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undation reinforcement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19초

전단 보강재의 보강길이에 따른 기초판의 뚫림전단 성능평가 (Punching Shear Performance Evaluation of Foundation by Enforcement-length of Shear Head Reinforcement)

  • 이용재;이원호;양원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60-6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지내력이 기초판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도록 현장여건과 동일한 옥외의 지반에서 실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대상 실험체는 경제성 및 시공성 향상을 위하여 강판을 "ㄷ"자형으로 절곡하여 단면 2차모멘트를 극대화 하고 현장조립이 가능하도록 제안 하였다. 대상 실험체는 무보강 실험체 1개, 강판 두께를 동일하게 하여 보강 길이를 달리한 실험체 3개, 강판 두께를 달리하고 위험단면 부근에 스티프너 보강한 실험체 2개 총 6개의 실험체를 대상으로 비교 검토 한다. 실험 결과 스티프너 보강에 의한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단보강재의 보강길이는 확장된 위험단면에서 전단력을 지내력으로 나타낸 값과 위험단면에서 보강재가 받을 수 있는 전단내력을 지내력으로 환산여하여 두 선의 교차점을 유효보강 길이로 산정하는 강판두께별 유효보강길이 산정방법을 제안하였다.

구조물 기초보강용 짧은 쇄석다짐말뚝(Geopier)의 적용성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Rammed Aggregate Pier(Geopier) for Foundation Reinforcement of Structures)

  • 정경환;정선태;문준배;김동준;백경종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지반공학 공동 학술발표회
    • /
    • pp.479-488
    • /
    • 2005
  • Geopier soil reinforcement system which crushed aggregate is put into a hole and rammed the aggregate with tamper is a viable alternative to deep foundation to over-excavation and replacement. Also, Geopier is intermediate foundation of deep and shallow foundation. In this paper, the value of Geopier element stiffness modulus($K_g$) when designed is compared with the measured value($K_g$) by the in-situ modulus Load test in the field. Also, this paper presents a technology overview of system capabilities and application for foundation reinforcement of structures.

  • PDF

Geogrid보강 여부에 따른 정방형 얕은 기초의 지지력에 관한 연구 (Bearing Capacity of a Square Shallow Foundation with and without Geogrid Reinforcement)

  • 신방웅;김수삼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0권3호
    • /
    • pp.5-16
    • /
    • 1994
  • 본 논문은 향후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사질토층에 있어서 정방형 얕은 기초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Geogrid 보강토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계 기초, 철로 제방, 그리고 지진 예상 지역의 구조물 기초 등에 대한 지반은 Geogrid로 보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보강되지 않은 사질토층과 보강된 사질토층에 대한 지지력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극한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보강재의 길이, 설치 간격 및 폭을 평가하였다. 모형 실험 결과 Geogrid보강재는 중간 정도의 밀도를 가진 사질토층에서 극한 지지력이 상당량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foundation treatment optimization approach study in hydraulic engineering

  • Zhang, Tianye;Liu, Shixia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5권2호
    • /
    • pp.215-225
    • /
    • 2018
  • To reach a better foundation treatment project, an optimized analysis of composite foundation was studied in the field of hydraulic engineering. Its unique characteristics in hydraulic engineering were concluded. And, the overall and detailed analysis of the composite foundation model established was carried out. The index parameters of the vertical reinforced rigid pile composite foundation were formulated. Further, considering the unique role of cushion in hydraulic engineering, its penetration and regularity were analyzed. Then, comparative and optimized analyses of cushion multistage physical dimensions and multistage material characteristics were established. The parameters of the piles distance were optimized and the multilevel scientific and reasonable parameters information was obta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se parameters, the practical application was verified. It effectively supported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vertical reinforcement rigid pile composite foundation in hydraulic engineering. The service mechanism of composite foundation was fully analyzed.

저유동성 몰탈형 주입재에 의한 건물기초보강 (Reinforcement of Building Foundation by the Low Slump Mortar Grout)

  • 천병식;고용일;권형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1-76
    • /
    • 2000
  • In generally, grouting consists of injecting a suspension or solution into the voids of soils. The low slump mortar grout has been used in America since 1950's. The Compaction Grouting, the injection of a very stiff under relatively high pressure, form a cylinderical grout support pile. The grout generally does not enter soil pores but remains in homogeneous mass that gives controlled displacement either to compact loose soils, or for lifting of structures, or both. In this paper, on the case of the reinforcement construction of 00 plant that the foundation's bearing capacity is insufficient and is to reinforce the foundation, a study has been peform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nd improvement. The bearing capacity of the Compaction Pile has been verified by the S.P.T and the settlement of the improved ground has been monitored rising the magnetic extensometer.

  • PDF

AHP기법을 활용한 지하주차장 기초보강공법의 적용성 분석 (Applicability Analysis of Foundation Reinforcement Method for Expanding Underground Parking Lot Using AHP Technique)

  • 신명하;이찬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93-101
    • /
    • 2017
  • 1980년대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 건설된 노후 공동주택 단지의 주차장 부족 현상은 심각하다. 노후 공동주택의 주차장 확대 사례를 살펴보면 수직으로 지하 주차장을 확장하는 방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기존 건축물을 증축할 경우 기초의 구조적 안전성 확보는 매우 중요하며, 지하 수직방향 공사의 경우 작업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안전성, 환경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공법을 적용해야 한다. 도심지 공사는 소음과 진동이 작은 공법과 장비의 사용도 필수적이다. 이 연구는 지하주차장 확대 공사에 필요한 기초보강 공법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영향요인의 가중치를 산정하여 기초보강공법의 적용성을 분석 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초보강 공법의 적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하여 도출하였고, AHP기법을 통하여 영향요인의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기초보강 공법의 적용성을 평가 하였다. 2건의 지하주차장 확대 유형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기초보강공법의 적용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량연약지반의 모형실험과 변형해석 (II) (Model Test and Deformation Analysis of the Improved Soft Foundation( Il))

  • 이진수;이문수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73-86
    • /
    • 1994
  • Ths paper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inforcement for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layey foundation. Among numerous improvement method of foundation, only geotextil-reinforced foundation and foundation with both geotextile and sand mat which were 2-dimensional model clayey foundations were selected for load test in order to obtain fundamental results in analizing the behavior of the foundation with geotextile. To scrutiniz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reinforcement, the model foundations were constructed with various conditions on the location of layout of geotextile, the number of layouts and the depth of sand mat As for the technique of the numerical analysis elasto-plastic constitutive model for clayey soil, beam element for geotextile and elastic model for sand were respectively employed. Interface element was introduced for the block between materials with different rigidity. Observed values and numeric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satisfactory correspondence, which proved that the numercial technique developed in this paper was available.

  • PDF

한계평형법에 의한 연약지반 보강성토의 안정해석 (Stability Analysis of the Reinforced Embankment on Soft Foundations using the Limit Equilibrium Method)

  • 고남영;고홍석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01-110
    • /
    • 1995
  • The use of geotextile as reinforced materials in Soil structures has become widespread throughout the world. Geotextile reinforcement has been used in retaining walls, slope of embankment and especially soft foundation, etc. In the past, however, its design and construction have been performed empirically.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of the effect of geotextiles reinforced slope of the embankment on a very soft foundation, a limit equilibrium analysis program calculating the safety factor of embankment on very soft foundation was developed. The study was focussed on such factors as type of geotextile, tensile strength, amount of reinforcement, and inclination of embankment. And the 4imit equilibrium analysis program was written on the basis of Low's slope stability theory with some modific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1) The orientation of reinforcement can be assumed either horizontal or tangential to the slip circle. The factor of safety with tangential reinforcement is larger than that with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2) In general, the factor of safety increases, as the slope reduces.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geotextiles with higher tensile strength rather than to reduce the slope of the embankment, because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slope as desired. (3) The factor of safety obtained by numerical computation is affected only by the tensile strength, but not by the type of the geotextile.

  • PDF

지하차도 시공에 따른 인접 교각구조물 영향 및 보강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Influence and Reinforcement Effect of Adjacent Pie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Underpass Construction)

  • 이동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29-39
    • /
    • 2022
  • 도심지의 심각한 교통체증을 해결하기 위해 지하차도, 대심도 지하도로, 광역급행철도 등 대규모 지하공간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심지 지하차도로 건설로 인해 인접한 도시철도 A호선 교각기초 영향 최소화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해 흙막이 가시설 보강, 기초 보강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접도 평가와 함께 지하차도 굴착공사로 인한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고 수치해석 결과를 통해 보강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보강을 수행한 결과에 비해 겹침 CIP와 지반보강 그라우팅을 실시할 경우 흙막이 가시설 벽체 변위는 50% 이상 저감되었고 기초말뚝의 응력에서도 45% 이상 감소 효과가 있었다. 수치해석결과 분석을 토대로 근접시공 시 보강그라우팅, 가시설 벽체의 강성 증대 등을 통해 가시설 벽체의 변위 발생을 적극적으로 억제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GS 공법 적용 석회암 공동지역의 교량기초보강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Case of Bridge Foundation in the Limestone Cavity with CGS Method)

  • 박성수;홍종욱;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2호
    • /
    • pp.43-52
    • /
    • 2013
  • 석회암은 일반적으로 망상형 공동이나 석회암 동굴 같은 대규모 공동을 형성시키고, 싱크홀과 돌리네 형태로 발전하기도 한다. 이러한 공동은 도로, 댐 등을 건설할 때 지반이 상부구조물을 지탱하지 못하여 부등침하 등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공동충전 등의 보강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CGS 공법에 의한 석회암 공동지역의 구조물 기초 지반보강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보강효과를 공학적으로 평가하였다. 먼저, 시추조사를 통해 지반의 구성 및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CGS 보강을 실시한 후, 보강검증을 위해 시추조사를 실시하였고, 시추조사 시 채취된 보강재코어 중 대표적인 시료에 대해 암석시험을 실시하여 보강재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CGS 공법을 적용한 후, 시추조사 시 채취된 보강재코어 중 대표적인 시료에 대해서 압축강도시험을 실시한 결과 공동 내 재료의 충전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축압축강도도 12.2~19.2(MPa)로 충분한 것으로 검토되어 석회암 공동이 적절하게 보강된 것으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