 효과적으로 동정(감지)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팽이버섯의 배지조성에 따른 균사 배양 및 자실체 수량 비교 (Comparison of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ies yield according to substrate in Flammulina velutipes)

  • 정종천;이찬중;문지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7-121
    • /
    • 2014
  • 본 시험은 팽이버섯 병재배용 배지의 혼합수준에 따른 전탄소(T-C), 전질소(T-N) 함량과 균배양기간, 버섯발생기간, 자실체 수량 등 재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지재료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팽이버섯의 경우 [콘코브75+미강20+건비지5] 배지에서 자실체 수량이 190.5 g/850 ml로 가장 높았으나(20.4% 증가), 균 배양기간이 28일로 대조구보다 8일 지연되었다(대조구 [미송톱밥75+미강25]: 수량 158.2g, 배양기간 20일). [미송톱밥75+미강20+건비지5] 배지는 팽이버섯의 자실체 수량이 172.7 g(9.1% 증가), 균 배양기간이 21일로 대조구보다 1일 지연되었다.

팽이버섯 함유 어묵의 물성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Fish Meat Paste Containing Enoki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 이승철;구성근;류연경;황영만;하정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8-291
    • /
    • 2001
  • 고품질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함암성 및 혈압강하작용이 있는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을 각각 0, 5, 10, 15 및 20% 첨가한 튀김 어묵을 제조한 다음 색조 변화, 물성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팽이버섯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의 색도는 L값을 감소하는 경향, a값은 증가하는 경향, b값도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어묵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검사의 결과로는 모든 시료에서 AA로 측정되어 팽이버섯의 첨가에 관계없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성검사 결과에서, 15%의 팽이버섯을 함유한 어묵에서 강도, 경도, 탄성, 껌성 및 파쇄성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그리고, 관능검사의 결과로는 어묵의 색조와 향기 부문에서 팽이버섯이 첨가될수록 선호도가 높았으며, 맛과 조직감, 전체적인 선호도의 경우에서는 5%의 팽이버섯이 첨가된 경우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팽이버섯을 함유한 고품질 어묵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팽이버섯 접종전과 수확후 배지의 이화학성 및 영양성분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Pre-inoculation and Post-harvest Flammulina velutipes Media)

  • 정종천;이찬중;서장선;문여황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74-178
    • /
    • 2012
  • 본 시험은 팽이버섯 병재배 수확후배지의 가축 사료화에 활용하기 위하여 영양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팽이버섯 재배에 주로 이용하는 콘코브, 미강 등 배지재료 8종과 버섯 재배전(살균후) 배지 3종 및 수확후 배지 3종에 대하여 pH, 수분함량, 전탄소(T-C), 전질소(T-N) 등 이화학성과 조단백, 조섬유, 조지방 함량 등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여기에 제시한 재배전 배지와 재배후 배지의 이화학성 및 영양성분 함량은 새로운 배지재료 선발시험에 기준으로, 그리고 수확후배지의 재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사과가공부산물 첨가배지가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의 균사생장과 자실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Apple pomace to sawdust substrat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Flammulina velutipes)

  • 조우식;윤영석;유영현;박선도;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3호통권78호
    • /
    • pp.223-227
    • /
    • 1996
  • 팽이버섯 병 재배에 있어서 사과가공부산물의 첨가효과를 시험한 결과 배지재료별 화학적 특성은 사과가공부산물이 톱밥보다 산도(pH)가 낮았으며 T-N, $P_2O_5$, CaO, MgO는 비슷하였으나 T-C는 사과가중부산물이 다소 높았다 톱밥+미강배지에 사과가공부산물을 첨가하여 균사생장정도를 조사한 결과, 사과가공부산물 $5{\sim}20%$ 처리구는 톱밥+미강 20% 배지와 비슷하였으나 사과가공부산물 50%, 80% 처리구에는 pH가 5.1, 4.7로 강산성을 나타내어 균사생장이 불량하였다. 초발이 소요일수는 톱밥+미강 20% 처리구는 사과가공부산물 $5{\sim}20%$ 처리구의 $10{\sim}20$일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지종류별 수량을 보면 팽이버섯 재배에서 톱밥 사용량의 15%를 사과가공부산물로 대체 사용시 9%정도 증수되었다. 경제성 분석결과 톱밥사용량의 15%를 사과기공부산물로 대체 사용 시 소득지수가 29% 높게 나타났다.

  • PDF

Agrobacterium을 이용한 팽이 버섯 주름조직의 형질전환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using gill tissue of Flammulina velutipes)

  • 박순영;;장갑열;신평균;박윤정;유영복;박기문;공원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8-53
    • /
    • 2010
  • 팽이버섯의 다양한 유전자의 기능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팽이 자실체의 주름조직을 사용하여 A. tumefaciens을 매개로 한 형질전환을 수행하였다. Hygromycin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AGL-1 pBGgHg를 팽이버섯의 자실체 조직에 도입시킴으로서 형질전환체들을 얻을 수 있었다. 형질전환체 선발은 첫 번째로 hygromycin 선발 배지에서 선발한 뒤 gpd-FH, hph-R primer를 이용하여 PCR로 확인 할 수 있었다. hygromycin은 30 ug/ml에서 선발 효율이 가장 높았다. 형질전환체 중 일부는 갈색 자실체를 갖는 wild type과는 달리 백색 자실체를 나타내었다. 형질전환체의 southern blot결과 외래유전자가 팽이버섯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양한 copy 수로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삽입된 유전자의 주변 염기서열에 대한 정보는 Inverse PCR을 통해 알 수 있었다.

팽나무버섯 균사체 및 자실체 생산을 위한 화학합성배지의 최적화 (Standardization of Chemically Defined Medium for the Production of Mycelium and Basidiocarps in Flammulina velutipes)

  • 송치현;이창호;안장혁;홍범식;양한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72호
    • /
    • pp.53-60
    • /
    • 1995
  • Flammulina velutipes(팽나무버섯)의 영양요구성에 대한 연구로써 각종 탄소원 및 질소원을 처리한 결과 mannitol과 glutamic acid 그리고 ammonium nitrate가 최대 균사체 생장을 보였으며, 최적 C : N ratio 로써 20 : 1이 선정되었다. Phosphate source로는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가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magnesium sulphate와 thiamin HCl이 균사체 생장을 촉진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최적 화학합성배지의 조성은 1.5% mannitol, 0.082% $NH_4NO_3$, 0.312% glutamic acid, 0.25% $KH_2PO_4$, 0.06% $MgSO_4{\cdot}7H_2O$ 그리고 $0.3\;{\mu}g/l$ thiamin HCl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배지의 조성은 균사체 생장 뿐만 아니라 자실체 생장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새송이버섯, 팽이버섯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Pleurotus eryngii, Flammulina velutipes)

  • 류혜숙;김수현;전문희;최해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11-918
    • /
    • 2018
  • Various studies on the effect of mushroom, a member of phytonutrients, on inflammatory diseases have been reporter over the years, Among various species mushrooms,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and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are popular dietary ingredients for Asian cuisine. The extracts from all the three mushrooms were used to determine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the cytotoxicity. Result analysis were repeated more than three times to get an average${\pm}$standard deviation,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confirmed by SPSS. As a result, total phenol content of the king oyster mushroom and the winter mushroom were $19.66{\pm}0.10mg/g$ and $22.08{\pm}1.10mg/g$, respectively. Also,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15.21{\pm}1.31mg/g$ for the king oyster mushroom and $20.50{\pm}4.52mg/g$ for winter mushroom. The results in winter mushroom showed higher values in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than in the king oyster mushroom. All samples of extracts showed free radical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y with their 10 mg/mL concent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ract of the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and the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may be possible phytonutrients with the anti-inflammatory and the anti-cancer effect.

흰색과 갈색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의 영양성분 및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White and Brown Flammulina velutipes)

  • 홍형석;강내경;이종헌;최용민;남진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78-388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oximate compositions,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effects of white and brown enoki mushrooms (Flammulina velutipes). The crude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s were higher in the brown than white mushrooms, whereas the moisture, crude ash, crude lipid, and dietary fiber levels were lower. The mineral contents of the white mushroom was higher than levels obtained in the brown mushroom for the detected components (Ca, Cu, K, Mn, Na, and P). The amount of vitamin B3 in the brown mushroom was 1.51 mg/100 g, which was 4.5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white mushroom. The major fatty acids detected were palmitic acid, linoleic acid, and α-linolenic acid.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70% ethanol extracts of the white and brown mushrooms, respectively. For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 70% methanol extract of the white enoki mushrooms showed an activity of 76.4% (p<0.05). For the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ctivity, a 70% methanol extract of the brown enoki mushrooms showed the highest value. Further,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PPH and FRAP activities.

팽나무버섯 자실체 생산을 위한 기질개발 (Development of Substrates for the Production of Basidiocarps of Flammulina velutipes)

  • 송치현;이창호;허태린;안장혁;양한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2-216
    • /
    • 1993
  • 팽나무버섯 재배에 있어서 각종 임산 및 농산폐기물을 기질로 사용한 결과, 나왕, 미송, 혼합톱밥, 커피박 및 땅콩박 중에서 커피박이 가장 자실체 생산이 양호하였으며 영양첨가제로 사용된 미강, 맥주박, 옥수수박, 대두박 및 채종박 중에서는 옥수수박에서 자실체 생산량이 높았다. 커피박과 옥수수박의 4 : 1 혼합비에서 자실체 생산이 129.38 g/bottle로 최대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