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ndular trichom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초

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 Celakovsky) 잎에 분포하는 두상형 분비모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Capitate Glandular Trichome in Leaf of Thymus quinquecostatus)

  • 신현철;유성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2호
    • /
    • pp.159-170
    • /
    • 1998
  • The glandular secretory system of the capitate gandular trichomes in leaf of Thymus quinquecostatus Celakovsky was exam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glandular trichome was consisted of three cell layers; an basal cell layer, a stalk cell with single-celled intermediate layer and a discoid secretory layer with thickened cuticle. The secretory cell was dense, rich in mitochondria, rER, plastds, Golgi complex and had many vesicular structure. Typical plastids with reticulate body and plastoglobule were present in glandular trichome. The tytoplasm of secretory cell was filled with osmiophilic secretory materials. The secretory vesicles, originated from Golgi complex, appeared as membrane bounded vesicles and secreted to the outer wall surface. The presences of well developed rER, mitochondria, Golgi complex, and membrane-bounded vesicles fused with plasmalemma in the secreting cells indicate that the granulocrine mechanism of secretion was occurring in T. quinquecostatus. Subcuticular cavity was developed between the cuticular layer and the secretory cell wall, and it formed above the secretory cell upon separation of cuticle-wall.

  • PDF

쉽사리속(Lycopus속, 박하족-꿀풀과) 화판 및 악편 미세형태의 분류학적 검토 (The taxonomic consideration of petal and sepal micromorphology in Lycopus L. (Mentheae-Lamiaceae))

  • 문혜경;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3-285
    • /
    • 2004
  • Lycopus속 15종의 화판(petal)과 악편(sepal)의 미세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과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Lycopus속 분류군들의 화관과 악에 분포하는 모용과 선모는 단세포 원주모(unicellular cylindrical trichome), 표면에 돌기가 있는 단세포 모용(unicellular trichome with papillae), 다세포 모용(simple multicellular trichome), 두상선모(capitate glandular trichome) 및 방패형 선모(peltate glandular trichome) 등 5 종류로 나타났으며, 모용의 종류, 분포, 밀도가 분류군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화관 안쪽면에 단세포 원주모(unicellular cylindrical trichome)의 분포 정도가 각 분류군마다 다르게 나타나, 그 분포 부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악(calyx)은 악편이 갈라지는 정도와 악편 정단(apex)의 모양으로 4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었다. 화판과 악편의 안쪽 빛 바깥면을 구성하는 세포의 형태는 그 위치와 분류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관찰된 Lycopus속의 화판 및 악편 미세형태를 검토한 결과 종간 식별에 유용하였다.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Trichomes Associated with Possible Biotic Stress Resistance in the Genus Capsicum

  • Kim, Hyun-Jung;Seo, Eun-Young;Kim, Ji-Hyun;Cheong, Hee-Jin;Kang, Byoung-Cheorl;Choi, Do-I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8권1호
    • /
    • pp.107-113
    • /
    • 2012
  • Trichomes are specialized epidermal structure having the functions of physical and chemical block against biotic and abiotic stresses. Several studies on $Capsicum$ species revealed that virus and herbivore resistance is associated with trichome-formation.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n the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richomes developed on the epidermis of $Capsicum$ spp. Thus, this study attempts to charaterize the trichome morphologies in 5 species of $Capsicum$ us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Six main trichome types were identified by their morphology under FESEM. Both glandular and non-glandular types of trichomes were developed on the epidermal tissues of $Capsicum$ spp. The glandular trichome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type I, IV and VII according to their base, stalk length, and stalk. Non-glandular trichomes were also classified into type II, III, and V based on stalk cell number and norphology. Almost all the species in $C.$ $chinense$ and $C.$ $pubescens$ had glandular trichome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on classification of trichomes in the genus $Capsicum$ and, our results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s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richomes on the epidermal differentiation and association with biotic stress toleranc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Leaf Surface Trichomes in Mulberry and Its Influence on Rearing Performance of Silkworm Bombyx mori L.

  • Kesavacharyulu, K.;Kumar, Vineet;Sarkar, 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8권1호
    • /
    • pp.33-41
    • /
    • 2004
  • The type of trichomes, their density and pattern of distribution on leaves of 16 genotypes of mulberry, belonging to both diploid and polyploid categories, were studi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ttributes, especially the density and trichome types with higher acceptability and better rearing performance by the silkworm Bombyx-mori L. Two types of trichomes glandular and non-glandular types were observed on both the leaf surfaces of all the mulberry genotypes studied. In general, greater densities of trichomes were observed on the abaxial surface than the adaxial surface of leaves in most of the genotypes. Distribution of glandular trichomes were more in abaxial surface and non-glandular trichomes were more in adaxial surface. Overall, distribution of glandular and non-glandular trichomes per unit area of leaf did not follow any regular pattern. When leaves of those genotypes were fed to silkworms, trichome dens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urvival of larvae i.e., effective rate of rearing, but trichome density did not influence the economic characters of rearing. As the distribution of glandular trichomes (GT) and non-glandular trichomes (NGT) did not follow any definite pattern, no relation could be established between the GT and NGT densities with silkworm rearing performance. However, the ratio of GT and NGT in a particular genotype influenced the rearing parameters, higher the ratios better the rearing performance. High GT and NGT ratio (>1.00) was found positively significant when correlated with economic parameters viz., larval weight, single cocoon weight and single shell weight. The study is useful in screening different mulberry genotypes for their better acceptability to silk-worm and higher rearing performance at the early stage of selection without actually conducting the rearing.

Ambient Variable Pressure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or Trichome Profiling of Plectranthus tomentosa by Secondary Electron Imaging

  • Kim, Ki Woo
    • Applied Microscopy
    • /
    • 제43권1호
    • /
    • pp.34-39
    • /
    • 2013
  • Glandular and nonglandular trichomes on the leaf surface of Plectranthus tomentosa were investigated by variable pressure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VP-FESEM). The segments of the plant's leaves were directly mounted without any specimen preparation, and examined at ambient temperature using a variable pressure secondary electron (SE) detector under ca. 15 Pa. Foliar trichomes maintained their shapes and structures without severe surface collapse or charging. The adaxial leaf surface was abundantly covered with different types of trichome. Nonglandular trichomes consisted of a basal cell and a long (up to ca. $300{\mu}m$) stalk. Meanwhile, capitate glandular trichomes had a secretory head and a short or long stalk. Peltate glandular trichomes with globose secretory heads were obser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eaf epidermis. Spherical projections on the secretory head showed the secretion process of glandular trichomes. In addition to the trichomes, oval stomata were distributed on the abaxial leaf surfa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bient VP-FESEM can be used to classify the dehydration-sensitive foliar trichomes of succulent plants by SE imaging. At the FESEM resolution, this approach facilitates the rapid and detailed morphological analysis of a variety of trichomes in diverse plant taxa with reduced labor and preparation.

토마토 (Lycopersicon esculentum) 표피조직의 이형세포 분화 발달 (Development of Epidermal Idioblasts in the Reproductive Structures of Lycopersicon esculentum)

  • 박은희;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4호
    • /
    • pp.295-303
    • /
    • 2004
  • 식물체에 여러 유기성분을 함유하는 발향성 식물인 토마토는 표피조직에 여러 형태의 이형세포가 발달한다. 유용식물인 토마토에 대하여는 많은 영역에서 활발하게 집중 연구되고 있으나,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이형세포에 촛점을 두고 구조적으로는 자세히 연구되어 있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 표피조직, 특히 생식기관의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이형세포들의 구조 및 분화 발달양상을 주사전자현미경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토마토 표피조직에는 불규칙형 기공과 방사형 돌출기공의 두 유형의 기공이 발달하였으며, 모용은 분비성과 비분비성의 다양한 4가지 형태로 분화하였다. 분비성 모용은 peltate 형과 capitate형 분비모로 대별되었고, 비분비성 모용은 단상모와 원좌형 기저세포의 장상모로 발달하였다. 특히, 화경에는 돌출기공의 발달이 현저하였고, peltate형 분비모는 꽃받침과 자방 표피조직에 뚜렷하였다. 이후 분비모용과 돌출기공에 대한 세포학적 측면에서의 구조적인 연구가 병행되어 본 결과와 접목되면 구조와 기능간의 관계규명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며, 유용성분의 자원화 및 기능물질 개발에 있어 더욱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쉬땅나무족(조팝나무아과: 장미과) 잎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의 분류학적 유용성 (Taxonomic significance of the leaf micromorphology in the tribe Sorbarieae (Spiraeoideae: Rosaceae))

  • 송준호;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9-212
    • /
    • 2016
  • 쉬땅나무족(Adenostoma: 3 spp., Chamaebatiaria: 1 sp., Sorbaria: 11 spp., Spiraeanthus: 1 sp.)과 연관분류군인 Gillenia속 2분류군, Lyonothamnus속 2분류군을 포함한 총 20분류군의 잎 표피 미세구조에 대한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기재하였다. Adenostoma속, Chamaebatiaria속, Spiraeanthus속에서 기공복합체(stomatal complex)는 향축면과 배축면 모두에 기공이 존재하는 양면기공엽(amphistomatic type)이었고, Gillenia속 Lyonothamnus속과 Sorbaria속에서는 배축면(abaxial side)에만 존재하는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으로 나타났다. 공변세포의 크기는 $7.84-48.7{\times}5.86-38.6{\mu}m$으로 속과 종마다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Sorbaria tomentosa var. tomentosa ($7.84-11.8{\times}6.84-10.5{\mu}m$)가 가장 작은 공변세포로 나타났고, Adenostoma fasciculatum var. obtusifolium ($30.3-48.7{\times}18.8-38.6{\mu}m$)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형태는 대부분 불규칙형(anomocytic)이 우세하며, 불규칙형과 방사형(actinocytic)이 모두 나타나거나 드물게 다륜형(cyclocytic)이 나타나는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부세포 수층벽(anticlinal wall)은 직선형과 곡선형이 동시에 관찰(straight/curved) 되거나 파상형(undulate) 또는 굴곡형(sinuate)이 관찰되었다. 연구된 분류군에서 나타나는 모용의 종류는 크게 4종류로 단세포단모(unicellular non-glandular trichome), 성상모(stellate), 선모(glandular trichome), 농포성 선모(pustular glandular trichome)가 확인되었다. 연구된 분류군 가운데 일부 분류군의 표피세포에서 막성 판(membraneous platelets), 판 모양(platelets)의 표피상납질(epicuticular wax)이 관찰되었다. 비록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 내 본 족의 공유파생형질을 찾을 수 없었지만, 모용의 다양성(트기, 성상모, 선모)과 표피상납질 유무의 분류학적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잎 표피 내 다양한 미세형태학적 형질은 외부형태학적 형질과 더불어 본 족을 이해하는데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미세구조학적 형질 및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의한 긴병꽃풀속(꿀풀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f Glechoma L. (Lamiaceae) based on micromorphological characters and nuclear ribosomal ITS sequences)

  • 장태수;이중구;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2-32
    • /
    • 2014
  • 꿀풀과에 속하는 긴병꽃풀속(Glechoma)내 5종에 대한 화판과 악편의 미세 구조를 관찰하여 기재하고 그 분류학적 유용성을 판단하였으며,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공복합체는 조사된 모든 분류군의 악편에서 분포하였으며, 공변세포의 길이는 분류군마다 다소 차이를 보였다. 긴병꽃풀속 분류군들의 화판과 악에 분포하는 모용은 5 종류(단세포 비선모, 다세포 비선모, 짧은 자루 두상 선모, 긴 자루 두상 선모, 방패형 선모)로 나타났으며, 모용의 종류, 분포, 밀도가 분류군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의한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 긴병꽃풀속은 분포지역에 따라 3개의 분계조(유럽-미국, 중국-한국, 일본)로 분리되었다.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는 G. longituba는 단계통군을 이루었고, 이탈리아의 특산종인 G. sardoa와 미국 및 유럽에 분포하는 G. hederacea는 단계통군을 형성하였다. G. hirsuta는 유럽의 분계조와 자매군 관계를 이루었으나, 일본에 분포하는 G. grandis는 나머지 분류군들의 상호 유연관계에서 통계적 지지를 얻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긴병꽃풀속내의 종간 한계 설정에 있어 화판 및 악의 미세형태형질의 연구보다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 계통학적인 연구가 유용한 방법임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본 속내 계통 분류학적인 논의를 위해서는 외부 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분석을 동시에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계통학적 유용성이 보다 높은 DNA 구간을 추가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e taxonomic consideration of floral morphology in the Persicaria sect. Cephalophilon (Polygonaceae)

  • KONG, Min-Jung;HONG, Suk-Py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85-194
    • /
    • 2018
  • A comparative floral morphological study of 19 taxa in Persicaria sect. Cephalophilon with four taxa related to Koenigia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axonomic implications. The flowers of P. sect. Cephalophilon have (four-)five-lobed tepals; five, six, or eight stamens, and one pistil with two or three styles. The size range of each floral characteristic varies according to the taxa; generally P. humilis, P. glacialis var. glacialis and Koenigia taxa have rather small floral sizes. The connate degrees of the tepal lobes and styles also vary. The tepal epidermis consists of elongated rectangular cells with variation of the anticlinal cell walls (ACWs). Two types of glandular trichomes are found. The peltate glandular trichome (PT) was observed in nearly all of the studied taxa. The PT was consistently distributed on the outer tepal of P. sect. Cephalophilon, while Koenigia taxa and P. glacialis var. glacialis had this type of trichome on both sides of the tepal. P. criopolitana had only long-stalked pilate-glandular trichomes (LT) on the outer tepal. The nectary is distributed on the basal part of the inner tepal, with three possible shapes: dome-like, elongated, and disc-like nectary. The nectaries are always accompanied by elongated or spheroidal papillae. Various combinations of floral characters (e.g., the numbers of stamens and styles, the stigma shape, the nectary shape, ACWs, cuticular striation and the trichome type and distribution) of P. sect. Cephalophilon are useful when attempting to recognize the infrasectional levels of P. sect. Cephalophilon recently proposed. Here, we describe the floral characteristics in detail and discuss the taxonomic significance of the floral characters.

눈개승마속(장미과)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 및 분류학적 유용성 (The taxonomic implication of leaf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genus Aruncus (Rosaceae))

  • 옥민경;송준호;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43-152
    • /
    • 2018
  • 눈개승마속 2종 5변종등 7분류군의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기재하였다. 본 속에 속하는 모든 분류군에서 기공복합체(stomatal complex)는 배축면에만 기공이 존재하는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이었으며, 표피세포는 양면 모두에서 동일하게 파상형(undulate)의 수층벽(anticlinal wall), 매끈하고, 편평한 병층벽(periclinal wall)이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크기는 $8.95-21.97{\times}7.50-16.99{\mu}m$로 분류군마다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Aruncus dioicus var. astilboides (평균 $18.01{\times}13.47{\mu}m$)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A. gombalanus (평균 $11.11{\times}8.94{\mu}m$)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형태는 모두 불규칙형(anomocytic)으로 확인되었다. 기공의 빈도는 면적당($0.05mm^2$) 평균 27.54개로, A. gombalanus에서 가장 높은 빈도(60.4개/$0.05mm^2$), A. dioicus var. acuminatus에서 가장 낮은 빈도(11.6개/$0.05mm^2$)로 관찰되었다. 연구된 분류군에서 나타나는 모용의 종류는 크게 2종류로 짧은 자루의 두상선모(short stalked capitate glandular trichome)와 비선모(non-glandular trichomes)가 확인되었고, 비선모는 부세포(subsidiary cells)의 유무와 발달 정도에 따라 세 가지 타입으로 구별되었다. 불규칙형의 기공형태와 이면기공엽, 두상선모의 분포는 본 속을 인식하는 주요형질로 판단되었으며, 기공의 크기와 빈도, 표피세포의 미세형태, 모용의 종류와 분포양상 등은 일부 분류군을 구별하는 인식형질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잎 표피 내 다양한 미세형태학적 형질은 외부형태학적 형질과 더불어 본 속의 분류학적 개정을 위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