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al Director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인터넷 지리정보 체계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f Geographic Information Organization of Internet Resource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55-272
    • /
    • 2006
  • 본 연구는 인터넷을 통한 통합된 지역정보 서비스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인터넷의 지도 정보서비스와 주요 검색엔진 사이트의 지역관련 디렉토리의 체계를 비교하여 효과적인 디렉토리 구축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지도정보서비스의 디렉토리와 검색엔진사이트의 지역관련 디렉토리를 6가지의 범주화기준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디렉토리 초기화면에 시설물/주제와 지명을 같이 사용하여야 하며, 각 디렉토리 단계별로 시설물/주제와 지명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최하위 지역단위로 시 군 구가 적합하며, 적당한 수의 디렉토리가 필요하였다.

  • PDF

분산 디렉토리 시스템에서의 원격 질의에 대한 캐싱 기법 (A Caching Mechanism for Remote Queries in Distributed Directory Systems)

  • 이강우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0-5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분산 디렉토리 시스템에서 질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격지의 객체에 대한 질의와 결과를 요청지의 캐시에 저장하는 캐싱 메카니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분산 디렉토리 시스템에 저장되는 캐시 정보를 응용 데이터 정보, 시스템 데이터 정보로 분류하고, 분류된 캐시 정보를 기반으로 캐시 시스템 구조를 설계하였다. 둘째, 각각의 캐시에 대한 거리 정보와 접근 회수를 가중치로 부여한 최소-TTL 대체 기법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캐시 기법과 타 기법(LRU, LFU 대체 기법)에 대하여 성능 평가를 수행하여 제안된 기법이 LRU 기법 보다 25%의 성능향상을 보였으며, LFU 기법보다는 30%의 성능향상 결과를 보였다.

  • PDF

객체지향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색인기법 (An Indexing Technique for Object-Oriented Geographical Databases)

  • 부기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5-120
    • /
    • 1997
  • 객체지향 지리정보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설계시 중요한 고려 사항은 저장된 데이타에 대한 좋은 접근 전략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객체지향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여러가지 색인 기법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기법들은 객체지향 데이타 모델의 집단화 계층이나 상속 계층 중 어느 한 가지만을 고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포인터 체인 디렉토리를 이용하여 객체지향 지리 데이터베이스의 집단화 및 상속 계층을 접근하는 데 효율적인 색인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효용성을 기존의 색인 기법들과 다양하게 비교하였으며, 저장비용과 검색비용 측면에서 그 성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GML 기반 계층적 POI 정보 가시화를 위한 GVP 개발 (A Development of GVP for Hierarchical POI Information Visualization based on GML)

  • 송은하;박용진;정영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4호
    • /
    • pp.541-548
    • /
    • 2008
  • 최근 GIS 서비스는 단순한 지도 가시화뿐만 아니라 각 개체의 위치 정보를 표시해주는 POI 서비스까지 요구한다. 하지만 POI 서비스는 개체의 위치 정보가 불충분하여 단순 지명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다. 게다가 GIS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대부분의 지리공간데이터 역시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이고 사용자 중심적인 POI DB를 설계하고, 지도 가시화의 이질성과 비호환성을 극복하기 위해 GML 표준을 수용하는 GVP(GML Viewer POI)를 구축한다. GVP는 SHP 파일의 속성 정보를 관리하는 dBase 파일에 3-Layer 구조로 설계된 POI DB를 추가한다. 이에 따라서 POI 가시화는 디렉터리 형태의 그룹화된 POI 정보가 제공되므로 계층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지도 가시화와 POI 가시화로 구성된 GVP는 속성을 각각의 객체 형태로 재생성하여 사용자 이벤트에 대한 빠른 응답을 지원한다.

뉴질랜드 오클랜드지역 한국인의 생업 분석 (An Analysis of Occupations of Korean immigrants in Auckland, New Zealand)

  • 윤홍기;임석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91-510
    • /
    • 1997
  • 이 논문의 목적은 뉴질랜드 한국인 이민이 어떻게 주류사회에 적응하고 있는가를 그들의 생업형태를 분석함으로써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자료로는 한인 전화번호부와 교민잡지의 업소안내편을 주로 이용하였다. 한국인의 본격적인 뉴질랜드 이민은 점수제 이민제도가 도입된 1991년 이후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한국인 생업 역시 급속한 성장을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 '한국인이 한국인 자본으로 한국인 상대의 사업'을 하는 전형적인 소수민족 사업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이것은 한국인 관광객 상대의 사업체가 오클랜드 시내에 집중하는 것이나 한국인이 밀집${\cdot}$거주하는 노스쇼어 시에 한인 업소가 집중하는 지역분포 패턴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이것은 소수민족의 밀집거주지가 소수민족 사업체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구미에서의 연구결과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한국인 생업의 성격을 말해 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