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yke-Ne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7초

제주도 연안 정치망 조업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3. 구조개량을 위한 각멍어구 모형실험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Fishing System of Set Net in the Coast of Jeju Island 3. The Mode| Experiment of Fyke Net for Construction Improvement)

  • 김석종;구명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1호
    • /
    • pp.37-46
    • /
    • 2004
  • 제주도 연안 정치망 조업 시스템 개량과 개발분야에서 연안해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각망어구의 구조개량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실물망을 1/20로 축소하여 개량된 입구 구조를 갖춘 모형 어구 8종류를 제작하고, 실험 수조에서 고등어 어군을 이용하여 모형 어구에 대한 어군의 입 ${\cdot}$ 출망 행동을 관찰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통그물내에서의 어군의 행동 패턴은 원형 모양으로 한쪽 원통그물내에 체류하는 행동과 긴 타원형 모양으로 좌 ${\cdot}$ 우 원통그물내를 왕복 유영하는 행동패턴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모형 어구 내에서의 고등어 어군의 평균 유영 속도는 원통 그물 중간 부분에서 24.9cm/sec, 오른쪽 원통그물내에서 12.6cm/sec, 입구에서 32.0cm/sec였다. 3. 어군의 입망율은 경과 시간 60초일 때 표준 모형 어구에서는 47%였고, 깔대기 그물이 길이가 35cm 의 모형 어구에서는 40%로 나타났는데, 양자의 차이는 7% 정도로 그다지 크지 않았다. 4. 어군의 출망율은 경과 시간 60초일 때 표준 모형 어구에서는 69%였고, 깔대기 그물의 길이가 35cm 의 모형 어구에서는 10%로 나타났는데, 양자의 차이는 59% 정도로 그 폭이 컸다. 5. 어군의 잔여율은 경과 시간 60초일 때 표준 모형 어구에서는 31%였고, 깔대기 그물의 길이가 35cm의 모형 어구에서는 90%로 나타났는데, 양자의 차이는 59% 정도였다.

Catch per Unit Effort and Size Composition of Crayfish, Astacus leptodactylus Eschscholtz 1823, in Lake İznik

  • Balik, Ismet;Ozkok, Ergun;Ozkok, Remziy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6호
    • /
    • pp.884-889
    • /
    • 2002
  • This paper was carried out from 15 June to 24 December in 2000 in Lake İznik of Turkey, to determine catch per unit effort (CPUE) and size composition of crayfish, Astacus leptodactylus Eschscholtz 1823, captured by fyke-nets of local fishermen. The average CPUE of all size groups was found as 1.65 crayfish/fyke-net/night for fishing season in 2000, but 26.4% of which was below the legal minimum size (crayfish<90 mm). The average CPUE of legal-sized (crayfish$\geq$90 mm) crayfish was 1.10 crayfish/fykenet/night. The annual catch of crayfish was estimated as 2990 tonnes. The length and weight compositions of crayfish captured in the fyke-nets have varied between 60 and 130 mm, and 6 and 71 g, respectively. The mean length and weight were found as 95.5 mm and 28.8 g for all size groups and 100.1 mm and 33.0 g for legal-sized individuals.

울릉도 해역의 정치성 구획어업 도입을 위한 시험 연구 (Pilot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tationary Fishery in Coastal Waters of Ulleungdo Island, thd East Sea of Korea)

  • 윤성진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2-30
    • /
    • 2018
  • 본 연구는 울릉도 수산자원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서 정치성 구획어업의 도입을 위한 시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용 어구인 삼각망은 울릉도 해역의 환경, 운영 및 관리 비용, 소형 어선 및 인력이 운영할 수 있는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삼각망을 이용하여 11회 어획 조사한 결과, 총 개체수는 2,735개체, 중량은 983.4 kg으로 계측되었으며, 우점종은 참돔, 방어, 넙치, 한치, 전갱이, 쥐치류 등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중 유용 수산자원은 어류의 경우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볼락(S. inermis), 개볼락(S. pachycephalus), 쑤기미(Inimicus japonicus), 노래미(Hexagrammos agrammus), 농어목 어류 붉바리(Epinephelus akaara), 참돔(Pagrus major) 그리고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로 분류되었으며, 두족류인 한치(Uroteuthis chinensis)의 어획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울릉도의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살오징어의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경우, 삼각망과 같은 소형 정치성 구획어업의 도입은 어민 수입 창출의 대체 수단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각망에 채집된 2008년 태안 연안 어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a Two-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 off Taean in 2008)

  • 황학빈;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73-178
    • /
    • 2011
  • The species and size compositions of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aean were determined using samples collected with a two-sided fyke net in 2008. A total of 22 species, 2,371 individuals and 1,351 kg of fish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Of the fish collected, semi-benthic fishes such as Sebastes schlegelii, Mugil cephalus and Chelon haematocheilus were the most abundant (77.5% and 76.4% for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respectively). Benthic fishes such as Pleuronectus yokohamae and Paralichthys olivaceus were collected in almost all seasons but were low in abundance (5.3% and 4.1% for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respectively). Seasonal migrants were plentiful; specifically, Seriola quinqueradiata was abundant in November while Konosirus punctaus was common in July. Seasonal migrants of small-sized fish have been known to be abundant in the coastal water of western Korea including the study area, but few fish less than 100 mm were collected due to the large mesh size (30 mm) of the net used.

포획도구에 따른 횡성호내 어류채집 효과분석 (Sampling Effects on Fishing Gears in the Hoengseong Resevoir)

  • 장영수;이광열;최준길;서진원;최재석
    • 생태와환경
    • /
    • 제39권2호통권116호
    • /
    • pp.245-256
    • /
    • 2006
  • 삼각망(fyke net)과 삼중자망(trammel net)의 망목을 달리하여 횡성호에서 2005년 4월부터 10월까지의 기간에 포획된 어류는 총 8과 22종 8,626개체였고, 생체량은 122.9kg이었다. 이중 삼각망에서 8과 21종 8,168개체가 출현하였고 생체량은 96.6kg이었고, 삼중자망에서 6과16종 458개체였고 생체량은 26.3kg이었다 분석결과 삼중자망이 삼각망에 비하여 출현종, 개체수, 그리고 생체량 모두 현저하게 낮았다. 한편 출현종의 수는 망목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망목이 작은 삼각망은 작은 치어부터 대형어류까지 모두 채집할 수 있어 그 지역의 세부적인 어류상을 정성적으로 분석하는데 알맞을 것으로 보이고 삼충자망은 적절한 크기의 망목을 사용할 경우 조사지역의 출현종을 파악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남도 창원시 산남저수지에서 삼각망으로 채집된 어류의 계절별 종조성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a Three Sided Fyke Net from Sannam Reservoir in Changwon-si, Gyeongsangnam-do)

  • 김경률;박종혁;박종식;최문성;이대현;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745-751
    • /
    • 2019
  •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Sannam reservoir in Changwon, Korea was determined using samples collected by a three-sided fyke net in 2018. During the study period, we collected 2,181 individuals of 9 species, with a total weight of 111,552.2 g. The dominant species were Lepomis macrochirus, Carassius carassius, Erythroculter erythropterus, and Cyprinus carpio. These species accounted for 96.1%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The number of fish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biomass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fluctuated with the seasons. The peak number of fish species occurred in May and August, the biomass of fishes was highest in May. Whereas the number of individuals was highest in February.

봄어기 여수 연안 이각망에 어획된 어류 군집구조의 연도별 변화 (Inter-annual Changes in the Community Structure of Fish Caught by a Both Sides Fyke Net in the Yeosu Coast during the Spring Fishing Period)

  • 유준택;김희용;송세현;김영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701-710
    • /
    • 2016
  • We examined the inter-annual changes in the community structure of fish in the Yeosu coast during the spring fishing period (May June) from 2008 to 2015. Using a both sides fyke net, we collected 74 taxa, of which the dominant species was Trachurus japonicus. In the years 2009-2010 and 2015, when the relative abundance of T. japonicus decreased, the fish species diversity increased, as estimated from the rarefaction curve and beta-diversity, resulting i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sh community structure between two year groups: one comprising 2009-2010 and 2015 and the other comprising 2008 and 2011-2014. T. japonicus may be a keystone species that plays a critical role in temporal changes in the community structure of fish caught by fyke nets along the southern coast of Korea. Obvious modes in the length-frequency of T. japonicus smaller than fork length (FL) 10 cm were observed continually during the study, while the frequency of T. japonicus bigger than FL 15 cm declined rapidly after 2010. The new recruitment of smaller T. japonicus before and after 2010 appeared beginning in June and May, respectively.

예당호 어류 종조성과 채집도구에 따른 어류 특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Yedang Reservoir and Characteristics by Sampling Gears)

  • 유태식;지창우;김용준;오건희;박영석;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5권4호
    • /
    • pp.285-293
    • /
    • 2022
  • 어류 채집도구는 다양하며, 채집도구의 선택과 특성에 따라 채집되는 어류의 군집에 차이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예당호에서 4개의 채집도구 (족대, 투망, 자망 및 삼각망)를 이용하여 어류 군집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족대와 투망은 개체수를 채집하는 데 효율적이지 않았으나, 수변부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 다양성이 높았다. 자망의 경우, 체장이 길거나 등지느러미 극조가 존재하는 어류가 주로 채집되었다. 삼각망에서는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으며, 높은 종 선택성으로 인해 우점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NMDS 분석에서 족대, 투망 및 자망 간 채집되는 어류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비지도학습법인 Self-organizing map (SOM) 분석으로 자망에서는 체장이 큰 어류가 채집되는 반면 삼각망에서는 체장이 작은 어류가 채집되는 패턴 특성을 밝혀내었다. 채집도구에 따라 어류의 생태적인 특성과 종 다양성 효율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어류 군집조사 시 서식환경과 목적에 부합되는 채집도구를 선택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서식처 유형에 적합한 채집도구의 표준화로 연구자 간의 차이를 줄이는 방법의 제시가 요구된다.

고리 주변해역 삼각망에서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a Three-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 백근욱;허성회;박세창;김지형;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6-194
    • /
    • 2010
  • 2006년 1월에서 12월까지 매월 삼각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35과에 속하는 59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대부분 부 어류로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숭어 (Mugil cephalus), 전어 (Konosirus punctatus),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 성대 (Chelidonichthys spinosus), 망상어 (Ditrema temminck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그리고 줄도화돔 (Apogon semilineatus)이었는데, 이들 8종은 전체 채집 개체수의 92.7%를 차지하였다. 본 조사해역의 채집된 어류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개체수는 12월, 생체량은 3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개체수와 생체량이 모두 낮은 값을 보였다. 종다양도지수는 12월에 다른 계절에 비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여수 금오도 연안 이각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Fluctuation in the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a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s of Geumo-do, Yeosu)

  • 황재호;유경희;이성훈;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9-47
    • /
    • 2008
  • The fluctuation in the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was investigated using a fyke net with entrances on both sides in the coastal waters of Geumo-do, Yeosu, Chollanam-do, Korea, from May 2003 to April 2004. A total of 2,379 fishes (392.13 kg) were sampled and classified into 11 orders, 34 families, and 53 species. The dominant orders were Perciformes, Scorpaeniformes, and Pleuronectiformes, which accounted for 67.9% of the collected fishes. The dominant species was Acanthopagrus schlegelii (235 individuals, 19.00 kg), followed by Konosirus punctatus (182 individuals, 9.53 kg), and Apogon lineatus (161 individuals, 1.69 kg).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er in spring and summer than in winter, and the monthly variation may be related to the water temperature. The diversity index was highest in September (H'=2.9) and lowest in December (H'=1.8). The evenness index was highest in August (J=0.9) and lowest in December (J=0.7). The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December (D=0.7) and lowest in August (D=0.2). The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in this area are Acanthopagrus schlegelii, Konosirus punctatus, Lateolabrax maculatus, Argyrosomus argentatus, Trichiurus lepturus, Lateolabrax japonicus, and Sebastes schlegel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