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man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3초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 스트레스, 우울 및 신체활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Freshman Nursing Students' Academic Stress, Depression, and Physical Activity)

  • 조옥희;황경혜;박혜서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1-129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mong freshman nursing students' academic stress, depression, and physical activity. Methods: In this descriptive study, Freshman students sampled from 4 nursing colleges were survey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on academic stress, depression and physical activity during the period from May to June, 2015. Result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but no correlation was found with physical activity. Of the subjects, 24.3% had a moderate or severe level of depression. Depression and physical activit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exercis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of reducing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for freshman nursing students.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depress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to reduce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so that freshman nursing students lead to a healthy campus life.

효과적인 대학 1학년 교육 프로그램 모색을 위한 학생 만족도 조사 (Freshman Survey for Investigating Effective 1st year Program)

  • 이은실;김경선;정유지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1호
    • /
    • pp.32-42
    • /
    • 2006
  • 대학 첫 1년은 신입생들이 학습을 포함한 대학교육에 대한 태도, 기대, 습관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시기로 성공적인 대학교육의 관건이 되는 전략적 시기이다. 즉, 대학 첫 1년 시기의 태도와 행동, 대학 교육에의 적응도, 다양한 영역에서의 대학 경험이 성공적인 대학 1년을 결정짓게 되며, 성공적인 대학 1학년 교육은 지적 성장, 인간관계 형성, 진로방향 및 목표에 대한 명료화, 신체 및 심리적 건강, 가치관 명료화 등을 경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스텍 1학년 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과 생활은 어떠한지를 조사하여 성공적인 대학 첫 1학년의 경험을 위한 교육요구를 파악하고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학사관리지도 및 전공영역활용 지도가 이공계 기초대학수학 교육에 미치는 영향 (Notes on Effective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by Counseling Freshman and by Promotion of Application in Engineering Mathematics)

  • 김영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793-803
    • /
    • 2005
  • In this paper, we study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by counseling freshman. And we discuss the effectiveness that the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can be promoted throughout counseling freshman and by teaching examples in engineering mathematics in courses of calculus and differential equation and linear algebra.

  • PDF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 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감 능력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Interpersonal Ability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Freshman in Nursing College: Mediation Effect of Empathy Ability)

  • 오윤희;박명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331-341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능력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공감 능력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4개 대학의 간호학과 신입생 179명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6월 11일부터 6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 신입생의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대인관계 능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감 능력이 부분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는 방안으로 학생들의 공감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력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를 포함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긍정적 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e Factors of Positive Think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of Freshman Dental Hygiene Students)

  • 민희홍;이혜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24-132
    • /
    • 2020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긍정적 사고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 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련성을 규명하며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치위생(학)과 신입생들이 학교생활 적응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9년 10월 1일부터 10월 21일까지 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 지역의 치위생(학)과 신입생 213명을 대상으로 임의추출 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긍정적 사고, 진로체험 경험 순이었고,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설명력은 47.7%이었다.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조사되어 연구를 진행하였기에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한계가 있어 후속연구에서는 긍정적 사고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토대로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보완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학교생활 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한 기초자료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코로나19 시대 간호대학 신입생의 성장마인드셋과 교수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rowth Mindset and Professor Support on School Life Adjustment of Nursing College Freshman in the Era of COVID-19)

  • 채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02-81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시대 간호대학 신입생의 성장마인드셋, 교수지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확인하고,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 광역시 소재 간호대학 신입생 248명으로 자료수집은 2022년 10월 4일에서 10월 31일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생활적응은 성장마인드셋(r=.51, p<.000), 교수지지(r=.54, p<.00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수지지(β=.38, p<.001), 전공만족도에서 매우 만족이라고 답한 대상자(β=.31, p<.001), 성장마인드셋(β=.26, p<.001), 전공만족도에서 만족이라고 답한 대상자(β=.16, p=.015), 여학생(β=.14, p=.005)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은 학교생활적응을 44.0%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증진시키는 전략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향후 대상자를 확대하여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통합성과 삶의 질 관계 (Correlation sense of coherence and quality of life among freshman nursing students)

  • 박혜서;황경혜;조옥희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1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herence and quality of life in the freshman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7 freshmen of nursing colleg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of sense of coherence and quality of lif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Result: There was static correlation between sense of coherence and quality of life in the freshman nursing students. And high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were meaningfulness in sense of coherence and psychological domain in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se results were shown very important to improve meaningfulness in sense of coherence and psychological domain in quality of life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in the freshman nursing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hat focus on stress, and psychological health.

에이즈교육이 대학생의 에이즈에 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IDS Education on Knowledge and Attitude in College Freshman)

  • 이명희;조결자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2-71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IDS education for college freshman.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for one group. Subjects were selected from G college freshman(n=89) in I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5 to December 3, 2004. An educational session took 50 minutes and was conducted once a week. Subjects were given a total of four-session AIDS education. Knowledge and attitude on AIDS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AIDS education using questionnaire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AID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In particular,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subscales(personal and social attitud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attitude. In particular,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attitude subscales(personal and social attitude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AIDS education is effective in order to encourage correct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AIDS for college freshm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AIDS education programs to keep healthy sex.

  • PDF

광주광역시 빛고을 혁신 초등학교와 일반 초등학교의 정서적 요인 비교를 통한 빛고을혁신학교의 개선점 도출 (Deduction of Improvements for Bitgoeul Innovation Schools through Comparison of Affective Factors between Bitgoeul Innovative Elementary Schools and Ordinary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강대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25-732
    • /
    • 2021
  •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 빛고을혁신학교의 개선을 위해 혁신 초등학교와 일반 초등학교 사이의 정서적 영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혁신 초등학교를 졸업한 예비 중학생 318명과 일반 초등학교를 졸업한 예비 중학생 435명이다. 분석 방법은 두 학교의 자아존중감, 반사회성, 불안, 스트레스 간 상관관계를 그리고 자아존중감을 종속변수로 다른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두 학교를 졸업한 예비 중학생의 정서적 변수들의 상관관계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둘째, 두 학교 모두 독립변수 반사회성, 불안,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종속변수 자아존중감은 낮아졌다. 셋째, 모든 변수에서 빛고을 혁신 초등학교와 일반 초등학교를 졸업한 예비 중학생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빛고을혁신학교의 확대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신설 간호대학 신입생의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경험 (Experience of Mentoring Program in Newly Opened Nursing College Freshman)

  • 장인순;최은희;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1-92
    • /
    • 201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freshman's experience during a mentoring program at a newly opened nursing college. Methods: The study was qualitative research using focus group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erformed from May 2 to May 30, 2011.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freshmen on their experiences with their ment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Colaizzi's method, in which the meaningful statements were extracted. Results: We identified the six categories from sixteen theme-clusters and thirty five themes: 1) meaningful relationship, 2) unexpected help, 3) realization, 4) solidification of one's determination, 5) establishment of a mentor image, and 6) wistful sense. Conclusion: The mentor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a nursing college freshman to develop their vision and identity as a professional nurs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