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siform gyru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2초

Implicit Distinction of the Race underlying the Perception of Faces by Event-Related fMRI

  • Kim, Jeong-Seok;Kim, Bum-Soo;Jeun, Sin-Soo;Lee, Kang-Hee;Jung, So-Lyung;Choe, Bo-Young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4년도 제29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49-52
    • /
    • 2004
  • A few studies have shown that the function of fusiform face area is selectively involved in the perception of faces including a race difference. We investigated the neural substrates of the face-selective region called fusiform face area In the ventral occipital-temporal cortex and same-race memory superiority In the fusiform face area by the event-related fMRI. In our fMRI study, twelve healthy subjects (Oriental-Korean) performed the implicit distinction of the race while they consciously made familiar-judgm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y considered a face as Oriental-Korean or European-American. In the race distinction as an implicit task, the fusiform face areas (FFA) and the right parahippocampal gyrus had a greater response to the presentation of Oriental-Korean than European-American faces, but in the consciously race distinction between Oriental-Korean and European-American faces,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FA was not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activation in the fusiform regions and right parahippocampal gyrus resulting from same-race memory superiority could be implicitly taken place by the physiological processes of face recognition.

  • PDF

부적 정서와 관련된 뇌 활성화 영역 (Brain Correlates Associated with Negative Emotions)

  • 이옥현;석지아;박미숙;엄진섭;권애란;손진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6권 제1호
    • /
    • pp.351-354
    • /
    • 2006
  • 시청각 동영상을 이용하여 정서의 뇌 활성화 영역을 규명하는 뇌 영상 연구들은 심상이나 슬라이드와 같은 정서유발도구를 사용한 연구들이 가지지 못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시청각 동영상을 이용하여 정서와 관련된 뇌 활성화 영역을 밝히는 연구들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시청각 동영상 자극을 이용하여 부적정서에 해당하는 공포, 분노, 혐오정서의 뇌 활성화 영역을 밝히도록 하겠다. 실험참가자로 11명의 오른손잡이 여대생이 선정되었다. fMRI 실험을 위한 패러다임은 block design으로, 각 정서당 통제자극 30초와 정서자극 1분 30초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공포자극에 의해 유발된 공포정서를 경험하는 동안, 공포자극에서는 우측 Amygdala와 양측 Fusiform Gyrus, 좌측 Middle Occipital Gyrus, 우측 Superior Temporal Gyrus가, 분노자극에서는 좌측 Thalamus와 양측 Anterior Cingulate Gyrus, 혐오자극에서는 좌측 Insula, 우측 Putamen, 우측 Fusiform Gyrus, 우측 Middle Occipital Gyrus, 우측Superior Temporal Gyrus 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시청각 자극을 사용하여 부적 정서에 따른 뇌 활성화 영역을 규명할 수 있었다.

  • PDF

Changes of Motor Deactivation Regions in Patients with Intracranial Lesions

  • Lee, Seung Hwan;Koh, Jun Seok;Ryu, Chang-Woo;Jahng, Geon 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4권6호
    • /
    • pp.453-460
    • /
    • 2013
  • Objective : There is a rich literature confirming the default mode network found compatible with task-induced deactivation regions in normal subjects, but few investigations of alterations of the motor deactivation in patients with intracranial lesions. Therefore, we hypothesized that an intracranial lesion results in abnormal changes in a task-induced deactivation region compared with default mode network, and these changes are associated with specific attributes of allocated regions. Methods : Blood oxygenation level dependent (BOL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during a motor task were obtained from 27 intracranial lesion patients (mean age, 57.3 years; range 15-78 years) who had various kinds of brain tumors. The BOLD fMRI data for each patient were evaluated to obtain activation or deactivation regions. The distinctive deactivation regions from intracranial lesion patient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o the literature reports. Results : There were additive deactivated regions according to intracranial lesions : fusiform gyrus in cavernous hemangioma; lateral occipital gyrus in meningioma; crus cerebri in hemangiopericytoma; globus pallidus, lateral occipital gyrus, caudate nucleus, fusiform gyrus, lingual gyrus, claustrum, substantia nigra, subthalamic nucleus in GBM; fusiform gyrus in metastatic brain tumors. Conclusion :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human brain function using fMRI. The authors report the brain function migrations and changes that occur in patients with intracranial lesions.

주변성 난독증의 특성과 대뇌활성화 양상 - 단일사례연구 - (Cognitive neuropsychological assesment in pure alexic patient with letter-by-letter reading using fMRl - Single case study -)

  • 손효정;편성범;김충명;남기춘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37-140
    • /
    • 200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gnitive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in a letter-by-letter reading dyslexic patient after cerebral infarct of left posterior cerebral artery using fMRl, The results of cognitive neuropsychological assesment are visual perception was appropriate, and semantic categorization, picture naming and picture-word matching tasks were above83% correct, respectively. However, she was very poor in lexical decision task. The selective reading impairment is thought to result from the disruption of the left occipitotemporal region included fusiform gyrus. In fMRl results, the activation level increase din the right occipitotemporal region included fusiform gyrus compared with normal group in compensation for left impairment and more increased in pseudo word reading task than word reading on account of familiarity.

  • PDF

뇌기능영상기법을 이용한 흡연욕구 가상환경 단서노출치료 효과 연구 (Cue Exposure Treatment in Virtual Environments to Reduce Nicotine Craving: Using fMRI)

  • 문지윤;이장한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501-50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단서노출치료가 흡연자의 니코틴 갈망수준을 감소시키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8명의 흡연청소년을 대상으로 6회기의 가상환경 단서노출치료를 실시하였다. 또한 단서노출치료 실시전과 후에 흡연관련 사진과 중립사진을 제시하는 동안 참가자들의 뇌를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장치(fMRI)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단서노출실시 전에는 prefrontal cortex(PFC), Anterior cingulate gyrus(ACC) 영역을 비롯한 7개의 영역이 활성화되었고, 단서노출치료 후에는 right middle frontal gyrus, right uncus, left medial frontal gyrus, right fusiform gyrus, 그리고 right superior frontal gyrus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단서노출치료 전과 후의 비교에 서는 PFC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흡연자의 흡연 갈망은 감소되었으며, 가상현실단서노출치료는 흡연자들 뿐 아니라 여러 물질의존자들의 치료에 유용한 방법이 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지향성 탐지 기제에서의 개인차: 전공에 따른 뇌 활성화 영역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ntionality Detection: Brain Activation Areas According to College Major)

  • 박민;윤효운;정우림;김혜리;이승복
    • 인지과학
    • /
    • 제18권2호
    • /
    • pp.139-15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마음이론의 기본적 기제로 알려진 지향성 탐지 기제에서의 개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비되는 두 가지 전공 영역의 참가자들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을 촬영하여 뇌 활성화 영역을 비교해보았다. 공학 전공자의 경우에는 우반구의 하두정소엽과 상두정소엽이 활성화되었던(이승복 등, 2006) 반면, 동일한 지향성 탐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심리학 전공자는 좌반구의 하전두회, 방추상회, 상측두회와 우반구의 방추상회와 변연상회가 활성화되었다. 이런 결과는 참가자의 전공 배경에 따라 지향성 탐지를 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뇌 영역들에 차이가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지향성 탐지 과제 수행과 참가자 특성간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 PDF

우울증 환자의 휴지기 슬밑 띠 피질의 기능적 뇌 연결성 (Resting-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of Subgenual Cingulate Cortex in Major Depression)

  • 고대욱;윤소영;최연선;신용욱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3-150
    • /
    • 2014
  • Objective : The subgenual cingulate cortex, a part of default-mode network, has been known to playa key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depression. The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abnormal functional connectivity between the subgenual cingulate cortex and other brain regions in the patients with depression. The goal of this shldy was to explore the resting-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of the subgenual cingulate cortex between the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healthy subjects. Methods : Twenty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and age- and sex-matched 20 healthy subjects underwent 5-minute resting state fMRI scans. The functional connectivity map in each subject was acquired using seed-based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seed located in the subgenual cingulate cortex (Talairach coordinates; x=-10, y=5, z=-10). The functional connectivity maps were calculated using AFNI and compared between the patient and healthy subject group via two-sample T-test using 3dttest++ in AFNI package. Results : Functional connectivity was decreased between the subgenual cingulate cortex and both sides of fusiform gyrus in depressed subjects. Connectivity was also decreased between the subgenual cingulate cortex and the left cerebellum in the patient group.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depression and the degree of functional connectivity between the subgenual cingulate cortex and the regions showing decreased functional connectivity. Conclusion : Decreased resting-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between the subgenual cingulate cortex and both sides of fusiform gyrus, and decreased connectivity between the subgenual cingulate cortex and the left cerebellum found in th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in comparison to the healthy subjects might be related to abnormal emotional and cognitive processing of depressed patients.

직업적 외상 노출이 역치 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보이는 소방공무원의 뇌 기능적 연결성에 미치는 영향: 휴지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연구 (Effects of Occupational Trauma Exposure on Brain Functional Connectivity in Firefighters With Subclinical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 Resting-Stat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 허율;방민지;이상혁;이강수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9-47
    • /
    • 2022
  •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brain functional connectivity in male firefighters who showed subclinica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Methods : We compared the data of 17 firefighters who were not diagnosed with PTSD and 18 healthy controls who had no trauma exposure. The following instruments were applied to assess psychiatric symptoms: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hecklist for DSM-5 (PCL-5-K),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Beck Anxiety Inventory (BAI). For all subjects,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performed, and functional connectivity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family-wise error-corrected p<0.05). Additionally, correlations between psychiatric symptoms and functional connectivity were explored. Results : The following connec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healthy controls: 1) the central opercular cortex-superior temporal gyrus, 2) planum polare-parahippocampal gyrus, 3) angular gyrus-amygdala, and 4) temporal fusiform cortex-parahippocampal gyrus. The functional connectivity of 1) the lateral occipital cortex-inferior temporal gyrus, 2) superior parietal lobule-caudate, and 3) middle temporal gyrus-thalamus were lower in firefighters. In firefighters, the connectivity of the planum polare-parahippocampal gyru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everity of arousal symptoms (rho=-0.586, p=0.013). The connectivity of the middle temporal gyrus-thalamu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everity of intrusion (rho=0.552, p=0.022) and arousal symptoms (rho=0.619, p=0.008). The connectivity of the temporal fusiform cortex-parahippocampal gyru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rusion (rho=-0.491, p=0.045) and arousal (rho=-0.579, p=0.015). Conclusion :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brain functional connectivity i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trauma exposure in firefighters without PTSD.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close monitoring and early intervention are important for firefighters with traumatic experience even at a subthreshold level.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단기기억 뇌기능 매핑연구 (Working Memory Mapping Analysis using fMRI)

  • 주라형;최보영;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6권1호
    • /
    • pp.32-38
    • /
    • 2005
  • 작동기억 및 얼굴 영상에 대한 정보 처리 과정의 장애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나타나는 광범위한 인지기능 장애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기법을 이용하여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 간의 얼굴 영상의 작동기억에 관여하는 뇌 활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0명의 정신분열병 환자와 10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얼굴영상 자극을 이용한 1-back 작동기억 파라다임을 수행하는 동안 뇌 피질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으로 두 군간의 뇌 활성의 차이를 SP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작동기억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다 환자군에서 대뇌의 좌측 방추상 이랑, 우측 위 전두 이랑, 양측 중간 전두 이랑, 도, 좌측 중간 측두 이랑, 설전부 피질과 소뇌의 사각엽과 충부의 활성이 감소되어 있었다. 반면, 외측 전전두 피질과 두정엽의 활성이 증가되었고, 또한 두 군 모두에서 우측반구의 활성이 증가되어 있었다.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좌측 방추상 이랑의 활성이 감소된 것은 얼굴 영상에 대한 정보 처리 과정의 장애를 의미하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분석법으로 작동기억능력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 PDF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한 전문가와 일반인의 무용 지각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ing expert and ordinary perception of dance using fMRI)

  • 이경민;전현애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1-23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전문 안무가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현대적 스타일의 독무와 임의적으로 움직이는 육면체를 제시할 때의 두뇌 활동 양상을 fMRI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피험자들은 총 8명으로 구성되었으며, 4명은 안무 전문가들, 4명은 동일한 연령대의 일반인들이었다. 피험자들은 시각 자극으로 제시되는 춤동작과 다양하게 변화하는 단순한 육면체의 움직임을 아무런 반응 없이 보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두 피험자 그룹 모두에서 육면체의 움직임보다 무용을 응시할 때 occipital cortex에서 더 큰 활성화를 보였고, 특히 좌측 STS와 angular gyrus사이의 경계선 영역, 그리고 좌측 fusiform gyrus에서는 안무가들이 무용을 볼 때 일반인들보다 더 높은 활성화를 나타내었다. STS/angular gyrus와 fusiform gyrus가 시각 자극의 의미 표상을 이해하는데 관련이 있고, angular gyrus가 사전적 의미 해석에 있어 중계적 역할을 하는 곳이며, fusiform gyrus는 사물을 지각하는데 있어서 보조 역할을 맡고 있다는 논의를 바탕으로, 무용가들은 그들이 지니고 있는 안무에 대한 전문적인 소견과 지식을 이용하여 몸의 움직임을 분석할 수 있고, 또 그것에서부터 어떠한 상징적인 의미까지 끌어내어 결과적으로 의미 추출의 과정에서 두뇌의 semantic network를 활성화시킨다고 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