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sarium sambucinum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국내에서 분리된 Fusarium sambucinum 종복합체 균주의 재동정 및 문헌 고찰 (Re-identification of Fusarium sambucinum Species Complex Strains in Korea and Their Literature Review)

  • 최윤희;;최효림;이지수;이다슬;홍승범
    • 식물병연구
    • /
    • 제29권2호
    • /
    • pp.118-129
    • /
    • 2023
  • Fusarium sambucinum 종 복합체는 식물에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분류군이다. 국내에서는 F. sambucinum 종 복합체가 일으키는 식물병에 대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한국식물 병명목록에는 2종(F. graminearum, F. sambucinum)이 14개의 기주에 식물병을 일으키는 정보만이 등록되어 있다. F. sambucinum 종복합체의 다양성 및 병원성을 확인하기 위해 농업미생물은행(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에 보존된 57 균주의 F. sambucinum 종 복합체를 다중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multi-locus sequence typing)을 바탕으로 7종(F. asiaticum, F. graminearum, F. vorosii, F. meridionale, F. bootii, F. kyushuense, F. armeniacum)으로 재동정하였다. 이전의 보고와 이번 연구의 결과에 따라, F. sambucinum 종 복합체 중 5종(F. asiatum, F. graminearum, F. vorosii, F. armeniacum, F. sambucinum)이 24개의 기주에 병원성을 보였으며, 3종(F. meridionale, F. bootii, F. kyushuense)의 병원성은 명확하지 않았다.

Fusarium spp.에 의한 수확 후 참외 열매썩음병 (Fusarium Fruit Rot of Posthavest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Caused by Fusarium spp.)

  • 김진원;김현진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60-267
    • /
    • 2004
  • 2001년부터 2003년에 걸쳐 수확 후 과일가게에서 판매되는 참외의 썩음증상으로부터 Fusarium spp.를 분리하였다. 병든 과실들은 균사로 덮여 있었고 결국 물러 썩었다. 병의 시작은 주로 과실이 달렸던 부위, 꽃이 달렸던 부위 그리고 열매 표면에 병이 시작되었다. 병이 진전됨에 따라 물러 썩는 열매의 표면에는 흰색에서 분홍빛의 균사로 덮혔다. 이들 병든 과실로부터 분리된 Fusarium spp.를 기존에 보고된 균학적 내용과 비교하여 동정한 결과 Fusarium equiseti, F. graminearum, F. monliforme, F. proliferatum, F. sambucinum, F. semitectum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균의 병원성을 조사하기 위해 건전한 참외에 인위적으로 만든 상처와 무상처에 접종한 결과 접종 이틀후, 상처 접종 부위에 기중균사가 형성되었고, 병이 진전됨에 따라 물러 썩었다. 비록 참외에서 Fusarium spp.가 야기하는 열매썩음병은 국내에서 이미 보고된 바가 있으나, 이와 관련된 종에 대해서는 보고된 적이 없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Fusarium spp.에 의한 수확 후 참외의 열매썩음병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Fusarium Fruit Rot of Citrus in Jeju Island

  • Hyun, Jae-Wook;Lee, Seong-Chan;Kim, Dong-Hwan;Ko, Sang-Wook;Kim, Kwang-Sik
    • Mycobiology
    • /
    • 제28권3호
    • /
    • pp.158-162
    • /
    • 2000
  • Twenty-three isolates of Fusarium spp. were obtained from decayed citrus fruits in the fields and storages in 1998-1999. Of them, six and five isolates belonged to F. proliferatum and F. moniliforme, respectively, which were the most common. F. solani and F. sambucinum had each two isolates, F. equiseti had one isolate and seven isolates were unidentified. They produced symptoms of two types in pathogenicity test: those with leathery, beige to light or dark brown, and sunken lesions without surface mycelium (type-1) and those with lesions covered with white, beige or pink surface mycelium (type-2). Four of six isolates identified to F. proliferatum and two unidentified isolates produced type-1 lesions, and all isolates identified to F. moniliforme, F. solani, F. sambucinum, F. equiseti and five unidentified isolates produced type-2 lesions.

  • PDF

감자 건부(乾腐) Fusarium roseum ‘Sambucinum’ 변이체(變異體)의 균사생장(菌絲生長) 및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에 미치는 아미노산(酸) 영양(營養) (Amino Acid Nutrition on Growth and Reproduction of Potato Dry Rot Fusarium roseum ‘Sambucinum' Variants)

  • 이창은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87-192
    • /
    • 1982
  • 감자 건부병균(乾腐病菌) Fusarium roseum ‘Sambucinum'의 병원성(病原性) 감소(減少) 및 증가(增加) 변이체(變異體)의 균사생장(菌絲生長)과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에 미치는 각종(各種) 아미노산(酸)의 효과를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병원성(病原性) 증가(增加) 변이체(變異體) Ic52 및 Ic116은 병원성(病原性) 감소(減少) 변이체(變異體) Dc14 및 Dc91 보다 모든 공시(供試) 아미노산(酸)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더큰 경향(傾向)을 보여 leucine에서 최고(最高) 67mg까지 생장(生長)하였으며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은 $25{\times}10^{4}/ml$ 이하로 감소(減少) 또는 완전(完全)히 소실(消失)하였다. Methionine은 변이체(變異體) 및 야생형(野生型)에 대(對)하여 $14{\sim}20mg$의 가장 적은 균사생장(菌絲生長)을 보였으며 분생포자(分生胞子)는 전연형성(全然形成)시키지 않았다. Cystine은 병원성(病原性) 감소(減少) 변이체(變異體) Dc14 및 Dc91의 균사생장(菌絲生長) 30mg 및 19mg를 보여 asparagine과 같이 중정도(中程度)였고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에는 효과가 없었다. 모든 공시(供試) 아미노산(酸)에서 병원성(病原性) 감소(減少) 변이체(變異體) Dc14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은 Dc91보다 큰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도 Dc91에서 최고(最高) $195{\times}10^{4}/ml$를 보인 glutamic acid를 제외(除外)한 아미노산(酸)에서 Dc14 현저(顯著)하게 많았으며 lysine HCI은 이들 양변이체(兩變異體)의 분생포자(分生胞子)를 형성(形成)시키지 않았다.

  • PDF

Fusarium 속 균종들의 염색체수 (Chromosome Number in Several Species of the Genus Fusarium)

  • 민병례
    • 미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73
    • /
    • 1991
  • The chromosome of Fusarium species during the vegetatve nuclear divisions in hyphae were observed by use of HCl-Giemsa technique on light microscope. The haploid chromosome number of Fusarium anthophilum 7472 was n=7, n=6 in F. anthophilum 7481 and n=6 in F. oxysporum 7500. The haploid chromosome number was 7 in F. napiforme 6129 and F. napiforme 6144. Those of F. caucasicum F. caucasicum ATCC 18791 and F. aquaeductuum ATCC 15612 were n=5. F. coeruleum ATCC 20088 was n=6, n=8 in F. camptoceras ATCC 16065 and n=7 in F. sambucinum NRRL 13451. From these results and previous paper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basic haploid chromosome number of the genus Fusarium is n=4.

  • PDF

인삼 뿌리썩음병(根 病) 관련 Fusarium species와 그 병원성 (Fusarium species Associated with Ginseng (Panax ginseng) and Their Role in the Root-Rot of Ginseng Plant)

  • 이순구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48-259
    • /
    • 2004
  • 1982년부터 1885년 동안, 인삼뿌리썩음병 및 근권 토양에서 분리한 Fusarium균(115균주)을 Snyder-Hansen 방식(주로 F. solani 및 F. oxysporum의 동정에 적용) 및 Gerlach-Nirenberg 방식(주로 F. moniliforme[Liseola section]의 균주 동정 및 F. roseum[Snyder-Hansen 분류개념에 의한]에 속하는 균주 동정에 적용), 그리고 Cylindrocarpon균은 Booth 방식으로 분류 동정한 결과, 11개의 종으로 나눌 수 있었다. 가장 많이 분리된 균은 Fusarium solani(55균주), F. oxysporum(35균주), 그리고 F. moniliforme(10균주) 등이었다. Snyder와 Hansen(1945) 분류방식에 의해 F. roseum으로 불리우는 나머지 균주들(15균주)은 매우 드물게 분리되었으며, 8개의 종으로 다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들은 F. equiseti, F. avenaceum, F. graminum, F. arthrosporioides, F. sambucinum, F. reticulatum, F. semitectum and F. poa 등이었다. 1985년 6월 이들 Fusarium 균주들과 Cylindrocarpon destructans 균주들 및 주요 인삼의 토양전염성 병원균 균주들을 증평인삼시험장 3년생 격리포장에서 균총 절편으로 뿌리 상부에 접종시켜 그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Phytophthora cactorum과 Pythium ultimum은 접종 12일 만에 지상부 위조 및 뿌리의 물렁썩음을 일으키는 높은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접종 후 77일경에 뿌리를 채굴하여 뿌리의 마른 썩음을 조사한 결과, Fusarium solani 균은 34 균주 중 1개 균주만이 병원성을 보였으나, Cylindrocarpon destructans는 12개 접종 균주 모두 인삼의 뿌리썩음에 높은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 Fusarium solani 및 Cylindrocarpon destructans는 전형적인 기주-위주의 인삼 토양병원균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In vitro Cytotoxicity of Sambutoxin

  • Kim, Jin-Cheol;Park, Jeng-Bae;Kim, Gye-Won;Kim, Won-Bae;Lee, Yin-Wo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4호
    • /
    • pp.273-274
    • /
    • 1998
  • In vitro cytotoxicity of sambutoxin was measured by using various human and murine tumor cells and $IC_{50}$ values of sambutoxin ranged from 46.2 to 1,425.6 ng/ml.

  • PDF

The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D-Hydroxyisovalerate Dehydrogenase, a Key Enzyme in the Biosynthesis of Enniatins

  • Lee, Chan; Zocher, Rainer
    • BMB Reports
    • /
    • 제29권6호
    • /
    • pp.493-499
    • /
    • 1996
  •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purified D-hydruxyisovalerate dehydrogenase from Fusarium sambucinum was elucidated. D-Hydroxyisovalerate dehydrogenase produced solely D-hydroxyisovalerate from 2-ketoisovalerate. The isoelectric point of the purified enzyme was 7.0. The enzyme was highly specific with 2-ketoisovalerate ($K_{m}=0.188$ mM, $V_{max}=8.814$ mmol/min mg) and 2-keto-3-methyl-n-valerate ($K_{m}=0.4$ mM, $V_{max}=1.851$ mmol/min mg) for the reductive reaction. This was also seen by comparing D-hydroxyisovalerate ($K_{m}=1.667$ mM, $V_{max}=0.407$ mmol/min mg) and D-hydroxy-3-methyl-n-valerate ($K_{m}=6.7$ mM, $V_{max}=0.648$ mmol/min mg) for the oxidative reaction. Thiol blocking reagents, such as iodoacetamide, N-ethylmaleimide and p-chloromecuribenzoate inhibited about 80% of enzyme activity at 0.02 mM, 50 mM and 50 mM, respectively. The enzyme activity was also inhibited by the addition of 0.1 mM of various metal ions, such as $Fe^{2+}$ (67%), $Cu^{2+}$ (88%), $Zn^{2+}$ t (76%) and $Mg^{2+}$ (9%). The enzyme was stable over three months in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5~7) at $-80^{\circ}C$. However the purified enzyme lost 30% of its activity in the same buffer after 24 h at $4^{\circ}C$. The studies about thermal inactivation of D-hydroxyisovalerate dehydrogenase exhibit 209.2 kJ/M of activation enthalpy and 0.35 kJ/mol K of activation entropy.

  • PDF

The Kinetic Investigation of D-Hydroxyisovalerate Dehydrogenase from Fusarium sambucinum

  • Lee, Chan;Goerisch, Helmut;Zocher, Rainer
    • BMB Reports
    • /
    • 제33권3호
    • /
    • pp.228-233
    • /
    • 2000
  • The steady-state investigation of the mechanism of Dhydroxyisovalerate dehydrogenase was performed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ype of kinetic patterns. The initial velocity was measured with various amounts of both substrates, NADPH and 2-ketoisovalerate. Double reciprocal plots gave patterns that conversed on or near the abscissa. Binding studies indicated that NADPH bound first to the enzyme. The product $NADP^+$ was found to be a competitive inhibitor with respect to NADPH at a constant concentration of 2-ketoisovalerate. However, it showed noncompetitive inhibition against 2-ketoisovalerate at a fixed amount of NADPH. Another product, D-hydroxyisovalerate, was a non-competitive inhibitor versus NADPH and 2-ketoisovalerate at constant levels of 2-ketoisovalerate and NADPH,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comparable with an ordered bi-bi mechanism, in which NADPH bound first to the enzyme, followed by the binding of 2- ketoisovalerate. $NADP^+$ is the last product to be released. The ordered reaction manner of D-hydroxyisovalerate dehydrogenase from 2-ketoisovalerate to D-hydroxyisovalerate allows the accurate regulation of valine metabolism and it may lead to the regulation of total biosynthesis of enniatins in the Fusarium spec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