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mun island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거문도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저어류 군집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the demersal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off Geomun island, Korea)

  • 김신곤;장충식;안영수;고은혜;백근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2호
    • /
    • pp.131-138
    • /
    • 2014
  • The study aims at analyzing a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 live in bottom of the coastal waters off Geomun island, Korea. To reach the goal of the study, a species composition and it's monthly fluctuation, a monthly fluctuation of the dominant species and it's appearance type was analyzed the fishes caught by the bottom trawl. The result obtained can be summerrized as follows; Fish caught in this area composes 14 orders, 34 families, and 47 species. The largest number of fish species was Perciformes (15 families and 19 specie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an number of fish was jhon dory, Zeus faber which was occupied at 22.5% from the whole number, the second most dominant species was horse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which was occupied at 21.2%. Four groups were categorized based on appearance time period.

우리나라 주요 도서지역의 외래잡초 발생현황 (Occurrence of Exotic Weeds in Several Islands in Korea)

  • 김창석;이인용;오영주;오세문;김석철;박재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9-67
    • /
    • 2010
  • 우리나라 서남부 4개 도서를 대상으로 외래잡초 발생분포를 조사한 결과, 백령도 13과 41종, 흑산도 11과 32종, 추자도 9과 23종, 그리고 거문도에 12과 30종이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18과 70종이 조사되었다. 문제 외래잡초로는 돼지풀, 도깨비가지, 미국실새삼 등으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발생정도가 높은 외래잡초는 망초, 개망초, 오리새, 큰이삭풀, 쥐보리, 방가지똥, 선개불알풀 등이었다. 또한 생활형별로는 일년생이 28종으로 전체의 40%를 차지하였으며, 월 년생이 21종(30%), 다년생이 21종(30%)이었다.

거문도의 근대적 어업 기술 도입에 따른 지역 변화 (The Modernization of Fishery Technology and Local Changes in GeomunDo Island, Korea)

  • 이철우;박민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35-448
    • /
    • 2009
  • 본 논문은 소규모 변경도서인 거문도를 대상으로 새로운 어업기술과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지역변화를 연구하였다. 새로운 제도와 기술의 도입에 따른 지역 내 변화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급적인 어업은 상업적 어업으로 변화되고, 늘어난 어획물 처리를 위한 제도와 설비의 확충이 나타난다. 즉 어시장의 개설, 수산 가공업의 발달 등 수산업분야의 성장은 지역 내 산업 구조 변화로 드러난다. 본 논문은 이와같은 변화를 새로운 문화 요소의 이식과정과 이식된 문화요소가 지역 내 원질 문화와 결합하는 토착화 과정을 통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새로운 문화 요소가 이식될 때 수용과 토착화 과정은 동일 지역 내에서도 각 문화 요소별로 상이한 속도와 양상을 나타내며, 집단 간의 반응 양상도 선별적으로 드러난다.

  • PDF

전라남도 흥양 도서(島) 민가와 근대기 울릉도 민가의 상관성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k houses in Heung Yang-islands and the Ulleung-island Folk houses in Modern Age)

  • 문정민;정명섭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1호
    • /
    • pp.17-28
    • /
    • 2018
  • This study re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k houses in Heung Yang-islands and the Ulleung-island Folk Houses in Modern Age. Fork houses reflect cultural and geographical features synthetically and concretely. Fork houses contain the thoughts of residents and have been built rationally and economically, therefore studying fork houses is a very meaningful task. This study has a focus on the elements which influenced fork houses of Ulleungdo at the time when fork houses were constructed officially. There have been studies on fork houses of Ulleungdo limited in embrasive characteristics, space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bout the element and background of Ulleung-island Folk Houses in Modern Age.

남해 거문도 해역 어류의 출현종과 분포특성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in the Water off Geomun Island of the Southern Sea, Korea, 2006)

  • 차병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8-178
    • /
    • 2010
  • 2006년 2월부터 10월까지 남해 거문도 연안의 암반초와 비 암반 정점의 어류 종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어류자료는 밤에는 삼중자망으로 수집하였고, 낮에는 스쿠버 잠수관찰로 수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세 정점에서 삼중자망에는 총 40종, 380마리, 71,426.9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어획된 어종 가운데 전갱이가 최우점하였으며, 그 외 홍어, 노랑가오리, 쥐치, 전기가오리, 참돔, 볼락, 꼬치고기 등이 많이 채집되었다. 암반 초 정점에서는 26종, 264마리, 46,776.7 g의 어류가 채집되었고, 우점종은 전갱이이었다. 다음으로 비 암반 정점 1에서는 17종, 45마리, 10,535.1 g의 어류가, 비 암반 정점 2에서는 19종, 71 마리, 14,115.1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스쿠버 다이빙에 의한 3정점 잠수조사에서는 13종, 1,749마리의 어류가 관찰되었다. 주로 관찰된 어종은 자리돔이며, 기타 범돔, 쥐치, 망상어, 육동가리돔, 뱅에돔, 용치놀래기, 노래미, 쥐돔, 볼락, 혹돔 등이 관찰되었다. 암반초에서 어류의 풍도는 어종수 7종, 개체수 1,739마리이며, 이는 전체의 99.4%를 차지하는 것이다. 거문도 해역에서 어류군집은 많은 암초성 어류들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전갱이, 고등어 같은 회유성 어종들도 다량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암반초에서 어류의 풍도는 다른 비암반 정점들에 비해 높았으며, 암초성 어종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지만 낮과 밤 간에 우점종은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거문도 해 역의 높은 어류 풍도는 암반초와 같은 물리적 구조물과 관련이 있었으며, 이는 암반초지역이 많은 어류에게 주요 서식처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巨文島의 거미類에 關하여 (On the Spiders from Geomun Island, Korea)

  • Jo, Tae-H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7-85
    • /
    • 1981
  • 著者는 1980年 7月 24日부터 29日까지 巨文島의 古島 (24日, 25日), 西島(26日, 27日, 28日), 東島 (29日)에서 採集한 거미類 2,000餘 個體를 調査, 整理한 結果 未記錄種 2種 (Cyrtarachne nagasakiensis, Menemerus confu년)을 包含한 63種을 얻었다. 이로서 白 (1937), Saito (1941), 및 南宮 (1978)등에 依하여 이미 報告된 것과 합쳐 巨文島의 거미는 都合 21科, 51屬, 67種이 된다.

  • PDF

거문도 해역 대롱수염새우(Solencer melantho)의 성자과 성 성숙 (Growth and Reproduction of Deep-Water Mud Shrimp (Solenocera melantho) around Geomun Island, Korea)

  • 오택윤;최정화;차형기;김주일;김대현;이주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32-238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reproduction, population structure, growth and size at sexual maturity of a deep-water mud shrimp (Solenocera melantho) in the adjacent waters of Geomun Island, Korea. The shrimp was caught by a beam trawl from November 1998 to December 1999. Spawning period was estimated by gonadosomatic index to be from August to early November with a peak in October to early November. Female shrimps were $12\%$ matured at 16 mm in carapace length, $33\%$ matured at 18 mm and $75\%$ matured at 22 mm. The size at $50\%$ maturity for female was estimated to be 20.65 mm in carapace length. Breeding season was estimated to be from August to early November with a peak in October to early November. The size at $50\%$ inseminated was 19.81 mm CL. The fecundity was 87,500-405,200 and related exponentially to carapace length and total weight. This species survived between 25 and 26 months. The maximum carapace length of females and males were 48 mm and 34 mm respectively. Sex ratio was $51.3\%$, and the females were preponderant. Growth was estimated by modified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incorporating seasonal variation in growth in both years females (K=1.019/yr and $L_{\infty}$=51.731 mm CL) grew faster, reaching a larger size at a given age than males (K=1.848/yr, and $L_{\infty}$=27.499 mm CL). This is indicated by differences in growth performance indices $(\varphi')$ between females (3.291) and males (3.145).

New Record of the Existence of Sarcographa tricosa (Lichenized Ascomycota, Graphidaceace) in Korea

  • Joshi, Yogesh;Lee, You-Mi;Wang, Xin-Yu;Koh, Young-Jin;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52-154
    • /
    • 2009
  • Lichen genus Sarcographa Fee, a stromatoid Graphidacean taxa, was newly found in Geomun Island, Jeonnam province. The lichen grew on the bark of Camellia japonica and Eurya emarginata along the coastal line of the island. It was identified as Sarcographa tricosa (Ach.) Mull. Arg. for the first time in Korea.

제주해협 동쪽 입구에 출현하는 설상의 난수 (Tongue-like Warm Water Appeared in the East Entrance of the Jeju Strait)

  • 노홍길;평야민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9-304
    • /
    • 1983
  • 제주해협 동쪽 입구에는 주년 대마난류 수괴인 설상 난수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이 설상 난수 때문에 동 해협 서쪽에서 유입하는 해수의 유향이 이 해협내에서 변화되 한국 남해 연안쪽을 향할 수 있어 제주해협내의 중, 저층수는 한국 남해 연안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설상 난수는 동계에 강하고 하계에 약하므로 대마난류는 하계 보다 동계에 한국 남해 연안에 접근하며, 이 난류의 북쪽 경계도 거문도와 소리도 연안까지 자주 접근하고 있다.

  • PDF

Fusarium oxysporum에 의한 황칠나무 묘목 뿌리썩음병 발생 보고 (First Report of Root Rot of Dendropanax trifidus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in Korea)

  • 마혜린;최선규;상현규;김현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1-56
    • /
    • 2023
  • 황칠나무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성 상록활엽수로 우리나라 제주도, 보길도, 거문도, 거제도, 완도, 해남 등에 분포한다. 2021년 6월 전라남도 나주에서 황칠나무 유묘의 지제부가 갈변하고 잘록해지는 뿌리썩음병을 국내 최초로 발견하였다. 황칠나무 뿌리썩음병균을 분리 및 동정하기 위해, 유묘의 병든 조직에서 3개의 균주를 분리하였고, PDA 배지에서 형태적, 균학적 특성 조사한 결과 Fusarium oxysporum으로 동정되었다.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및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EF1-α) 염기서열을 통한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한국의 황칠나무 뿌리썩음병균은 F. oxysporum임을 확인하였다. 병원성 테스트를 위해 유묘의 뿌리를 분생포자 현탁액에 침지하여 정식하였고, 접종 20일 후 처리구에서 뿌리썩음 및 지제부의 갈변 증상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황칠나무 유묘에서 뿌리썩음병균 F. oxysporum의 첫 보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