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 hold-up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2초

내부순환반응기의 Scale-up에 따른 동력학적 특성의 변화 (Dynamic Behavior of an Internal Loop Reactor during Scale-up)

  • 최윤찬;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1
    • /
    • 1997
  • The variations of gas hold-up, overall volumetric oxygen mass transfer coefficients and liquid circulation velocity in an internal loop reactor were investigated to manifest scale-up e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ficial gas velocity and gas hold-up were found as Ugr = 0.045 $\varepsilon$r in the pilot-scale and Ugr = 0.056 $\varepsilon$r in the bench-scale reactor. The overall volumetric oxygen mass tractsfer coefficient, KLa was slightly increased in the pilot-scale than in the bench-scale reactor. Flow regime was changed from the bubble flow to the churn-turbulent flow when the superficial gas velocity reached to 3.5 - 4 cm/sec in the pilot-scale.

  • PDF

폭기공정의 물질전달 계수와 기체 포집율 및 소요동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ison Study on Empirical Correlation for Mass Transfer Coefficient with Gas Hold-up and Input Power of Aeration Process)

  • 박상규;양희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1권6호
    • /
    • pp.415-421
    • /
    • 2017
  • 환경규제의 강화에 따라 수처리 비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폭기공정의 에너지 이용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소요동력에 대한 보다 정량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폭기공정의 물질전달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물질전달 계수와 기체 포집율 및 소요동력에 대한 상관관계식을 제시하였다. 소요동력이 커지면 기체 포집율은 감소하고 레이놀드 수는 증가하며, 혼합유동 선단 도달거리와 확산도가 증대되므로 물질전달 계수는 증가하였다. 물질전달 계수와 기체 포집율 및 소요동력의 상관관계 규명을 위해 제시한 실험식은 최대 약 ${\pm}10%$의 오차 범위에서 실험결과와 일치하였다.

Air Lift Fermentor에서 Sisomicin 발효시에 발효유사액을 이용한 산소전달속도 예측 (Prediction of Oxygen Transfer Rate During Sisomicin Fermentation Employing Air Lift Fermentor)

  • 김성룡;신철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59-664
    • /
    • 1994
  • In order to predict gas hold-up and oxygen transfer rate during sisomicin fermentation employing air lift fermentor, simulated media similar to fermentation broths in rheological proper- ties were prepared and used. Rheological properties of fermentation broths from 40 hours and 60 hours of cultivation were analyzed by applying to Power's Law equation. Regardless of addition and no addition of MgSO$_{4}$, the tendencies, that n value was decreased and K value was increased as aeration rate was increased, were shown. Simulated media of twelve different fermentation broths were formulated in a range of 0.7 to 2.1% CMC, and the values of gas hold-up and k$_{L}$a depending on superficial air velocity were measured using these simulated media. And the relation- ships, $\varepsilon$=$\alpha$U$_{Gr}$$\beta$, K$_{L}$a=$\gamma$U$_{Gr}$$\delta$ were obtained, and these equations are thought to be used to predict the values of gas hold-up and k$_{L}$a during fermentation.

  • PDF

고정층 Fischer-Tropsch 반응기의 액상 왁스 정체 현상 모델링 (Modeling of Liquid Hold-up in Fixed-bed Reactor for Fischer-Tropsch Synthesis)

  • 박찬샘;정익환;박성호;나종걸;;한종훈;이종열;정종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3-67
    • /
    • 2014
  • Fischer-Tropsch 합성은 주로 긴 carbon 사슬을 가지고 있는 높은 점도의 왁스를 product로 생산한다. 촉매 고정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Fischer-Tropsch 합성을 수행할 경우, 왁스는 촉매입자의 표면에서 생산되어 촉매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있다. 이런 왁스의 hold-up 현상이 반응기 전체의 압력강하는 증가시키고 내부 흐름을 막는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반응기 내부에 왁스가 hold-up되는 현상에 대한 모델링을 통해 왁스 hold-up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반응기 및 촉매 입자의 크기를 결정하는 설계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왁스가 hold-up된 촉매 입자와 기체 흐름 사이의 대류 물질 전달 실험 모델을 이용하여 반응기 구조 및 운전 조건을 고려할 수 있는 반응기 내부 왁스 hold-up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은 실험 데이터를 제공한 Knochen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모델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이 모델을 이용하여 반응기의 길이와 단면이 반응기 내부 왁스 hold-up 현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기포탑 반응기에서 기체 분사 방향에 따른 gas hold-up 변화 (Gas hold-up variation with sparging direction in bubble column)

  • 양정훈;양정일;김학주;천동현;이호태;정헌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2.2-112.2
    • /
    • 2010
  • 슬러리 기포탑 반응기는 열 및 물질 전달의 용이성, 낮은 운전비용 및 장치의 간단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Fischer-Tropsch 반응, bio-reaction 등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포탑 반응기 내의 물질 거동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현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기포탑반응기내에 기체의 포집율(gas hold-up)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체의 분사 방향에 따른 기체 포집율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기체 분사는 0.6 mm의 pore가 66개로 구성된 perforated plate를 통해서 이루어졌고, 수직방향, 수평방향, 45도 그리고 수직/수평 조합의 네 가지 분사방향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반응기는 내경이 0.15 m이고 높이 2.0 m 아크릴 반응기를 이용하였다. 사용된 연속상은 수돗물을 사용하였고 분산상 기체로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였다. 전체적인 기체 포집율은 수직방향의 분사방향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그리고 수직/수평의 조합 분사방향의 경우, 기체 포집율이 가장 낮게 관찰되었다. 이것은 분사방향이 수직/수평으로 서로 엇갈릴 경우, 기포간의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고 bubble coalescence가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homogeneous flow regime에서 heterogeneous flow regime으로 전환되는 기체선속도는 분사방향이 수직, 45도, 수평, 수직/수평 조합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즉 이 순서로 기체흐름의 와류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ynamic Gas Disengagement(DGD) 분석을 통하여 큰 기포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기체 선속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 경우, 예상되듯이 수직/수평 조합에서는 1.5 cm/sec 기체 선속도에서 큰 기포가 발생하기 시작한 반면 수직 방향 분사의 경우에는 2.5 cm/sec의 보다 높은 기체 선속도에서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들을 종합하였을 때, 기체 분사방향을 수직으로 일정하게 했을 때, 기포간 출동을 최소화하고 와류발생을 최대한 지연시키며 전체 기체 포집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Trayed bubble column 반응기에서 tray의 기공크기에 따른 gas hold-up 변화 연구 (Gas hold-up variation with pore size of tray in trayed bubble column)

  • 양정훈;양정일;김학주;천동현;이호태;정헌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33.1-133.1
    • /
    • 2010
  • 슬러리 기포탑 반응기는 열 및 물질 전달의 용이성, 낮은 운전비용 및 장치의 간단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Fischer-Tropsch 반응, bio-reaction 등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포탑 반응기 내의 물질 거동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현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기포탑반응기 내에 기체의 포집율(gas hold-up)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rayed bubble column 반응기에서 tray의 기공크기에 따른 기체 포집율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반응기는 내경이 0.15 m이고 높이 2.0 m의 아크릴 반응기를 이용하였다. 사용된 연속상은 수돗물을 사용하였고 분산상 기체로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였다. Tray의 기공크기는 1.1 mm부터 14.0 mm까지 변화시키면서 높이별 기체 포집율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기체 포집율의 변화를 균일흐름 영역과 불균일 흐름 영역에서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균일계 영역에서는 기공의 크기가 1.1 mm부터 2.9 mm까지 증가시면 기체포집율이 감소하는 반면 2.9 mm 이상에서는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불균일 흐름 영역에서는 전반적으로 기공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기체포집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각각의 흐흠 영역에서의 기체포집율 증가정도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흐름영역의 유체거동에 따라서 기포와 tray 기공사이의 상호작용 메커니즘이 달라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PDF

3상 Slurry Bubble Column Reactor에서 기체유속에 따른 고체입자의 거동에 대한 연구 (Study on Effect of gas superficial velocity on particle behavior in three phased Slurry Bubble Column Reactor)

  • 양정훈;양정일;이호태;김학주;천동현;정헌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6-879
    • /
    • 2009
  • Fischer-Tropsch 합성 반응과 같은 slurry bubble column reactor에서는 반응 속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상간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물질 전달을 원활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특히 Fischer-Tropsch 합성 반응에서는 반응물인 기체가 촉매로서 기능하는 고체 표면으로의 external mass transfer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반응기 내의 기체의 거동뿐만 아니라 고체인 촉매의 분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응기 내에 기체의 superficial velocity를 변화시키면서 기체의 hold up 뿐만 아니라 고체 입자의 분포특성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Superficial velocity가 증가함에따라 gas hold up의 경우, 일정하게 증가하다가 6 cm/sec 이상에서 그 증가폭이 감소하였다. 즉 6 cm/sec이상에서 turbulent flow regime을 형성하였다. 또한 고체입자의 분포 역시 기체의 superficial velocity가 증가함에따라 보다 균일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벤치스케일(0.36 m × 22 m) 다단형 기포탑에서 다공판이 기포의 거동 및 기체 체류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titioning Porous Plate on Bubble Behavior and Gas Hold-up in a Bench Scale (0.36 m × 22 m) Trayed Bubble Column)

  • 양정훈;허영걸;이호태;양정일;김학주;천동현;박지찬;정헌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3호
    • /
    • pp.505-510
    • /
    • 2012
  • 기포탑 반응기에서의 기체 체류량은 기포의 크기 분포 및 상승 속도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기포탑 반응기 내에 기포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스파져 이외의 영역에서도 기포의 거동을 제어하고 기체 체류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다단형 기포탑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특히, 3 종류의 서로 다른 크기의 반응기를 사용하여 다단 다공판이 기포의 유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개별 기포가 다공판을 통과하였을 때의 쪼개짐 빈도수 및 크기 분포 변화에 대하여 관찰함으로써 다공판의 영향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또한 다양한 다공판 배치 형태에 따른 유동 특성을 관찰함으로써 다단형 기포탑 반응기에서의 다공판 설치에 대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높이 22 m, 직경 0.36 m의 벤치 스케일 다단형 기포탑 반응기를 제작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충전탑에서 흡수에 따른 물질전달과 수력학적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draulic Behavior and Mass Transfer by Absorption in Packing Tower)

  • 김석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393-396
    • /
    • 2000
  • Packing tower has been used in the chemical industry and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for a long time. In the view of environmental protection purification of exhaust gas can be performance effective by gas absorption in counter-current packing tower.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hydraulic and mass transfer were investigated in D. $0.3m {\times} H. 1.4m$ packing tower with 50mn plastic Hiflow-r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est systems were experimented in conditions of Air, $Air/H_2O. NH_3-Air/H_2O, NH_3-Air/H_2O-H_2SO_4$ and $SO_2-Air/H_2O-NaOH$ under steady state" The extent of test included dry and wetting pressure drop physical law separation efficiency and hold-up as function of gas and liquid load.quid load.

  • PDF

Trayed 기포탑 반응기에서 높이에 따른 기포입자의 거동분석 (Fractional gas hold-up in trayed bubble column)

  • 양정훈;허영걸;양정일;김학주;천동현;김병권;이호태;정헌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7.1-77.1
    • /
    • 2011
  • 슬러리 기포탑 반응기는 열 및 물질 전달의 용이성, 낮은 운전비용 및 장치의 간단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Fischer-Tropsch 반응, bio-reaction 등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특히, 반응물은 기체 상태로 반응기에 투입이 되는데, 이 기포입자의 상승하는 힘을 바탕으로 기상/액상/고상이 균일하게 혼합되게 된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러한 기포탑 반응기의 성능을 개선하고자, 다양한 반응기 디자인에 대하여 보고하고 있다. 특히 반응기 내부에 tray를 설치함으로써, 기포 포집율을 증진시기고 액상의 역류를 최소화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공크기를 갖는 tray를 활용함으로써 높이에 따른 기포 포집율의 변화 및 반응기 내에 기포 입자의 거동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