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quency Tunable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3초

주파수 가변 캐비티 대역통과필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Tunable Cavity Bandpass Filter)

  • 강상기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83-488
    • /
    • 2020
  • 최근에는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무선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구성된 무선기기에는 많은 주파수 고정형 필터가 필요하다. 주파수 가변 필터는 다수의 주파수 고정형 필터를 대체할 수 있으며, 주파수 가변 필터를 사용하면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800 ~ 2400MHz 대역에서 동작하는 3-폴 주파수 가변 대역통과필터(BPF)를 설계하였다. 주파수 가변범위를 넓히기 위해서 튜닝 스크류는 스텝을 갖도록 설계하였고, 튜닝 스크류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였다. 구현한 주파수 가변 BPF는 설계한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며, 삽입손실은 최대 2.82dB, 중심주파수에서 ± 50MHz 이격된 지점에서 최소 18.7dB의 감쇠 성능을 갖는다.

Harmonic Suppressed Dual-Band Bandpass Filter with Independently Tunable Center Frequencies and Bandwidths

  • Chaudhary, Girdhari;Jeong, Yongchae;Lim, Jongsik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93-103
    • /
    • 2013
  • This paper presented a novel approach for the design of a tunable dual-band bandpass filter (BPF) with independently tunable passband center frequencies and bandwidths. The newly proposed dual-band filter principally comprised two dual-mode single band filters using common input/output lines. Each single BPF was realized using a varactor-loaded transmission line resonator. To suppress the harmonics over a broad bandwidth, a defected ground structure was used at the input/output feeding line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filter exhibited the first passband center frequency tunable range from 1.48 to 1.8 GHz with a 3-dB fractional bandwidth (FBW) variation from 5.76% to 8.55%, while the second passband center's frequency tunable range was 2.40 to 2.88 GHz with a 3-dB FBW variation from 8.28% to 12.42%. The measured results of the proposed filters showed a rejection level of 19 dB up to more than 10 times the highest center frequency of the first passband.

TVWS용 주파수가변 대역통과필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requency Tunable Bandpass Filter for TVWS)

  • 강상기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4-47
    • /
    • 2016
  • TVWS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TVWS를 이용하는 통신시스템과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TVWS는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가 지역적으로 그리고 시간적으로 다르다. 때문에 TVWS를 이용하는 RF 시스템이 주파수가변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하면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470 ~ 698MHz에서 동작하는 주파수가변 대역통과필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그리고 주파수가변 대역통과필터는 제어의 용이성과 크기를 고려해서 2-pole로 설계하였다. 구현한 주파수가변 대역통과필터는 제어전압을 1.58 ~ 3.93V 가변하면 470 ~ 698MHz에서 동작하며, 삽입손실은 최대 4.78dB, 반사손실은 10dB 이하를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 논문의 주파수가변 대역통과필터는 TVWS에서 동작하는 수신기에 직접 사용이 가능하며, 본 논문에서 사용한 주파수가변 대역통과필터의 설계 절차는 대전력 주파수가변 대역통과필터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 Frequency Stable and Tunable Optoelectronic Oscillator Using an Optical Phase Shifter and a Phase-shifted Fiber Bragg Grating

  • Wu, Zekun;Zhang, Jiahong;Wang, Yao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6권6호
    • /
    • pp.634-641
    • /
    • 2022
  • A frequency stable and tunable optoelectronic oscillator (OEO) incorporating an optical phase shifter and a phase-shifted fiber Bragg grating (PS-FBG) is designed and analyzed. The frequency tunability of the OEO can be realized by using a tunable microwave photonic bandpass filter consisting of a PS-FBG, a phase modulator. The optical phase compensation loop is used to compensate for the phase variations of the RF signal from the OEO by adjusting an optical phase shifter.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output RF signals of the OEO can be tuned in a frequency range of 118 MHz to 24.092 GHz.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fluctuates within ±3.9 ℃, the frequency drifts of the output RF signals are less than 68 Hz, the side-mode suppression ratios are more than 69.39 dB, and the phase noise is less than -92.49 dBc/Hz at a 10 kHz offset frequency.

Tunable Low Phase-noise Microwave Generation Utilizing an Optoelectronic Oscillator and a Fiber Bragg Grating

  • Zhuansun, Xiaobo;Chen, Yiwang;Zhang, Pin;Yin, Qin;Ni, Jiazheng;Dong, Xiaohua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2권1호
    • /
    • pp.96-100
    • /
    • 2018
  • A tunable low-phase-noise microwave generation structure that utilizes an optoelectronic oscillator (OEO) and a fiber Bragg grating (FBG) is proposed and experimentally demonstrated in this article. This structure has no particular requirement for the band width of the laser, and its tunability is realized through adjusting the central frequency of the tunable FBG. A detailed theoretical analysis is established and confirmed via an experiment. A high-purity microwave signal with a frequency tunable from 6 to 12 GHz is generated. The single-sideband phase noise of the generated signal at 10.2 GHz is -117.2 dBc/Hz, at a frequency offset of 10 kHz.

고효율 주파수 가변 역 E-급 증폭기 (High Efficiency Frequency Tunable Inverse Class-E Amplifier)

  • 김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76-18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역 E-급 증폭기 출력 회로의 병렬 공진기를 주파수에 대해 가변되도록 회로를 구성하여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높은 전력부가효율과 출력전력을 유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병렬 공진기는 동작 주파수에 따라서 Q 값은 동일하고, 가변 특성을 얻기 위해서 바렉터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만들었으며, 전류 영점 교차를 위한 인덕턴스 성분은 집중소자로 또, 위상 보상을 위한 캐패시턴스는 분포소자로 구현하였다. 역 E-급 증폭기의 주파수 가변 특성을 통해서 효율과 출력 전력을 확인한 실험 결과는 65-12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증폭기는 최대 75%의 전력부가효율과 25dBm의 출력전력을 얻었다.

3중모드 기판집적 도파관(SIW) 구조를 이용한 주파수 가변 마이크로스트립 필터 설계 (Design of Frequency-Tunable Microstrip Filter Using Triple-Mode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SIW) Structure)

  • 나경민;김동우;오순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72-77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요구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다양한 주파수 대역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3중 모드 주파수 가변 필터를 제안한다. 이 필터는 가변 커패시터를 활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튜닝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품질 계수를 향상하기 위해 SIW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구조를 도입하였고, 중앙에 위치한 원형 홀을 통해 세 개의 공진 모드를 유발하는 구조를 구현하였다. 가변 커패시터에 의해 변화에 따른 전계분포와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EM 전파해석툴인 HFSS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하였으며, 3중 모드의 전계분포와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소수분주비를 갖는 광대역 가변 능동 주파수 분주기 마이크로파 집적 회로 (Wideband Tunable Semidynamic Fractional Frequency Divider MMIC)

  • 원복연;신재욱;신현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22-529
    • /
    • 2007
  • 마이크로파 광대역 능동 주파수 분주기는 가변 위상 변환기(tunable polyphase filter)와 가변 영상 주파수 제거 혼합기(tunable image-rejection mixer)를 연결한 것에 정적 이분 주기(static divide-by-2)를 궤환 경로로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출력에서 원하지 않는 불요파 신호를 영상주파수 제거 혼합기와 가변 위상 변환기를 조정함으로써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거할 수 있었다. GaInP/GaAs HBT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된 1.5 분주비를 갖는 주파수 분주 회로는 4.5 GHz에서 9.2 GHz의 광대역 입력 주파수 영역에서 동작하였으며, $1/3{\times}f_{in}$$f_{in}$ 불요파 성분이 모두 -20 dBc 이하로 억제되었다. 소모 전력은 4.1 V에서 29 mA이다.

A Flexible and Tunable Microwave Photonic Filter Based on Adjustable Optical Frequency Comb Source

  • Tran, Thanh Tuan;Seo, Dongsun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32
    • /
    • 2015
  • A flexible and tunable microwave photonic filter based on adjustable optical frequency comb source is demonstrated. We use a combination of a dual parallel Mach Zehnder modulator and an intensity modulator to generate fifteen comb lines with proper weights to implement a desired filter. The optical comb weights, corresponding to the tap coefficients of the filter, are flexibly changed by adjusting the operation parameters of the modulators. The achieved bandwidth and stopband attenuation of the tunable filter are 0.7 GHz and 20 dB, respectively. In addition, we overcome the undesired low frequency suppression appeared in a conventional scheme by applying a dual parallel Mach Zehnder modulator for single sideband suppressed carrier modulation.

장력제어를 통한 가변형 탄소나노튜브 공진기에 대한 연구 (Tension Control Tunable Carbon Nanotube Resonator)

  • 최태호;이준하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3-66
    • /
    • 2013
  • Carbon Nanotube have been proposed for use in various applications for electromechanical systems. Nan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which provide high frequency resolution and long energy storage time, play an important role in wide area fields of science and engineering. Using the control of tension in carbon nanotube, can be made the tunable resonator. In the study, we analysis the tunable frequency change of resonator by tension changes due to the rotation angles of the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resonator.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resonator as a function of the rotation angle. The tension was foun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rotation angle, and therefore the resonance frequencies could be changed by controlling the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rotation angle. The resonance frequencies decreased with increasing angle, and when the rotation angle was greater than $60^{\circ}$, these changes were mark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