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sQC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커피전문점 선택 속성과 점포유형의 결합 관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퍼지셋 질적비교분석(fsQCA)을 중심으로 (Effects of Coffee Shop Choice Attributes and Type of Coffee Shop on Customer Satisfaction : Using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fsQCA))

  • 한영위;이용기;안성만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8권1호
    • /
    • pp.31-41
    • /
    • 2017
  • Purpose - As the domestic coffee market is rapidly growing and competition is intensifying, coffee shops need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hat grasps the needs and desires of consumers in order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in terms of survival.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uggests what choice attributes consumers consider when visiting coffee shops, and analyzes the effect of customer choice attributes on franchise and private coffee shops using fsQC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e present study, we tri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choice attribute on satisfaction by the type of coffee shop based on the complex system theory, while studying the existing coffee shop choice attribute focuses on the causal relationship. FsQCA is a complementary analytical method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nd is a method for effectively analyzing the complex combination of causal variables. Result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eanlines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coffee qualit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customers who prefer franchise coffee shops seem to be most concerned about atmosphere, menu, cleanliness and price. On the other hand, customers who prefer private coffee shops consider image the most important. Conclusions -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Overall, coffee shops should manage cleanliness basically regardless of the type of store, but they should manage the choice attribute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coffee shop. Franchise coffee shops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level of store satisfaction by systematically managing the store atmosphere, menu, cleanliness, and price according to the manual using the advantages of the franchise system.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franchise coffee shops, private coffee shops can operate autonomous stores, so customers can use various marketing mixes to enhance their store image.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창업성공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PLS와 fsQCA 활용 (Influencing Factors on the Likelihood of Start-up Success of Researchers in Public Research Institutes: Using PLS and fsQCA)

  • 황경연;성을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1호
    • /
    • pp.107-120
    • /
    • 2022
  • 본 연구는 공공연구기관 연구자 관점에서 창업성공가능성 결정요인의 순효과와 결합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을 기초로 연구자의 창업성공가능성 결정요인을 검토하고, 창업성공가능성 결정요인간의 개념적인 관계를 설정하였다. 자료수집은 대덕연구 개발특구내 공공연구기관 연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114개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PLS 분석방법은 창업성공가능성 결정요인의 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fsQCA는 창업성공가능성 결정요인의 결합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PLS 분석결과에서 기술사업화가능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창업성공가능성에 독립적으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면, 기술사업화역량, 정보접근성 및 네트워크는 창업성공가능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한편, fsQCA결과에서 기술사업화가능성, 기술사업화역량 및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창업성공가능성이 높아지는 결합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창업성공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창업성공가능성 결정요인을 이해하는데 학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출연연연구기관 연구자의 산연협력 혁신성과 결정요인 분석: 퍼지집합 질적 비교분석 접근 (Factors Influencing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Industry-Research Institute Cooperation of Researchers at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Daedeok Innopolis: An fsQCA Approach)

  • 황경연;성을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21-233
    • /
    • 2021
  • 본 연구는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를 대상으로 산연협력에서 혁신성과 결정요인의 결합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문헌검토를 통해 협력에 의한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찰하고, 이들 요인의 조합이 산연협력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합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위한 자료는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산연협력 혁신성과 결정요인의 결합효과 분석에는 퍼지집합 질적 비교분석(fsQCA)이 사용되었다. fsQCA 결과에서는 높은 산연협력 동기부여, 높은 산연협력 신뢰, 높은 산연협력 몰입 및 높은 산연협력 만족도의 구성이 연구자의 산연협력 혁신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산연협력 동기부여, 높은 산연협력 신뢰, 낮은 산연협력 몰입, 낮은 산학협력기업 의존성 및 낮은 산연협력 만족도의 구성이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의 산연협력 혁신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fs/QCA Calibration 방법론에 의한 기술 분야별 선도국가 분류 (fs/QCA Calibration for the typology of technology leading countries in technology sectors)

  • 이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119-1124
    • /
    • 2012
  • 기술의 혁신성에 대한 지표는 OECD 및 각 국가별로 활발히 논의되어지고 있으나 기술혁신의 정도 내지는 등급에 대한 학계 및 세계기구 및 정부의 논의는 미비한 실정이다. 기술의 혁신성 또는 특정국가 및 특정산업의 혁신성과 그 정도를 유형화 할 수 있다면 각각의 혁신수준에 맞는 적절한 정책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혁신의 정도 및 그 구분을 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론이 없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Charles C Ragin(2008)에 의하여 소개되어지고 있는 Fuzzy-set calibration 방법론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OECD의 특허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분류 방법론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OECD국가와 일부 비 OECD 국가의 기술별 혁신도를 등급화 하고 기술 분야별 그 발달 유형을 전통산업(TRAD), 정보통신(ICT), 생명공학(BIO), 소프트웨어(SW)기술별로 유형화 하였다. 이러한 기술의 혁신정도에 대한 구분과 그 유형화는 그 등급과 유형에 따른 적절한 혁신진흥정책의 발굴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Port Logistics Development Based on Configuration Analysis QCA

  • Li, Jian;Lee, Sang-Chun;Hong, Seung-Lin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5권5호
    • /
    • pp.58-73
    • /
    • 2021
  • Purpose - In the context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trade, as countries around the sea peninsula, port construc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rt logistics development based on the allocation analysis, QCA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provides the basis for the planning and policy of port logistics development and has important theoretical value and practical significance for improving the level of port logistics management, reducing logistics operating costs and increasing economic benefits. In the tide of global integ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ort logistics, promote the growth of foreign trade economy of the city. It is also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commerce and trade. Design/methodology - Based on the relevant data samples of various ports in South Korea, this paper uses fsQCA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to integrate and analyze the influence mechanism of port logistics development and extracts five influencing factors of port logistics development, including the port's scale and infrastructure in the hard environment, port-neighboring enterprises in the soft environment, hinterland economy and government support. Findings - The five factors are unable to separately constitute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port logistics development, only a combined model can influence lake port logistics development. The scale and infrastructure of the port itself and port-neighboring ring enterprises are the main core conditions, which work together on the port, affect the throughput capacity of the port,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port logistics. When the port-neighboring enterprises are not complete and the scale is low, the growth of port throughput will be restrained and the development of port logistics will be affected, whether the hinterland economic benefits are general, the development of port-neighboring enterprises is insufficient, or the government supports are limited. Originality/value - Through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port logistics in Sou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configuration, this paper finds the configuration influence of hard environment and soft environment on the development of port logistics, which has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for better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port logistics in South Korea.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지역혁신의 유형 및 요인 분석 (Analyzing Typology and Factor Combinations for Regional Innovation in Korea Using fs/QCA)

  • 김규환;박인권
    • 지역연구
    • /
    • 제34권4호
    • /
    • pp.3-18
    • /
    • 2018
  • 지역혁신은 지역경제 성장의 동력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역혁신시스템을 수립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혁신시스템의 유형을 분류하고 지역혁신 성과인 특허출원에 미치는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부분 기존 연구에서는 사례 중심 혹은 변수 중심 연구방법을 통해 지역혁신시스템의 유형을 분류하거나 지역혁신 효과를 분석하였다. 하지만 변수 중심 연구는 강력한 전제 조건을 가정하며, 사례 중심 연구는 주관적 해석에 의존하는 한계를 노정한다. 본 연구는 최근에 주목받는 fs/QCA를 활용하여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했다. 지역혁신시스템 이론을 바탕으로 지역혁신의 요소를 투입, 인프라,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이를 통해 16개의 지방자치단체의 지역혁신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8가지의 지역혁신 유형 중, 대부분의 지역이 높은 수준의 인프라를 갖춘 유형과 투입과 네트워크가 높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3가지 요소는 7가지 하위 변수로 분류되는데, 이를 활용하여 지역혁신의 성과인 높은 특허출원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개발 인력과 유효특허가 특허출원의 필요조건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개발비, 유효특허, 협동연구, IP예산, TLO가 높고, IP금융이 낮은 원인 조합의 배열이 특허출원을 일으키는 충분조건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혁신을 위해서 공공부문은 연구개발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부문에서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공공과 민간은 IP금융 활성화를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

17개 시·도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lderly Welfare Budget among 17 metropolises and provinces in Korea Using Fs/QCA)

  • 장은하;홍석호;김헌진
    • 한국노년학
    • /
    • 제41권1호
    • /
    • pp.127-147
    • /
    • 2021
  • 노인복지증진을 위한 지방정부의 안정적인 재원확보 및 효율적 재정운영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 방법론(Fs/QCA)을 적용하여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의 원인조건을 탐색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원인변수를 사회경제적 요인(고령인구비율,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 재정적 요인(재정자주도), 정치행정적 요인(노인복지조례 수)으로 선정하였고, 결과변수는 노인 1인당 복지예산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복지예산을 결정하는 원인변수의 조합은 세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첫째, 고령인구비율이 낮으며,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이 높고, 노인복지조례 수가 적은 경우였다. 둘째,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이 낮고, 재정자주도가 낮으며, 노인복지 조례 수가 많은 경우였다. 셋째, 고령인구비율이 높고,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이 높으며, 재정자주도가 낮은 요인이 결합되어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방정부에서는 사회경제적 요인, 재정적 요인, 정치행정적 요인 등을 고려하여 실질적인 노인복지예산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퍼지셋 질적 비교 분석(fsQCA)을 활용한 관광지 거주민들의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Using Fuzzy Set-Quality Comparative Analysis (fsQCA)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Hindrance to Tourist Resident's Quality of Life )

  • 이현애;정희정;함주연;정남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3-133
    • /
    • 2019
  • 도시 관광객의 과잉 증가로 인해 낙후된 구도심 지역이 활성화되면서 임대료 상승으로 기존 거주민이 내몰리는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과, 주거지역의 관광지화로인한 거주민의 이주현상을 의미하는 투어리스티피케이션(touristification)은 최근 전 세계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제주도와 북촌한옥마을 등에서 오버 투어리즘으로 인한 환경오염, 지가 및 임대료 상승, 공동체 문화 약화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거주민들의 삶의 질을 저해함으로써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써 스마트 관광 도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5년부터 스마트 시티 시범 도시로 선정되어온 부산시의 거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퍼지셋 질적 비교 분석(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을 통해 관광 개발에 따른 경제적 이익, 사회적 비용, 환경적 지속성, 문화적 혜택, 기술적 영향이 거주민 삶의 질 저하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세 가지의 거주민 삶의 질 저하 패턴이 도출되었다. 관광 개발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크다고 느낄 경우 거주민들은 필수적 혜택(기술·경제적 혜택)(패턴 1)이나 부차적 혜택(환경·문화적 혜택)(패턴 2)을 크게 인식하더라도 삶의 질이 저하된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광 개발로 인해 어떤 혜택도 전혀 인식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패턴 3).

OECD 국가의 가족정책과 아동 삶의 질의 관계: 퍼지셋 질적비교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Policy and Children's Quality of Life among OECD Countries: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 박정민;진미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595-607
    • /
    • 2022
  •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policy and children's quality of life through an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to determine which family policy factors contribute to children's quality of life. The research question is "How can family policies be combined to improve children's quality of life in terms of health and economy?" It includes nine categories of family policies related to money, service, and leave. Measures of children's quality of life include low birth weight, infant mortality, and child poverty. Using the OECD Family Database, and the OECD Child Well-being Data, fuzzy-set Qualitative Comparison Analysis (fsQCA) was used among 20 OECD countries. Combinations of family policies significant to the children's quality of life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revealing the effectiveness of states' investment in family policy. In addition, the study indicates that since family policies interact with each other, those policies combine to improve children's quality of life.

지방정부 간 자율적 행정구역 통합의 성공요인 탐색: 퍼지집합 질적비교분석(fsQCA)의 적용

  • 양고운;박형준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
    • 제25권1호
    • /
    • pp.91-11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set of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successful voluntary consolid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This paper considers the voluntary consolidation as a kind of coordination mechanism and 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proces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identifies the configurations of the causal factors influencing the voluntary consolidations by applying the fuzzy-set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sets of the causal factors which include political and economic homogeneity factors in the region, and interlocal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homogeneity factors, and prior consolidation experience between region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onsolidations. Also, it turns out that interlocal homogeneity and conformity between regions should be considered significantly for institutionalization which supports the consolidation between local ent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