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lf Driving Rang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골프 연습장 환경 소음 예측 (A Prediction of Environmental Noise near Indoor Golf Driving Range)

  • 이성호;류국현;박상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II
    • /
    • pp.892-896
    • /
    • 2001
  • Recently, many indoor driving ranges are being built near residential areas because golf is one of the popular sports. Consequently, environmental noise occurs in the residential areas.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noise near the indoor golf driving range by the computer simulation(commercial software Raynoise 3.0) for various cases of noise control methods.

  • PDF

골프연습장에서 발생하는 타격소음의 평가 및 영향범위 (Evaluation and Effect Area of Hitting Noise Occurring at a Golf Driving Range)

  • 이종배;김재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1호
    • /
    • pp.1005-1012
    • /
    • 2011
  • Diverse sports are appearing due to the enhanced quality of life and improved cultural standards of the present society. In particular, as golf gains greater popularity from the public, many golf ranges are being constructed near residential areas. However, the hitting noise generated by golf disrupt the pleasant living environment of neighboring residents to generate strong disputes related with noise.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dispersion of sound pressure level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hitting noises generated in golf driving ranges and used this data to predict the range of effect through computer simulation. Thus, it is stipula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useful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plans in the future during civil complaints reported in relation to hitting noises in golf driving ranges.

골프연습장 이용고객들이 인식하는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 고객만족 및 재구매행동과의 구조적 관계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Golf Driving Range Customers, Service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Behavior)

  • 김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409-41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골프연습장 이용고객들이 인식하는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 고객만족, 재구매행동과의 구조적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도 C시, P광역시, U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골프연습장 8곳의 이용고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총 374명을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여 본 연구의 자료로 이용하였다. 조사도구는 SPSS 12.0과 AMOS 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장 서비스품질은 서비스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골프장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서비스가치는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서비스가치는 재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고객만족은 재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웹캠을 이용한 골프공 인식 및 위치추정 시스템 (The Recognition and Distance Estimation of a Golf Ball using a WebCam)

  • ;;김강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833-1840
    • /
    • 2013
  • 골프 연습장에서 골프공 수거 시에 인간보다는 로봇이 사고의 염려가 없고 경제적이어서 골프공 수거 로봇과 골프공 인식 및 위치추적 시스템 개발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 골프 연습장에서 골프공을 수거하는 로봇이 골프공을 인식하고,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 알고리즘과 시스템을 OpenCV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30-180cm 거리에 위치하는 골프공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120cm 이내에서는 87% 이상의 높은 인식률을 얻었으며, 골프공은 실제 거리의 85% 이내에 위치하였다.

Biomechanical Analysis of Golf Driver Swing Motion According to Gender

  • Bae, Kang Ho;Lee, Joong Sook;Han, Ki Hoon;Shin, Jin Hyung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biomechanical variables of golf driving motion according to gender. Method: A total of 21 healthy golfers (11 men and 10 women) who have more than 5 years of professional experience and have been registered in the Korea Golf Association was recruited. A 250-Hz 8-camera motion capture system (MX-T20, Vicon, LA, USA) was used to capture the motion trajectories of a total of 42 reflective markers attached to the golfer's body and club. Moreover, two 1,000-Hz AMTI force plates (AMTI OR6-7-400, AMTI, MA, USA) were used to measure the ground reaction forc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parameter were then calculated for both groups of 21 subjects. SPSS Windows version 23.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 alpha level of .05 was utilized in all tests.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joint angles according to gender during golf driver swing. Me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peak joint angle and maximum range of angle in sagittal and frontal axis of the pelvis, hip, and knee. Moreover, women's swing of the pelvis and hips was found to have a pattern using the peak joint angle and range of angle in the vertical axis of the pelvis and hip. There were the differences in peak joint moment according to gender during golf driver swing. Men used higher joint moment in the downswing phase than women in the extensor, abductor, and external rotator muscles of the right hip; flexor and adductor muscles of left hip joint; and flexor and extensor muscles of the right knee. Conclusion: This result reveals that male golfers conducted driver swing using stronger force of the lower body and ground reaction force based on strength of hip and thigh than female golfers.

여성골프지도자의 젠더 불평등 현실과 대안 (The Reality and Alternative of Gender Inequality to Female Golf Leader)

  • 우주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37-243
    • /
    • 2020
  • 본 연구는 채용과 승진에 있어 여성골프지도자들의 불평등한 현실을 조사하고 이를 극복 할 수 있는 대안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드라이빙레인지에 취업한 지도경력이 10년 이상 된 여성골프지도자 9명의, 심층인터뷰와 본 연구자의 참여 관찰로 이루어졌으며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을 활용하고 전문가의 협의, 삼각검증방법, 참여자들과의 재확인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여성골프지도자들은 사회적 인식과 먼저 진출한 남성골프지도자들의 네트워크에 동등한 경쟁을 할 수 없었다. 둘째, 여성골프지도자들은 한국사회에서 유교문화로 교육되어온 여성의 역할론에 충실했다. 셋째, 젠더 불평등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서 스스로 교육을 선택해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있었다. 넷째, 채용공고와 업무 표준화로 공정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선수의 비율은 곧 지도자의 비율로 이어지며 지도자의 수가 평등으로 가는 조건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골프참여자의 지도자신뢰와 운동몰입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Trust of Instructors, Exercise Flow and Psychological Happiness for Golf Participants)

  • 백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41-14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연습장 참여자를 대상으로 골프 지도자신뢰와 운동몰입 및 심리적 행복감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 이용객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자료는 SPSS 18.0, AMOS 18.0을 이용하여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골프 참여자들의 지도자신뢰는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 참여자들의 운동몰입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 참여자의 지도자신뢰는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 참여자의 지도자신뢰와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참여자들이 운동을 함에 있어 지도자신뢰가 높고 더 나아가 운동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면 삶의 질이 더욱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골프연습장 유형에 따른 서비스품질 및 선택이유와 고객만족, 충성도의 구조모형 비교 (Comparison of structure modeling with perceived service quality, reason of selection, satisfaction and loyalty of consumers by type of driving range)

  • 신민철;박근;가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490-3498
    • /
    • 2014
  •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가 지각하는 서비스기대 및 품질, 골프연습장 선택이유,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와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고자 서울시와 경기도, 부산시, 대구시, 광주시 소재 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실내 외 골프연습장의 선택이유는 고객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고객만족과 서비스기대를 통해 고객충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의 경우 실내골프연습장은 실외골프연습장과 다른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실내 외 골프연습장 모두에서 고객만족은 서비스품질과 고객충성도의 관계를 강화시켜 주는 중요한 매개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급속하게 증가하고, 다양화하는 골프연습장의 신규와 재방문을 높이기 위해서는 차별적인 서비스 제공과 운영관리 등을 통해 골프연습장의 긍정적 이미지와 충성도, 만족도 등을 창출하여야 하고, 고객만족 경영을 위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드라이버 샤프트 길이와 신체적 조건이 헤드스피드, 비거리 및 방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haft Length and Physical Condition on Golf Driving Performance according to Physical Condition)

  • 정철;김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17-22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드라이버 샤프트 길이와 신체적 조건이 헤드스피드와 비거리 및 방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핸디캡인 0인 남자 프로골퍼 27명을 대상으로 신체적인 조건은 키($170cm{\geq}170-175cm{\geq}175-180cm$)로 하였고, 연구에 사용한 드라이버 길이는 44 인치, 45 인치, 46 인치로 하였다. 골프 수행력은 헤드스피드와 비거리 및 방향성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인 헤드스피드는 44, 45인치와 46인치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비거리에서는 44인치와 46인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방향성에서는 44, 45인치와 46인치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키에 따른 헤드스피드는 170, 171-175cm에서는 클럽 간에 대동소이하였고, 176-180cm 44인치와 46인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키에 따른 비거리는 170cm에서는 클럽길이 간 대동소이하였고, 171-175cm에서는 44인치와 46인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176-180cm 45인치와 46인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키에 따른 방향성에서는 170cm에서 44인치와 45인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45, 46인치에서는 키와 상관없이 클럽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드라이버 샤프트 길이 및 키에 따른 골프 수행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납축전지 열화 예측 모델 개발 (Building battery deterioration prediction model using real field data)

  • 최근호;김건우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2호
    • /
    • pp.243-264
    • /
    • 2018
  • 현재 전세계 배터리 시장은 이차전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실제로 소비되는 배터리 중 가격 대비 성능이 좋고 재충전을 통해 다시 재사용이 가능한 납축전지(이차전지)의 소비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납축전지는 복합적 셀(cell)을 묶어 하나의 배터리를 구성하여 활용하는 배터리의 특성상 하나의 셀에서 열화가 발생하면 전체 배터리의 손상을 가져와 열화가 빨리 진행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계학습을 통한 배터리 상태 데이터를 학습하여 배터리 열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제 현장에서 배터리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센서를 골프장 카트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배터리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학습 기법을 적용한 분석을 통해 열화 전조 현상에 대한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총 16,883개의 샘플을 분석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예측 모델을 만들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의사결정나무, 로지스틱, 베이지언, 배깅, 부스팅, RandomForest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의사결정나무를 기본 알고리즘으로 사용한 배깅 모델이 89.3923%이 가장 높은 적중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날씨와 운전습관 등 배터리 열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추가적인 변수들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으나, 이는 향후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배터리 열화 예측 모델은 배터리 열화의 전조현상을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배터리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이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