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al Handoff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A Simple Path Prediction Scheme to Improve Handoff Efficiency in All-IP Wireless Networks

  • Zhu, Huamin;Kwak, Kyung-sup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7A호
    • /
    • pp.781-785
    • /
    • 2004
  • Mobile IP maintains Internet connectivity while Mobile Hosts moving from one Internet attachment point to another. However, Mobile If is not appropriate for seamless mobility. Some micromobility protocols were proposed to complement Mobile IP by offering fast and seamless handoff control in limited geographical areas. In this paper, a new scheme, based on path prediction and resource reservation, is proposed to reduce the handoff latency by trying to eliminate the link setup time for fast handoff in all-IP wireless networks.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offers shorter handoff delay and can improve the handoff efficiency.

마이크로 도메인에서의 효율적인 핸드오프 방안 (An Efficient Hand-off Mechanism in Micro-Domain)

  • 김응도;김화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3A호
    • /
    • pp.195-202
    • /
    • 2005
  • 3세대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매크로/마이크로 간에 끊김 없는 핸드오프를 요구한다. 그러나 Mobile IP는 간단하면서 확장 가능한 매크로 이동 기술이지만, 마이크로 도메인에서의 패스트 핸드오프를 지원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많은 마이크로 이동성 프로토콜들이 빠르면서 끊김 없는 이동성을 지원함으로 Mobile IP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고 있으며, Cellular IP 또한 마이크로 도메인에서 끊김 없는 이동성을 지원한다. 그러나 Cellular IP의 세미 소프트 핸드오프 방안은 새로운 경로와 이전 경로사이의 도달 시간의 차이로 인하여 패킷이 유실되거나 중복되는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핸드오프 방안은 핸드오프 동안의 패킷의 유실과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SCD (Suitable Cross Delay)메커니즘을 이용하였으며 마이크로 도메인에서 끊김 없는 이동성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또한,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핸드오프 방안의 성능향상을 증명하였다.

Cellular IP 네트워크에서 인다이렉트 핸드오프 성능 개선 (An Enhanced Indirect Handoff for Cellular IP Network)

  • 정원수;윤찬영;오영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B호
    • /
    • pp.1-8
    • /
    • 2006
  • 현재 유${\cdot}$무선 통합망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많은 작업이 진행 중이며 IP 이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식으로 Mobile IP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Mobile IP는 셀룰러 기반의 무선 접속망에서 잦은 핸드오프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제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이동성 프로토콜이 제안되고 있으며, 마이크로 이동성 프로토콜 방식으로 Cellular IP, HAWAII, Hierarchical Mobile IP 등이 있다. Cellular IP는 일정 지역 내에서 seamless 한 이동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특별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Cellular IP 인다이렉트 핸드오프 방식은 핸드오프가 발생할 경우 새로운 영역의 BS이 핸드오프를 인식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핸드오프 인식과정에서 패킷 유실 및 중복이 발생하여 UDP 및 TCP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Cellular IP 인다이렉트 핸드오프 방식을 개선한 핸드오프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크로스오버 노드를 통한 시그널링 과정과 버퍼링 과정을 사용하였다. 새로운 영역의 BS에게 핸드오프 사실을 알리기 위해서 게이트웨이까지 전송되는 핸드오프 요청 패킷을 크로스오버 노드에서 처리함으로서 불필요한 시그널링 트래픽을 감소 시켰다.

GPS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핸드오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eographical Handoff System Using GPS Information)

  • 한승호;양승철;김종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A호
    • /
    • pp.33-43
    • /
    • 2010
  • 최근 사용자들은 IEEE 802.11 무선랜이 탑재된 이동단말을 통해 인터넷, VoIP등과 같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받고자 한다. 넓은 지역에서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액세스포인트간의 핸드오프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기존 IEEE 802.11의 핸드오프 방식은 연결의 단절이 발생하며, 연결단절 인지와 채널 검색시간이 대부분의 지연시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노드의 이동방향, 위치 등을 고려하지 않고 주위 환경에 민감한 신호 세기만 고려하여 액세스포인트를 선택하기 때문에 충분한 대역폭을 받기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드의 연결단절시간을 줄이고 충분한 대역폭을 받을 수 있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외환경에서 사용하는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노드의 이동에 따른 핸드오프 지점을 예측하고, 이동방향, 속도와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높은 전송 대역폭을 받는 핸드오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성능평가를 통하여 Layer2의 연결단절시간을 3.7ms로 줄이고 약 24.8%의 대역폭 향상을 통해 알고리즘의 우수함을 확인했다.

지리적 정보를 사용한 셀룰러 네트워크 대역폭 예약 정책 (Bandwidth Reservation Policy for Cellular Networks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 유재봉;박찬영;박준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0B호
    • /
    • pp.891-899
    • /
    • 2006
  •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는 일정한 크기의 셀 단위로 구성된다. 통신 중인 단말은 이러한 셀 사이를 이동하게 되고, 셀과 셀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핸드오프라고 한다. 최근의 셀 크기는 보다 많은 사용자를 수용하기 위해 피코 셀 단위로까지 작아지고 있다. 이렇게 셀 단위가 작아지면, 더욱 빈번한 핸드오프가 일어나게 된다. 한편, 증가 추세에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QoS를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빈번한 핸드오프로 인한 연결 실패율을 줄이고자 지리적 정보를 토대로 이동성을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의 속도에 따라 대역폭 예약을 다르게 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 방식은 이동 단말의 속도와, 셀 내의 도로 사정, 도로 사정에 따른 다음 셀 이동 확률 등을 이용하여 대역의 예약범위와 예약 대역폭 량을 결정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좀 더 확실한 이동성 예측과 예약 대역폭 미사용에 따른 대역폭 낭비를 줄이는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GPS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핸드오프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igh Throughput Geographical Handoff Using GPS Information)

  • 한승호;양승철;김종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0-83
    • /
    • 2009
  • IEEE 802.11 무선랜은 광대역 무선접속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가장 대중화된 통신 프로토콜이다. 최근 이동 중에도 무선랜을 통해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핸드오프 기능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IEEE 802.11 무선랜의 핸드오프 기법은 최고 300ms의 지연 시간을 가지며, 관련연구의 무선랜 핸드오프 기법은 접속할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 및 재접속 및 인증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동 중인 휴대 단말일 경우 빈번하게 핸드오프가 발생하며 이를 위한 고려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GPS 위치정보와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하여 핸드오프 지점을 예측하고 높은 전송 대역폭을 보장 받는 핸드오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핸드오프 방법을 구현하고 성능을 검증하여 알고리즘의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