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ctus Corni Officinalis water extrac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Fructus Corni Officinalis water extract Ameliorates Memory Impairment and Beta amyloid (Aβ) clearance by LRP-1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of a Rat model of Alzheimer’s Disease

  • Lee, Ju Wo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47-354
    • /
    • 2016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Fructus Corni Officinalis water extract (FCE) on congnitive impairment and Aβ clearance induced by beta amyloid Aβ (1-42) injection in the hippocampus of rat. Aβ (1-42) was injected into the hippocampus using a Hamilton syringe and micropump (5 ㎍/5 ㎕, 1 ㎕/min, each hippocampus bilaterally). FCE was administered orally once a day (100, 250, 500 mg/kg) for 4 weeks after the Aβ (1-42) injection. The acquisition of learning and retention of memory were tested using the Morris water maze. Aβ accumulation and Aβ clearance in the hippocampus were observed using immunostaining. Aβ (1-42) level in plasma was confirm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FCE significantly shortened the escape latencies during acquisition training trials. FC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target heading to the platform site and significantly shortened the time for the 1sttargetheadingduringtheretentiontesttrial.FCEsignificantlyattenuatedtheAβ accumulation in the hippocampus produced by Aβ (1-42) injection. FCE significantly increased LRP-1 expression around vessels in the hippocampus and Aβ (1-42) levels in plasma. The results suggest that FCE improved cognitive impairment by ameliorate Aβ clearance and Aβ accumulation in the hippocampus. FCE may be a beneficial herbal formulation in treating cognitive impairment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산수유 물추출물이 B16/F10 Melanoma세포주의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Water Extract from Cornis Fructus Regulates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 양현옥;최원형;전병훈;백승화;천현자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818-822
    • /
    • 2002
  • Fruits of Cornus Officinalis have been used as an astrinent, tonic and haemostatic in chinese medicine, contain a large amount of hydrolyzable tannins. The main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rni Fructus on melanogenesis. Cells were cultured in the presence of water extracts from Corni Fructus for 48 h, and there were estimated total melanin content as a final product and activity of tyrosinase, a key enzyme, in melanogenesis. Water extract from Corni Fructus increased the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mmer. Especially, It was observed that 100 μg/ml only water extract stimulated melanin secre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by 130% at 48 h treatment and activity of tyrosinase increased by 160% in presence of same concentration.

지골피, 산수유의 streptozotocin 유발 당뇨흰쥐에서의 효과 비교 연구 (The comparisons of Lycii Radicis Cortex and Corni Fructus water extract effects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in rats)

  • 한윤경;박용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1-77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anti-diabetic efficacy of Lycii Radicis Cortex (Lycium chinense Mill.) and Corni Fructus (Cornus officinalis) o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es in rats. Methods :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STZ-control, Lycii Radicis Cortex extract-administrated group (LRC) and Corni Fructus extract-administrated group(CF). Diabetes in rats was induced by intraperitonal injection with streptozotocin (STZ) at doses of, 30 mg/kg (body weight) for 5 days (once per a day). STZ-induced diabetic rats were orally administrated LRC and CF extract daily for 4 weeks at doses of 300 mg/kg. Fasting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reatinine were measured in sera of rats.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kidney, liver and lung tissues were observed by microscope after H&E staining. Results :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dy and kidney weights, food intake and water intake in LRC- and CF-administrated groups compared with STZ control group. However, glucose, TC and TG levels in seru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LRC-administrated groups compared with STZ-control group. In histopathological analysis of kidney, liver and lung, both LRC- and CF-administrated groups showed the inhibition of morphological damage.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LRC and CF have a biological action on STZ-induced diabetes in rats via decreasing the serum TG and TG levels and may protect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kidney, liver and lung.

ICR 마우스를 이용한 산수유 건피 추출물의 단회 경구투여 독성시험 (Single Dose Oral Toxicity Test of Water Extract of Corni Fructus in ICR Mice)

  • 황보현;권다혜;김민영;지선영;최은옥;김성옥;정지숙;홍수현;최성현;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2-117
    • /
    • 2019
  • 산수유(Corni Fructus)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오랫동안 전통 의약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산수유는 항염증, 항산화, 면역기능 조절 및 항암활성 등과 같은 많은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산수유에 대한 독성 및 안전성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수유 열수 추출물(CF)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회 경구 투여에 따른 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1,000, 2,000 및 5,000 mg/kg의 CF를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후 14일 동안의 치사율, 체중 변화, 임상증상, 음수율 및 사료섭취량과 함께 부검 소견, 장기무게 변화, 혈액학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CF 투여에 따른 치사율, 임상증상, 체중 및 부검 소견 상의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CF 투여에 따른 각 장기의 무게, 혈액학적 및 혈청학적 임상 화학적 지표에도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CF 단회 경구 투여에 따른 치사량이 5,000 mg/kg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어 ICR 마우스에 대하여 급성 독성이 없는 비교적 안전한 물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천연 식의약 소재로서의 효능 규명을 통한 활용이 기대된다.

산수유 추출물에 의한 testosterone으로 유발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개선 (Extract of Fructus Corni Ameliorates Testosterone-induced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in Sprague Dawley Rats)

  • 지선영;김민영;황보현;이혜숙;홍수현;김태희;윤선혜;김현진;정하은;김성연;김태중;김민지;김성옥;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50-558
    • /
    • 2021
  •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의 발병은 노화에 따른 남성 호르몬 수치의 변화와 연관된 내분비 기능 저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BPH 치료를 위해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은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내므로 효과적인 대체 식의약 소재의 개발을 시급히 요구된다. 산수유나무의 열매인 산수유(Fructus Corni)는 오랫동안 다양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어왔으며 최근 BPH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BPH에 대한 산수유 열수 추출물(CF)의 추가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비거세 및 거세 동물 모델에서 TP에 의한 BPH 유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BPH 억제를 위한 양성대조군으로 FINA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CF 투여는 대조군 및 FINA 처리 그룹에 비하여 비거세 및 거세군 모두에서 전립선의 과도한 발달을 억제하였다. BPH에 대한 CF의 억제 효과는 BPH 유도에 관여하는 testosterone과 DHT의 발현 감소뿐만 아니라 HIF-1α, 5α-reductase type 2, SRC1, AR 및 PSA 발현의 과도한 발현 억제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sol의 혈청 수준은 비거세 및 거세군 모두에서 TP에 의한 BPH 유도 동안 증가하였지만 CF 투여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BPH 유도군에서 insulin 및 IGF-1은 증가되지 않았으며 CF에 의한 효과적인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AR 신호 전달 경로 활성의 억제를 통해 BPH에 대한 CF의 유익한 효과를 시사하며, 산수유가 BPH의 예방과 치료에 잠재적인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