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vernment fund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5초

지방자치단체 보건의료 사무의 세출예산 구성과 자체재원 비율 - 제주특별자치도 사례를 중심으로 (Proportions of non-matching fund by local governments and central government subsidies in local government health budget: focused on 2020 Jeju Self-Governing Province Budget)

  • 유혜영;정지운;박형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4호
    • /
    • pp.266-279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lassify the health and medical service affairs of local governments, and to analyze the proportions of non-matching fund by local governments and central government subsidies for local government health budget. Methods: First of all, health affairs of local governments were classified to categories based on health-related laws and previous studies by review of the authors. In order to specify the scale of local government-led health affairs, we allocated 1,916 budget units into 6 main and 24 sub categories of the health and medical service affairs of local governments for the 2020 health budge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or each categories, we compared the total amounts and the percentages of the 'central government subsidies', 'local government budget - matching fund', and 'local government budget - non-matching fund'. Results: The total health budge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ccounts for 1.2% of the total budget. Of the total health budge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proportion of central government subsidies was 39.6% and the proportions of local government budget-matching fund and non-matching fund were 33.8% and 26.6%, respectively. The proportions of non-matching fund by provincial and basic local governments were 37.3% and 19.9%, respectively. Conclusion: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s to deal with the health problems of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secure and spend more local government budget(i.e., non-matching fund by local government) for health affairs in their administrative jurisdiction.

Untact 시대의 효율적인 정부자금 지출을 위한 Consortium Blockchain과 Machine Learning 설계 (Consortium Blockchain and Machine Learning Design for Efficient Government fund expenditure in Untact Era)

  • 오락성;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78-186
    • /
    • 2021
  • COVID-19는 2019. 12. 중국에서 발생되어 전 세계로 전파되었다. COVID-19 확산으로 일상화되고 있는 Untact 문화는 사회전반으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정부는 COVID-19 등 국가 위기상황 극복을 위하여 정부자금지출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자금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정부와 정책 금융기관은 두가지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하나는 투명한 정부자금 집행 프로세스를 정립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심사과정의 객관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로부터 실수요자까지 이어지는 정부자금의 집행과정을 Consortium Blockchain으로 설계하고, 정책 금융기관의 내부 심사를 위한 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연구자료는 정부자금 집행에 대한 향후 정부정책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요인분석을 통한 지방자치단체 기금의 합리적 운용 모형 연구 (A Factor Analysis on the Rational Application Model for Local Government Fund)

  • 최락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43-15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기금에 대한 현황과 현재 기금제도가 안고 있는 운용관련 문제를 정확히 지적하고 또한 이를 바탕으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회계와 재무적 현황을 살펴보며, 지역주민과 공무원의 설문을 통해 실질적 문제점을 찾아내어 지방정부의 기금활용에 대한 합리적 모형의 구축 및 기금의 합리적 운용방안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기금제도는 급변하는 경제사회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예산회계제도가 갖는 일반회계나 특별회계제도의 경직성을 극복하고, 특정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통하여 민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기금은 일반적으로 예산회계 제도 내에서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분야에 한하여 극히 제한적으로 운용되어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기금관리 운용의 개혁은 기금제도의 폐해가 고착화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하며, 요인분석에서도 나타나듯이 기금제도의 민주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전략적 측면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정부지원 연구비와 연구성과간의 관계에서 연구비관리시스템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R&D Fund Management System between National R&D Fund and Research Performance)

  • 손충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07-117
    • /
    • 2013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보다 나은 연구성과 도출을 위해서는 양적인 지원규모의 확대와 우수한 연구인력의 확보뿐만 아니라 연구자가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연구환경의 조성도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연구비 집행과정에서 발생하는 행정업무 부담이 연구자의 연구몰입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정부는 대학 교수들의 연구비 회계관리에 대한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연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연구비 중앙관리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지원 연구비와 대학의 연구성과간의 관계에서 연구비 중앙관리제도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s)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대학의 연구비 중앙관리 수준이 높을수록 연구비가 연구성과(KCI등재 건수, SCI등재 건수, 특허출원 건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의 관점을 확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부정책의 실제적인 효과를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여성발전기금의 평가도구 개발 및 지원단체의 사업수행능력 평가에 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여성발전기금 지원사업 평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riteria to Assess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Development Fund for Women and the Organizations it Supports - focusing on the Assessment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Development Fund for Women -)

  • 이봉화;김경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27-141
    • /
    • 2006
  • This study aims to create assessment tools for the development fund for women, and to assess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s using this development fund for women on the basis of such tools. A total of 57 projects by 58 organizations were assessed for a period of eight months. The assessment was carried out by using five tools: 1) examining the weight of the assessment tools, 2) visiting and inspecting project sites, 3) visiting and inspecting the offices of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4) cooperating with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for municipal administration, and 5) assessing the final project report. Each tool was comprised of three elements: ability of relevant organizations, operational procedure, and projects results. The assessment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1.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general trends in assessing the organizations that received the Development Fund for Women, it was found that the assessment emphasized performance more than the process involved in the project. Thus,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projects should be carried out more aggressively. 2.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pability of the organizations in performing the projects with the development fund for women and the capability of the subjects as an independent variable. It was observed that such capabilities were affected by the degree of role sharing and the utilization of internal organizations. It suggested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3. To motivate the subjects involved in executing the projects with the use of the Development Fund for Women, the requirements and the satisfaction factors suggested strengthening the scope of financial support and activating the project environment.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findings would provide practical ways to improve the system in using the Development Fund for Women, and in setting relevant policies in the future.

Factors That Influence Financial Management: A Case Study in Indonesia

  • ATMADJA, Anantawikrama Tungga;SAPUTRA, Komang Adi Kurniawan;MANURUNG, Daniel T.H.;WULANDARI, Retn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6호
    • /
    • pp.1203-1211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Village Financial Management in Bali Province. Research with a quantitative approach. The research sample consisted of 87 village heads who manage village finances and are responsible for village government financial reports. The data analysis technique use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the data collection technique uses a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uality of village government (customary village and village apparatus), the capacity of village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competence of village assista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ccess of village fund management. Meanwhile, accountability does not affect the success of village fund management due to the lack of responsibility of village government officials for village financial management, which causes a negative impact on the sustainability of village governance. Empirically, the better the level of accountability, the better the success of village financial management. Other research results place the synergy of government, the capacity of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competence of village assistants as social capital, which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 of village financial management, so that it becomes the focus of the village government in implementing public services and controlling government performance,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신성장동력산업의 지속적인 육성 및 지원을 위한 펀드 운영방안의 다각화 (Diversification on Fund Management for Sustainable Growth and Support of New Growth Engine Industries)

  • 이석준;고형일;정석재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717-737
    • /
    • 2010
  • 최근 기후변화 대응 및 경제위기 극복을 위하여 세계 각국은 녹색기술 육성과 환경규제 강화를 통한 자국의 신성장엔진 창출 및 경기부양에 모든 국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이에 한국 정부도 새로운 성장동력산업의 창출 및 육성을 위해 녹색기술사업과 관련하여 미래 유망신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2009년부터 민관 공통으로 신성장동력펀드를 조성하여 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선성장동력펀드는 글로별 경제위기, 대규모 출자금액, 투자대상 기업 발굴의 어려움 등으로 민간자본 유치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에 펀드 운영 방식의 변경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성장동력펀드의 지속적인 성장 및 확대 추진을 위해 해외펀드 조성 및 운영 사례를 기반으로 신성장동력산업의 지속적인 육성 및 지원을 위한 정부지자체협력 펀드, 정부금융기관협력 인큐베이터 펀드, 정부대기업-중소기업 상생협력 펀드의 운영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신성장동력산업의 육성이라는 전략적 정책을 지원함에 있어 다양한 펀드를 제안함으로써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데 의의를 가진다.

  • PDF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콘텐츠 산업 진흥기금: 상상콘텐츠기금과 프랑스'문화세'를 중심으로 (Content Industry Support Fund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Focusing on New Content Fund in Korea and Culture Tax in France)

  • 김영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46-160
    • /
    • 2014
  • 본 연구는 2013년부터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상상콘텐츠기금 논의의 문제를 확인하고, 디지털 환경에서의 콘텐츠 진흥기금 목적 및 부담 주체를 제시하고자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프랑스의 새로운 콘텐츠 기금도입 정책과, 부가가치가 콘텐츠 유통 사업자들에게 집중되는 디지털 콘텐츠 생태계의 불균형 문제에 주목하였다. 공존과 균형을 통한 공진화는 생태계의 발전의 필수 요소인 바, 새로운 콘텐츠 기금의 목적은 '콘텐츠 생산 재원조달 활성화와 콘텐츠 산업의 디지털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기금 재원은 콘텐츠 유통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 및 스마트 기기 사업자의 역할 분담을 통해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업 및 수산업 정책금융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Financial Support for Agriculture and Fisheries)

  • 정상진
    • 수산경영론집
    • /
    • 제27권1호
    • /
    • pp.47-56
    • /
    • 1996
  • The pollution in the coastal sea is being aggravated because of frequent happening of red tide and oil leakage from tankers. The Exclusive Economic Zone is being drawn in the seas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fisheries in Korea is under a great change in their production base. On the other hand, the fisheries have been considered as a part of agriculture in policy making and financial support. The thesis compares agriculture with fisheries in the fund demands and financial supports. It tries to find a way in the efficient allocation of fund for the two industries. The fund demand of a typical fishing household is greater than that of a typical farm household. The fund used by a fishery household is more dependent on debt than that of a farm household. Therefore, the internal financing ability of a fishery household is weaker than that of a farm household. The repaying ability of a fishery household is weaker than that of a farm household because a fishery household's income is less than a farm household's. When we analyze the uses of fund, the fishing industry has some disadvantage in fund uses. The financial support for the fisheries' structural change is weaker than that for agriculture. The fishing industry has some disadvantage in the investment and subsidy rates. Also, the loan period for fisheries is shorter on average than that for agriculture. When we analyze the sources of the fund, the fisheries' banking sources are greater than the government's sources, which is relatively stable. Therefore, the fisheries will be more heavily affected by the liberalization of banking industry and system than the agriculture will. The government needs to change the shortcomings in the sources and uses of fund. First, it needs to use the fu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and producers' financing ability. Second, it needs to adjust the sources of fund to the liberalization of financial system.

  • PDF

국민연금기금 지배구조 개편 논쟁에 관한 연구 - 대리인 이론 적용 비판과 민주주의적 대안의 모색 - (A Debate on the Reform Plan of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Governance Structure - A Critique on the Appliance of the Agency Theory and a Democratic Alternative -)

  • 주은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343-368
    • /
    • 2011
  • 이 연구는 정부의 국민연금기금 지배구조 개편안을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대안적 개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우선 수익성과 금융적 전문성 강화를 기조로 하는 정부 개편안의 이론적 기반이자, 최근 들어 공적 연기금 지배구조에 관한 논의에서 주류를 이루는 대리인 이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어서 공적연기금 거버넌스에서 대리인 이론을 바로 적용하기보다는 민주주의 원칙이 핵심이 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공적 연기금 지배구조 구성 원칙을 기존과는 다른 방향에서 재구성하였다. 이런 대안적 원칙을 기반으로 정부가 내놓은 국민연금기금 지배구조 개편안을 평가하였다. 정부 개혁안은 공적연기금 지배구조의 민주주의 원칙을 후퇴시킬 뿐만 아니라, 개혁의 명분으로 내세우는 연기금의 정치적 자율성을 확보를 위해서도 결코 적절한 대안이 아니며, 금융시장으로부터의 독립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대리인 이론에 의거한 원칙들을 그대로 적용하기보다는, 민주주의 원칙에 충실한, 국가와 시민사회의 협치구조 구성을 핵심으로 하는 방향의 국민연금기금 지배구조 개편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