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 Routing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1초

무선 애드-혹 망을 위한 위치기반 라우팅에서의 맹목적 우회경로 결정문제 (Blind Detouring Problem in Geographic Routing for Wireless Ad-hoc Networks)

  • 나종근;김종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6호
    • /
    • pp.428-437
    • /
    • 2006
  • 최근 몇년간 무선 애드-흑 라우팅을 위한 많은 스킴들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위치기반 라우팅은 애드-혹 라우팅의 한 부류로써, 각 중계노드는 자신 및 목적지, 그리고 이웃노드들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독립적으로 다음-홉(next-hop) 노드를 선택한다. 이러한 위치기반 라우팅은 라우팅 상태 정보를 유지해야 하는 부담이 없기 때문에 대규모 애드-혹 망에 적합하다. 그러나, 위치기반 라우팅은 발신지와 목적지 사이에 빈공간(void)이 존재할 경우 매우 긴 우회 경로를 선택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랜드마크를 이용하는 위치기반 라우팅 방안(GLR)을 제안한다. GLR은 랜드마크(landmark)라고 불리우는 중계노드를 재귀적으로 발견하고 랜드마크 사이를 연결하는 서브패스(sub-path)를 구성한다. 다양한 망 위상에서 행해진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서, 제안된 방안(GLR)이 위치기반 라우팅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실내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위치 기반 라우팅을 위한 위치 에러 감지 프로토콜 (Robust Location Error Detection Protocol for Geographic Routing in indoor Wireless Sensor Networks)

  • 공영배;박귀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9년도 정보 및 제어 심포지움 논문집
    • /
    • pp.51-53
    • /
    • 2009
  • In wireless sensor networks(WSNs), geographic routing algorithms can enhance the network capacity. However, in the real WSNs, it is difficult for each node to know its accurate physical location. Geographic routing with location error may have serious problems such as disconnected links and delayed data transmission. In this letter, we present an efficient location error detection scheme for geographic routing. The proposed algorithm can efficiently update its incorrect location without additional procedure and finally enhance the performance on the geographic routing with the location errors.

  • PDF

MANET에서 가상 위치 기반 라우팅을 위한 지역 분산 해쉬 테이블 적용 방법 (A Geographic Distributed Hash Table for Virtual Geographic Routing in MANET)

  • 고석갑;김영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12호
    • /
    • pp.58-6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MANET(Mobile Ad hoc Network)에서 가상 위치 기반 라우팅을 위한 GDHT(Geographic Distributed Hash Table)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GDHT는 저장하고자할 데이터를 가상 2차원 직교좌표계에 균일하게 매핑 하였다. 그러나, 위치 기반 라우팅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분포는 기존 GDHT의 가상 공간과 다르게 분포한다. 따라서, 기존의 GDHT를 바로 적용할 경우, 많은 데이터들이 네트워크의 외곽 또는 특정 노드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데이터 또는 서비스 검색 거리 및 시간을 늘리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BVR(Beacon Vector Routing)이나 LCR(Logical Coordinate Routing) 좌표 요소 사이에는 서로 연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해쉬 함수를 적용할 경우, 존재할 수 없는 좌표에 매핑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들의 분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좌표 요소 사이의 연관관계가 반영될 수 있는 "Geographic 해쉬 함수"를 제안한다.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이 데이터 분포를 제어할 수 있고, 데이터 검색 성능을 향상시킴을 보인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보이드 문제 해결을 위한 위치 기반 데이터 전송 기법 (A Geographic Routing based Data Delivery Scheme for Void Problem Handl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석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9-67
    • /
    • 2009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위치 기반 그리디 포워딩 기법(Geographic greedy forwarding) 은 한 홉 내의 주위 노드들의 위치 정보만 가지고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때문에 자신보다 목적지에 더 가까운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보이드 문제가 발생한 환경에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향상된 위치 기반 라우팅 알고리즘(CGR: Cost based Geographic Routing)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CGR 알고리즘은 그림자 경계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영역에 존재하는 노드들끼리 비용 함수 연산 알고리즘을 통하여 효과적인 그리디 포워딩이 수행되도록 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평균 전체 라우팅 경로길이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달성공 비율이 높고 에너지 절감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UAV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위치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Position Based Routing Protocol for UAV Networks)

  • 박영수;정재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2C호
    • /
    • pp.188-195
    • /
    • 2012
  • 네트워크 중심전의 실현을 위해 여러 체계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중에서 무인 항공기 체계는 군사적인 응용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인 항공기들은 임의로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사이의 홉수도 많이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무인 항공기 네트워크 환경은 높은 이동성, 높은 데이터 전송률,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무인 항공기 네트워크의 요구사항에 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멀티홉 라우팅 프로토콜의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 사이의 제일 짧은 지리적 거리를 사용하여 효율적이고 신뢰적인 전송을 하는 Geographic Routing Protocol의 성능을 분석한다. Geographic Routing Protocol은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나리오에서 TDMA 모델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평가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Geographic Routing Protocol은 기존의 MANET 라우팅 프로토콜보다 패킷 수신율, 종단간 지연, 라우팅 트래픽 발생량 등 면에서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장애물 극복을 위한 방향기반의 라우팅 기법 (Direction-based Geographic Routing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고영일;박창섭;손인근;김명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6호
    • /
    • pp.438-450
    • /
    • 2006
  •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센서노드들 사이에 다양한 형태의 장애물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물들로 인하여 라우팅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즉, 장애물을 우회하는 과정에서 극복경로가 지나치게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장애물이 많은 환경에서도 에너지 효율적으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라우팅 기법이 요구된다. 기존의 위치기반 라우팅 기법은 장애물 극복을 위해 전체 네트워크 그래프를 평면 그래프(planar graph)로 변환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 과정에서 실제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왜곡됨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목적지 중심의 극 좌표계를 기반으로 센서의 위치를 결정하고, 플라나 과정 없이 장애물을 적응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향기반의 라우팅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 방법이 장애물을 회피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경로를 생성함을 보인다.

Hole Modeling and Detour Scheme for Geographic Rout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Yu, Fucai;Park, Soo-Chang;Lee, Eui-Sin;Kim, Sang-Ha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1권4호
    • /
    • pp.327-336
    • /
    • 2009
  • Geographic routing has been considered as an attractive approach in wireless sensor networks, since it routes data packets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rather than global topology information. In geographic routing schemes, packets are usually sent along the boundary of a hole by face routing to detour the hole. As result, all data flows which need to detour the hole are concentrated on the boundary of the hole. This hole detour scheme results in much more energy consumption for nodes at the hole boundary, and the energy exhaustion of hole boundary nodes enlarges the holes. This is referred to as a hole diffusion problem. The perimeter mode may also lead to data collisions on the hole boundary nodes if multiple data flows need to bypass a hole simultaneous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hole modeling and detour scheme for geographic rout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Our hole modeling and detour scheme can efficiently prevent hole diffusion, avoid the local minimum problem faced by geographic routing protocols, and reduce data collisions on the hole boundary node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is superior to the other protocols in terms of control overhead, average delivery delay and energy consumption.

무선 센서 망을 위한 위치 기반 라우팅에서 싱크 위치 전달 방안 (Sink Location Dissemination Scheme in Geographic Routing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이의신;박수창;이정철;김상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9B호
    • /
    • pp.847-856
    • /
    • 2009
  • 무선 센서 망을 위한 위치 기반 라우팅에서 소스 노드가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목적지인 싱크의 위치 정보가 필요하다. 기존의 대부분의 위치 기반 라우팅 방법들은 소스 노드가 위치 서비스를 통해 싱크의 위치를 알 수 있다고 단순히 가정한다. 그러나, 소스 노드가 싱크의 위치 정보를 알기 위한 방법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우리는 무선 센서 망을 위한 위치 기반 라우팅에서 싱크 위치 전달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 방안에서, 소스 노드와 싱크 노드는 싱크 위치 알림과 질의 메시지를 위치 기반 라우팅을 통해 각각의 두 경로로 보낸다. 두 경로의 교차점에 위치한 노드는 소스에게 싱크의 위치를 알려준다. 그때, 소스는 위치 기반 라우팅을 통해 싱크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어떠한 불규칙한 센서 망의 형태에서도 두 경로가 최소한 하나의 교차점을 갖도록 보장하는 것이 본 논문의 요점이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우리의 프로토콜이 다른 프로토콜들에 비해 에너지 소비와 제어 부하 부분에서 월등히 우월함을 보인다.

Performance Study for Impact of Mobility Model and Position Update Interval in Geographic Routing

  • Dong, Lihua;Kim, Ki-Il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7권4호
    • /
    • pp.489-495
    • /
    • 2009
  • Geographic routing has attracted many researcers with no need for routing table to forward packet in mobile ad hoc networks. Previously, some literatures have mentioned how to improve the performance via simulation results. However, they didn't address the impact of various mobility models and beacon interval, which is used to maintain recent position information for nod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well-known geographic routing protocol called as GPSR and conduct simulation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se parameters. Even though GPSR shows acceptable performance in most cases, sometimes its performance becomes worse than what we expect.

무선 센서 망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페이스 라우팅을 활용한 분리된 다중 경로 방안 (Disjointed Multipath using Energy Efficient Face Rout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조현종;김천용;김상대;오승민;김상하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16-121
    • /
    • 2017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는 저전력 센서의 특징으로 인해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방법들을 선호하였으며 라우팅 방법 중 이웃 노드들의 주변 정보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위치 기반 라우팅으로 다중 경로를 생성하였다. 하지만, 다중 경로가 라우팅 불가 지역에서 위치 기반 라우팅을 사용하면 경로들이 중복 사용되어 다중 경로의 디스조인트 특징을 유지하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중 경로는 라우팅 불가 지역을 모델링하고 해당 지역을 우회하여 다중 경로의 디스조인트 특징을 보존하였다. 하지만 에너지 관점으로 보았을 때, 모델링과 같은 부가적인 작업은 노드의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며 센서 망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라우팅 불가 지역에서 다중 경로의 디스조인트 특징을 보존하면서 에너지 효율적인 위치 기반 라우팅을 제안한다. 제안 방안은 노드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모델링과 같은 부가적인 작업 없이 페이스 라우팅을 활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