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tion MZ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3초

MZ세대에 대한 대중감성 연구: 소셜미디어(SNS) 감성 분석을 통해 (A Study on Popular Sentiment for Generation MZ: Through social media (SNS) sentiment analysis)

  • 안명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19-2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 감성분석 방법을 통해 'MZ세대'에 대한 대중 감성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소비자 계정 SNS 텍스트를 살펴보고 내용상 외부 감성과 MZ세대 본인들의 감성을 분류하여 긍정 및 부정 감성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MZ세대' 관련하여 호감과 흥미의 긍정정서가 72.1%로, 부정적인 감성비율 27.9 % 보다 높았다. 긍정감성에서 기성세대들은 'MZ세대의 개성과 당당함에 대한 호감', '새로운 가치관을 가진 MZ세대에 대한 흥미'를 보였다. 이에 비해 MZ세대들은 '자신들의 당당함, 발랄함 및 개성 세대라는 점'과 '소소한 성장주의'에 대한 호감을 갖고 있다. MZ세대 외부의 부정감성은 'MZ세대의 결혼기피, 취업난, 빚투자 및 퇴사 트랜드에 대해 걱정', '꼰대 취급하는 MZ 세대 미움', 'MZ세대와 대화하기 힘듦'으로 나타났다. 한편, MZ세대 본인들이 느끼는 부정감성은 '일반화에 대한 거부감', '세대 및 젠더 갈등과 기성세대보다 심한 경쟁에 대한 거부감', '풍요로운 시대의 상대적 실패감', '예고된 기후재앙 속에서 살아야하는 슬픔'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성세대는 MZ세대를 일반화하여 바라볼 것이 아니라 개인으로 보아야 하며, 세대간 이해와 공감으로 갈등을 완화해야한다. 세대 갈등, 젠더 갈등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체적인 고민의 필요성도 있다.

MZ 세대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cation of the MZ generation)

  • 이경화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59-64
    • /
    • 2024
  • MZ세대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를 위한 목적을 정립하는 것은 이 세대의 독특한 의사소통 방식을 이해하고 그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첫걸음이라 생각한다. MZ세대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는 MZ세대의 의사소통 특성 파악하여 MZ세대가 사용하는 의사소통 도구와 플랫폼 즉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메신저 앱 등을 파악하므로 인해 이들이 기존 세대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여 그들을 이해 할수 있다. MZ세대는 복잡한 철학이나 명확한 삶의 철학 없이도 현대사회에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인생이 의미가 없거나 혼란스럽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MZ세대들은 삶의 의미에 대해서도 간단하고 구체적인 해결책으로 만족할 수 있으며, 모든 것을 완벽하게 체계화할 필요 없이 살아갈 수 있다. 즉, 그들의 삶은 이전 세대와 달리 복잡하지 않으며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는 반드시 철학적 체계로 규정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이 논문으로 MZ세대의 삶을 하나의 철학적 체계로 명확하게 나눌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MZ세대 각자의 삶은 많은 의미를 지닐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의미는 MZ세대만의 목적, 가치, 능력을 느끼는 것, 그리고 자신에 대한 가치감 등에서 찾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Z세대 친화적 정보 포털 구축을 위한 인식조사 - ScienceON을 중심으로 - (Awareness Survey for Building MZ Generation-Friendly Information Portal: Focusing on ScienceON)

  • 노영희;왕동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3-138
    • /
    • 2022
  • 본 연구는 ScienceON의 MZ세대 맞춤형 포털로서의 개선을 위해 MZ세대의 정보 포털 이용 특징 및 ScienceON에 대한 수요를 조사하여 ScienceON의 개선방안 도출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ScienceON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MZ세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cienceON의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cienceON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익숙함과 편리함을 추구하는 MZ세대를 위해 MZ세대와 친숙해지기 위한 방안 도출이 필요하다. 둘째, 직관적 메뉴 배치 및 간편한 정보 제공 등 포털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디자인 및 UI의 개선과 ScienceON이 제공하는 기능의 재정비 등 다양한 방면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SNS 및 유튜브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여 ScienceON의 확산을 도모해야 한다. MZ세대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향후 MZ세대의 특징 및 수요에 대한 분석 연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이번 연구는 MZ세대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MZ세대의 정보검색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에 대해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10년-2020년의 논문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Lifestyl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 A Focus on the 2010-2020 Studies -)

  • 강유림;김문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1-9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MZ generation's lifestyle-related research from 2010 to 2020. As a result of searching keywords such as MZ generation's and lifestyle using academic database search sites, a total of 218 cas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to conduct frequency and content analysis. First, research type was 74 dissertations(34.6%), 144 journals(65.4%). The study of MZ generation was relatively active in journals.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academic field was 85(39.7%) in the social field, followed by 66(30.8%) in the arts/physical education, 21(9.8%) in the complex studies, 16(7.5%) in education, 15(7.0%) in nature, 6(2.8%) in engineering, 4(1.9%) in humanities, 1(0.5%) in agriculture/marine. Third, the current status of MZ generation research topics is 54 social participations(25.3%), 35 fashion/beauty(16.3%), 31 social/organizational adaptations(14.5%), 25 cultural/leisure activities(11.7%), 24 design/development projects(11.2%), 21 economic/employment/job projects(9.8%), 11 educational/career/experiences(5.1%), 9 self-concepts(4.2%), 4 welfare services(1.9%). Fourth, the current status of MZ generation research methods was quantitative research(survey/experiment) 125(58.4%), qualitative research(depth interview/participant observation) 42(19.6%), theory/literature research 35(16.4%) and mixed research 12(5.6%). Fifth, the study on the lifestyle of the MZ generation was conducted in four cases, one in 2016, one in 2019, two in 2020.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grasped the overall flow of data of information exchange that can share the research trends of the MZ generation and suggested the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e individual tendency, behavior,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MZ세대의 자아존중감, 쇼핑동기 및 쇼핑성향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steem, Shopping Motivations, and Shopping Tendencies on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 이명진;이민지;김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308-321
    • /
    • 2022
  • 본 연구는 다양한 영역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MZ세대의 자아존중감, 쇼핑동기, 쇼핑성향이 의복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Z세대의 타인구매 동기, 유행추구 쇼핑성향, 쾌락추구 쇼핑성향은 의복구매 행동의 하위요인 중 개인적 욕구에 정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Z세대의 실질구매 쇼핑동기, 유행추구 쇼핑성향, 쾌락추구 쇼핑성향, 편의추구 쇼핑성향은 의복구매 행동의 하위요인 중 실제적 필요에 정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Z세대의 사회적 자아존중감, 타인구매 쇼핑동기, 편의추구 쇼핑성향은 의복구매 행동의 하위요인중 의복마케팅전략에 정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인적 자아존중감은 의복구매 행동의 마케팅 전략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MZ세대가 자신의 개성과 소신에 맞게 의복구매를 할 것이라는 기대와 다르게 나타났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MZ세대가 의복을 구매하는데 있어 유행과 관련된 정보에 쉽게 접하며 이는 신념이나 행동까지 변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MZ세대의 의복구매 행동에 많은 변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새로운 소비자 집단으로 바라보고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MZ세대의 멀티퍼소나 특성을 반영한 패션 쇼핑 앱의 UX 요소에 대한 연구 (UX Elements and Effects of Fashion Shopping Apps Based on Multipersona Characteristics of MZ generation)

  • 이세연;최종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23-129
    • /
    • 2021
  • MZ세대는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자아를 만들어 가는 멀티퍼소나 특징을 갖고 있으며 패션 스타일링 또한 각각의 퍼소나마다 다르게 표출한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 쇼핑 앱에 멀티퍼소나 특성을 반영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아이템과 컬러, 광고 위주의 추천 방식을 가진 기존 패션 쇼핑 앱은 MZ세대의 패션에 대한 고민을 해소하기에 어려운 실정이므로 이들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멀티퍼소나와 MZ세대의 개념과 특징을 조사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MZ세대의 패션 쇼핑 행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패션 쇼핑 앱에서 멀티퍼소나를 간접적으로 활용한 사례와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니즈 파악을 위한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4가지의 UX 요소를 도출하였고 기존의 패션 추천 틀을 벗어나 자신의 멀티퍼소나 캐릭터를 형성하여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패션 고민에 도움이 되고 색다른 경험을 가능케 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가 MZ세대의 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Effect of Visual Elements of Cosmetic Package Design on Purchasing of MZ Generation)

  • 이주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83-388
    • /
    • 2022
  • 본 연구는 MZ세대가 선호하는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와 그것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를 네이밍, 브랜드 로고, 색채,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일러스트레이션, 소재와 후가공, 의미성, 총 8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MZ세대가 선호하는 구체적인 시각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MZ세대는 화려하고 장식적인 스타일보다 깔끔한 구성을 선호하고, 8가지 시각 요소 중 브랜드 로고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또한,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는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가성비와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향후 MZ세대를 위한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방향성 제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토빗분석을 적용한 X세대, MZ세대의 외식지출 영향요인 (The Factors Affecting Dining-out Expenses by Generation X and Generation MZ Based on Tobit Model)

  • 민지은;한경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84-292
    • /
    • 2021
  • The food service industry has grown larger with changes in the economic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this saturated food service industry, generation X and MZ are the main consumer forces that demand attention. That is because a generation is the main psychographic factor that reflects personal values and lifestyle based on one's life cycle. From such a perspective, a generation in marketing has been used as a variable to predict a market by supplementing demographic factors.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d generations into generation X and generation MZ with the use of the 2019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b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and then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group and personal dining-out expense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applying the Tobit model using SPSS and R. The positively influential variables on generation X's personal dining-out expenditure were male, single person, high income and simple lifestyle, whereas housewives, personal ethical consciousness, behavioral ethical consciousness, and safe dietary life were negatively influential variables. The positively influential variables on generation MZ's personal dining-out expenditures were male, dual-income, high education level, corporate and governmental ethical consciousness, while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safe dietary life were negatively influential variables.

공공도서관의 메타버스 도입을 위한 MZ세대의 이용자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 MZ Users' Perception of Metaverse in Public Libraries)

  • 김영주;권선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7-240
    • /
    • 2022
  •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요소가 중요해지면서 메타버스가 사회적 주목을 받게 되었고, MZ세대는 공공도서관의 주 이용 세대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비추어 볼 때, 공공도서관의 주 이용자인 MZ세대를 위한 서비스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 발전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반구조화 면담을 통해 메타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후, 공공도서관에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메타버스 적용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언한 공공도서관의 메타버스 도입을 위한 방향은 첫째, 메타버스에 대한 기초적인 교육과 정보 제공 둘째, 소통을 바탕으로 한 커뮤니티를 장점으로 한 서비스의 제공. 셋째,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프로그램의 제공 넷째, 메타버스에 대한 사서들의 전문성 향상을 통한 사서에 의한 서비스가 제공. 다섯째, MZ세대를 위한 서비스 제공이다.

신체 노출 스포츠웨어 소비자의 신체존중감 및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질적 연구: MZ세대 여성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Body-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Generation MZ Female Consumers of Body-Exposing Sportswear)

  • 오수현;정규진;고애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647-661
    • /
    • 2023
  •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MZ female consumer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consumption of body-exposing sportswear, body-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nty Generation MZ female consumers who regularly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y and consume body-exposing sportswear. Based on transcriptions of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er and two assistant researchers collectively categorized and compared commo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ir response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mes using units of words/terms and paragraphs. The main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ly, Generation MZ female consumers participated in various sports activities for an average of approximately one hour, three times per week. The effects of such participation were improvements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econdly, Generation MZ female consumers considered aesthetical, functional, and economical factors when they consumed body-exposing sportswear, regardless of the activity in which they participated. This sportswear serv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xercise and also played a motivational role. Thirdly, the overall body-esteem of Generation MZ female consumers who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y regularly and consumed body-exposing sportswear was high. Fourthly, Generation MZ female consumers who regularly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y and consumed body-exposing sportswear were practicing activ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order to show how their body had been shaped by sports activity. In addition, they were pursuing four self-images: "polished image pursue", "self-care image pursue", "natural image pursue", and "trustworthy image pur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