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tiana Scabra Bung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7초

용담(Gentiana scabra Bunge var.buergeri Max.) 추출액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성 흰주의 혈당 및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tiana scabra Bunge var.buergeri Max. Extract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n Streptozotcin induced Hyperglycemic Rats)

  • 김용균;김한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81-386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feeding Gentiana scabra Bunge var.buergeri Max. extr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blood glucose, lipids in the serum of streptozotcin(55mg/kg of body weight, I.P. injection) induced hyperglycemic rats (S.D. strain, ) fed the experimental diets for 4 weeks. Concentrations of blood gluco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reptozotocin administration(I.P.) groups (group 2(streptozotcin+water), 3(streptozocin+Gentiana scabra Bunge extract), 4(streptozotocin+cholesterol+water), 5(streptozotocin+cholesterol+Gentiana scabra Bunge extrac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group 1(water)). Bolld glucose concentrations were rather lower in the group 3(streptozotocin+Gentiana scabra Bunge extract)than in the group 2(streptozotocin+water), and then those of the group 5 were rather lower than in the group 4. There was almost little significance among the groups.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in serum were lower in the group 5 than those in the group 4, and the group 3 were rather lower than in the group 2. Concentrations of LDL-cholesterol in seru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3 than those 2. In the ratio of HDL-cholesterol concentrations to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Gentiana scabra Bunge extract administration groups were higher percentage than the other goups. Concentrations of free cholesterol and cholesteryl ester in serum were rather lower in the groups 3,5 than the other groups, and then those of the group were higher percentage than the other groups. concentrations of free cholesterol and cholesteryl ester in serum were rather lower in the groups 3,5 than the groups, and then those of the group 3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group 4.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in serum were decreased in the group 3 than in the other groups. The activitie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in serum were increased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From the above research, the Gentiana scabra Bunge var.buergeri Max. extracts we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the lipid compositions in serum of streptozotcin induced hyperglycemic and hypercholosterolemic rats.

  • PDF

용담(Gentiana scabra Bunge var.buergeri Max.) 추출액이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tiana scabra Bunge var.buergeri Max. Extract on Lipid Metabolism of Serum in Dietary Hyperlipidemic Rats)

  • 김한수;김용균;김석환;권오창;손병구;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32-536
    • /
    • 1998
  • 식이성 고지혈증 유발 Sprague Dawley계 숫흰쥐를 사용하여 용담 열수 추출액을 급여하므로써 혈당 및 혈청의 지질 개선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4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혈당 농도는 대조군인 1군(물)에 비해 2군(콜레스테롤+물) 및 3군(콜레스테롤+용담추출액)이 높게 나타났으며, 콜레스테롤과 용담 추출액을 급여한 3군이 2군(콜레스테롤+물)보다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혈당 저하효과는 유의성있게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중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2군에 비하여 3군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2군에 비해 3군에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며,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농도비는 용담 추출액 급여군이 높게 나타났다. 혈청 유리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농도는 콜레스테롤 급여군인 2군에 비해 용담 추출액 급여군(3군)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중성지질 및 인지질 농도는 3군의 농도가 낮았다. 혈청 AST 및 ALT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여타 실험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용담 열수 추출액이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에 대한 혈청지질 개선효과가 다소나마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Bioconversion of Gentiana scabra Bunge increas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in RAW 264.7 cells via MAP kinases and NF-κB pathway

  • Kim, Min-A;Lee, Han-Saem;Chon, So-Hyun;Park, Jeong-Eun;Lim, Yu-Mi;Kim, Eun-Jeong;Son, Eun-Kyung;Kim, Sang-Jun;So, Jai-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1호
    • /
    • pp.39-50
    • /
    • 2019
  •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s play an important role in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as well as the mod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crease i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Gentiana scabra Bunge (GSB), due to bioconversion with the Aspergillus kawachii crude enzyme, via inhibition of the $NF-{\kappa}B$ signaling and MAP kinase pathways in RAW 264.7 cells.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in RAW 264.7 cells treated with the GSB ethyl acetate fraction bioconverted with A. kawachii crude enzyme (GE-BA), was dramatically suppressed as compared to GSB ethyl acetate fraction non-bioconverted with the A. kawachii crude enzyme (GE-UA). The phosphorylation of p38,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and inhibitory ${\kappa}B$ in RAW 264.7 cells treated with GE-BA was further suppressed, as compared to exposure to GE-UA. Moreover, the mRNA expression of interleukin 6, interleukin 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was further suppressed by GE-BA, compared to GE-UA. Similarly,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2,2-diphenyl-1-picrylhydrazyl hydrate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E-BA were further increased compared to GE-UA. These observations demonstrate that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GSB ethyl acetate fraction increases as a result from bioconversion with the A. kawachii crude enzyme.

용담의 기내 개화 및 증식에 관한 연구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Flowering and Micropropagation of Gentiana scabra Bunge In Vitro.)

  • 손병구;최영환;안종길;조동;권오창;박정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0-47
    • /
    • 1996
  • 자생식물 중 실내분화용, 절화 및 화단용으로서 가치가 높고, 한약으로서 이용 가능한 용담의 기내개화 및 대량증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식물체의 부위 및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뢰의 출현은 0.5mg/l kinetin과 GA_${3}$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많았으나 그 효과는 kinetine이 더 좋았다. 최적의 GA_${3}$나 kinetin농도일 때 두가지 생장조절제를 혼용하면 오히려 화뢰형성수가 감소되었고, 저농도에서는 상호작용의 효과가 있었다 화뢰가 50% 형성되는데 걸리는 주수(T_50는 0.1mg/l GA_3가 첨가되었을 때 Kinetin의 농도에 관계없이 11-14주이었다. 측지 발생은 GA_${3}$의 효과가 kinetin보다 좋았고, 농도는 모두 1.0mg/l까지 높을 수록 좋았다. 중간정도의 농도(0.5mg/l)에서 두 생장조절제간의 상호작용이 인정되었다. 뿌리의 형성은 GA$_{3}$의 농도가 높을 수록 감소하였다. 꼬투리의 크기가 8mm까지 클수록 발아력이 높았으며, 꼬투리의 크기가 작을 수록 비정상적인 식물체가 많았다. 배지에 GA_${3}$/l 첨가는 발아력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 PDF

용담(Gentiana scabra Bunge.)의 엽육(葉肉) 및 줄기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와 증식(增殖) (Plant Regeneration and Multiplication of Gentiana scabra Bunge. through Leaf and Stem Culture)

  • 성낙술;박충헌;이승택;김성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9-136
    • /
    • 1993
  • 용담은 뿌리에 Gentiopicroside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한방에서 고미건위약으로 이용되는데 수요전량을 야생채취에 의존해왔으나 공급의 절대부족으로 '92년에는 46,183kg을 수입, 매년 그 양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나 실생에 의한 증식이 곤란하여 아직까지 재배화 되지 못하고 있는바, 종묘 생산을 위한 기내 대량증식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엽육 조직배양시 MS 배지에서의 callus 형성율은 2,4-D 0.1mg/l 에 BA 0.2mg/l 첨가에서 16%를 보였고 shoot의 형성은 2,4-D 0.5mg/l 에 BA 0.2mg/l 에서만 8% 이루어졌으며 2. 경편배양에서 shoot의 형성은 2,4-D 0.1mg/l 에 BA 0.2mg/l첨가에서 24% 이루어졌고 식물체 기내 생육은 2,4-D 0.5mg/l 에 BA 0.2mg/l 처리가 가장 양호하였다. 3. 배지의 종류에 따른 shoot의 길이와 평균엽수는 GD배지에서 7.9cm와 9.2매로 가장 좋았으나 shoot의 증식수는 MS배지가 5.0로 가장 많았고 B5>GD>WPM>DKW배지의 순으로 좋았으며 4. 배지의 pH별 시험에서는 5.0에서 6.2까지 높아질수록 shoot 길이와 증식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지만 식물체의 정상적 생육은 pH 5.9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배지내 활성탄의 첨가농도가 2g까지 높아질수록 shoot 길이가 증가하여 개체의 생육은 건전하였으나 shoot 증식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5. MS 배지에 2,4-D $1.0{\sim}2.0mg/l$ 처리에서 유도한 체세포 돌연변이주는 키가 큰 신장형이 63%였고, 작은키의 위축형은 37%였다.

  • PDF

용담(龍膽) 재배기술(栽培技術) 개발(開發)을 위한 기초(基礎) 연구(硏究) (Basic Studies on Culture Practice of Gentiana scabra BUNGE)

  • 이희덕;최병준;한승호;문창식;김창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8
    • /
    • 1995
  • $1992{\sim}1993$년 2년에 걸쳐 충남농촌진흥원 특작 시험포장에서 용담의 번식방법 및 성분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아온도는 $25^{\circ}C$ 조건에서 발아소요시 3일, 발아율 65%, 3월 20일 파종기에서 출현 소요시 49일과 입모율 54%로 타처리구보다 양호하였다. 4. 삽목번식 5월 상순 녹지삽이 6, 8월 숙지삽보다 양호하였고, 생장조정제 처리는 무처리(관행) 대비보다 NAA 100ppm에서 발근수, 발근장, 발근율 모두가 양호하였다. 3. 절단처리 시험에서 8월 상순 무절단 외 1/2, 1/3, 1/4 절단 결과 1/2 절단구가 무처리(관행)에 비해 5% 수량성이 높았고, 약효성분은 무절단이 가장 높았으나 절단시험에서 수량과 약효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 PDF

용담 추출물의 위장관 운동 촉진 활성 (Prokinetic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Dried Rhizomes and Roots of Gentiana scabra Bunge in Mice)

  • 이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35-739
    • /
    • 2019
  • 용담(Gentiana scabra)의 근경 및 뿌리를 말린 한약재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각종 염증성 피부 질환,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염, 당뇨병 등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의학에서 널리 처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용담이 위장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용담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으며, 마우스에서 in vivo 위 배출 속도 및 위장관 이송률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위 배출 속도는 용담 열수 추출물 1 g/kg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위장관 이송률은 용담 열수 추출물 0.1 및 1 g/kg 투여 시, 그리고 용담 에탄올 추출물 1 g/kg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두 추출물 모두 용량 의존적 증가 양상을 보였다. 더욱이, 용담 열수 추출물 1 g/kg 투여 시의 위장관 이송률은, 1990년대까지 임상에서 가장 강력한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 쓰였으나 2000년 이후 부작용으로 시장에서 철수된 약물인 cisapride 투여 시보다 그 수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용담 열수 추출물이 잠재적으로 cisapride를 대체할 수 있는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 개발 가능한 후보 물질임을 시사한다.

용담(龍膽)의 기내변이주(器內變異株) 유도(誘導)와 변이주(變異株)의 Gentiopicroside 함량(含量) (In vitro Variant Induction and Its Content of Gentiopicroside of Gentiana scabra BUNGE)

  • 성낙술;박충헌;김관수;이승택;장영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0-44
    • /
    • 1995
  • 용담의 조직배양기술과 병행하여 기내변이주 유도와 배양체의 Gentiopicroside 함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1. 정아는 $NaN_3$ $0.001M{\sim}0.003M$에서 $48{\sim}74%$의 생존율을 보였고, EMS 0.05M에서 36% 생존하였으나 생육치 못하고 고사하였으며 MNH 처리유래 식물체의 기내 생육은 양호하였다. 2. 측아는 $NaN_3$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존율이 감소되었고 EMS는 전부 고사하였으며 MNU에서는 $4{\sim}32%$생존하였다. 배양 60일경의 기내 생육은$NaN_3$와 MNU 모두 정아처리에 비하여 저조한 경향이었다. 3. 종자 처리후 발아율은 $NaN_3$는 0.001M에서 41.4%인 반면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EMS는 저농도인 0.05에서만, 4.8% NMU도 1mM에만 2.8%를 보였다. 기내생육은 $NaN_3$는 무처리구와 비슷한 생육을 보였고 EMS와 MNU 처리구는 생육이 불균일한 변이 발생을 보였다. 4. 용담 조직배양체의 gentiopicroside 함량비교에서 Callus는 40일 배양한 것이 0.038%, 80일 배양한 것이 0.051% 함유하였고 shoot는 신장형이 0.426%, 위축형이 2.710%였다. 특히 뿌리에서는 신장형이 0.883%, 위축형은 1.383%로 조사되었다.

  • PDF

약초중의 일반성분 및 무기질 함량조사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Herbs)

  • 황진봉;양미옥;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71-679
    • /
    • 1997
  • 국내에서 재배, 유통되고 있는 약초 일반성분 및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건물기준으로 조회분은 오가피, 쇠비름, 사상자가 각각 22.4, 20.6, 15.0%로 다량 함유하고 있었고, 조단백은 산조인, 택사, 정력자, 결명자가 각각 39.9, 30.6, 28.8, 27.5%로 다량 함유하고 있었다. 조지방은 산조인, 창이자, 소자, 동과자 순으로 각각 27.9, 24.0, 22.8, 22.4%, 조섬유는 만형자, 영지, 송절, 접골목 순으로 각각 59.5, 53.9, 46.4, 41.2% 그리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복령, 천마, 초용담, 지황이 각각 91.2, 87.9, 86.3, 86.0%로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은 상기생, 동규자, 연자육이 각각 100 g당 1,485.9, 1,149.5, 985.0 mg로 다량 함유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마그네슘은 삼백초, 단삼, 칡이 각각 728.0, 582.0, 464.9 mg로 다량 함유하였다. 칼슘은 승마, 오가피, 건칠이 각각 8,506.6, 7,106.5, 3,010.2 mg로 측정되었으며, 칼륨은 송이, 어성초, 우슬이 각각 5,613.5, 5,353.5, 4,665.7 mg였다. 또한 나트륨의 경우 육종용, 두충, 매실이 각각 2,064.5, 595.3, 291.4 mg, 철은 대계근, 초용담, 속단이 각각 307.4, 233.0, 207.6 mg로 나타났다.

  • PDF

Surveys of Vegetation in the Peninsular Geography of Youngweol

  • Yun, Sei-Young;Shin, Young-Seob;Yun, Min-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40-543
    • /
    • 2007
  • We have investigated the vegetation in the peninsula located in Ongjeong-Li Seomyeon in Youngweol-gun. Since this is a limestone area, boxtrees, Abelia mosanensis T. H. Chung ex Nakai, and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were abundant, as these are types of vegetation characteristic of limestone areas. Pinus densiflora S. et Z. was the most dominant woody plant, but vegetational changes, such as the dominance of Quercus variabilis Blume, Quercus dentata Thunb, and Quercus mongolica Fischer, were observed in spots. In particular, the growth of nursery plants of pinus densiflora S. et Z. was not observed, and young trees like Quercus mongolica Fischer grow as low veget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Thus, the ecological succession of Quercus mongolica Fischer is predicted. Outside the investigation area, as herbaceous plants, various vegetations were observed, including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Thalictrum coreanum H. Lev., Mukdenia rossii(Oliv.) Koidz., Platanthera freynii Kraenzl.,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Blume, Potentilla dickinsii Franch., Patrinia rupestris(Pall.) Juss., Swertia pseudochinensis H. Hara, Vicia venosa(Willd.) Maxim.,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Disporum smilacinum A. Gray, Artemisia stolonifera(Maxim.) Kom. for. Stolonifera, Smilax nipponica Miq.,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Regel) H. Hara, Isodon inflexus(Thunb.) Kudo, Gentiana scabra Bunge for. Scabr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Miq.) Ohwi, Dioscorea quinqueloba Thunb., Syneilesis palmata(Thunb.) Maxim.,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Galium kinuta Nakai & Hara, 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Lilium amabile Palib., Siberian iris, Dictamnus dasycarpus Turcz., Atractylodes ovata(Thunb.) DC., and Lysimachia clethroides Du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