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Test Facility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4초

하이브리드로켓엔진 지상연소시험 설비 (Ground Firing Test Facility of Hybrid Rocket Engine)

  • 김수종;김기훈;조정태;조민경;도규성;소정수;허준영;이정표;박수향;문희장;성홍계;김진곤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1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51-254
    • /
    • 2008
  • 하이브리드 로켓엔진의 연소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시험 설비를 제작하고 지상연소시험장을 구축하였다. 연소시험장 설비는 하이브리드 로켓엔진, 추력 시험대, 산화제 저장 및 공급 장치, 제어 장치, 데이터 획득 장치로 구성되었다. 추력 50 kgf 급의 연소 시험을 수행하여 안정적으로 성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었으며, 연소시험장 설비의 작동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 PDF

75톤급 가스발생기 연소시험을 위한 시험장 개선 및 수류시험 (Rocket Engine Test Facility Improvement for Hot Firing Test of 75 ton-f Class Gas Generator and Cold Flow Test)

  • 강동혁;임병직;안규복;서성현;한영민;최환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9-33
    • /
    • 2009
  • 30톤급 가스발생기 개발 경험에서 습득된 기술을 바탕으로 75 톤급 액체로켓용 가스발생기를 개발하기 위한 소형연소시험장 개량이 이루어졌다. 개량된 시험설비는 75톤급 가스발생기 개발에 활용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획득한 자료와 개발된 시험평가 절차와 기법을 토대로 고성능 로켓엔진 개발과 실물형 시험평가 설비 개선에 활용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75톤급 가스발생기 개발을 위해 개량된 시험설비와 수류시험 결과를 제시한다.

  • PDF

액체로켓엔진 연소기 지상연소시험설비 운영관리 기술 (Operation Techniques of Liquid Rocket Engine Combustor Ground Firing Test Facility)

  • 강동혁;임병직;문일윤;서성현;한영민;최환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6년도 제2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57-162
    • /
    • 2006
  • 한국 최초의 액체로켓인 과학로켓 3호(KSR-III) 엔진 개발을 위해 로켓엔진 연소기 지상연소시험설비가 2001년도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내에 준공되었다. 본 시험설비는 준공 후 2006년 9월 현재까지 약 170회에 이르는 액체로켓엔진 연소기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설비 능력 면에서 상당한 개량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액체로켓엔진 연소기 지상연소시험설비의 개요와 수행시험, 그리고 그 동안 축적해 온 설비 운영기술에 대하여 소개한다.

  • PDF

액체로켓 연소기 지상연소시험설비 운영 및 관리 기술 (Operation and Maintenance Techniques for Liquid Rocket Combustor Ground Firing Test Facility)

  • 강동혁;임병직;문일윤;서성현;한영민;최환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3-49
    • /
    • 2007
  • 한국 최초의 액체로켓인 과학로켓 3호(KSR-III) 엔진 개발을 위해 로켓엔진 연소기 지상연소시험설비가 2001년도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내에 준공되었다. 본 시험설비는 준공 후 현재 약 170회에 이르는 액체로켓엔진 연소기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설비 능력에 대한 많은 개량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액체로켓엔진 연소기 지상연소시험설비의 개요와 수행시험, 그리고 그 동안 축적해 온 설비 운영기술에 대하여 소개한다.

극초음속 공기흡입식 추진기관 지상 시험설비의 구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personic Air-breathing Engine Ground Test Facility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 이양지;강상훈;양수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1-90
    • /
    • 2015
  • 램제트 엔진, 스크램제트 엔진과 같은 극초음속 공기흡입식 추진기관을 지상에서 시험하기 위해서는 극초음속 추진기관이 작동하는 고고도, 고 마하수 환경을 모사해야 한다. 따라서 고압, 고온 환경을 조성하여 고고도 고 마하수 환경을 지상에서 구현해야 한다. 본 논문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설계 및 제작한 극초음속 공기 흡입식 추진기관 지상 시험설비의 구성과 특성에 대하여 소개한다.

Kick Motor용 고공환경 모사 시험 설비 개발 (Develop Test Facility of High Altitude Environment for Kick Motor)

  • 김상헌;;유병일;김용욱;오승협;박정주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07-710
    • /
    • 2008
  •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thesis is the safe and economic method when testing rocket engine because ground test facility copies high altitude. We have decided to use the schematic of testing facility based on already known design method and test result, and we have decided the test condition for ground firing test of solid fuel. In addition the pressure of nozzle exit area is 0.1bar, we have designed the testing facility structure to test in this condition. Moreover, we have designed to reduce the accident probability.

  • PDF

고공시험설비에서 로켓엔진의 지상시험 플룸 거동 해석 (An Analysis on Plume Behaviour of Rocket Engine with Ground Condition at High Altitude Engine Test Facility)

  • 김성룡;이승재;한영민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2-115
    • /
    • 2017
  • 고공엔진시험설비에서 지상 시험 조건의 시험 가능 여부와 설비 안전 문제를 점검하고자 로켓 엔진 유동을 해석하였다. 진공 챔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냉각수를 초음속 디퓨저로 분사하면서 엔진이 작동하는 상황이며, 2차원 축대칭과 플룸, 공기, 냉각수의 3원 혼합물로 가정하였다. 해석 결과 냉각수 유량 200 kg/sec까지 지상 조건 시험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시동 초기 플룸의 역류로 인해 진공 챔버가 고온에 노출되고, 동시에 냉각수 역류로 인해 진공 챔버 내부가 오염되었다. 따라서 충분한 단열 대책과 오염 회피를 위한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 PDF

축열식 가열기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Manufacture of Storage Air Heater)

  • 이양지;강상훈;박부민;양수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6년도 제2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3-46
    • /
    • 2006
  • 축열식 가열기는 주로 초음속 지상추진 시험설비의 고고도 조건 모사를 위하여 구축되는 장비로 이외에도 로켓 엔진 노즐의 추력 보정시험, 가스터빈 엔진 연소기 모사시험에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축열식 가열시스템은 마하 $2{\sim}5$, 고도 $0{\sim}25km$의 범위에서 구동하는 초음속 지상추진시험설비의 전온도 모사를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최고 모사 온도 1,300 K, 최고 가압압력 3.5 MPa의 성능을 낸다. 본 논문에는 본 원에서 구축한 축열식 가열기의 목표로 한 일본 JAXA RJTF에 구축되어있는 축열식 가열기에 대하여 정리하도록 한다.

  • PDF

지상연소시험설비의 제어시스템 구축 방안 (A Construction Scheme of Control System in a Ground Hot-firing Test Facility)

  • 이광진;김지훈;김승한;한영민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2년도 제3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68-471
    • /
    • 2012
  • 본 논문은 우주발사체에 사용되는 추진기관의 성능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지상연소시험설비의 이중화 또는 삼중화 제어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다루고 있다. 이중화된 제어시스템의 경우 수동제어 콘솔을 설치하여 삼중화 제어시스템을 모사할 수 있었고, 운용자들의 무분별한 조작을 통제하기 위한 제어실 내 제어 콘솔의 배치 안을 제시하였다.

  • PDF

태양열 시설원예 난방시스템 장기실증 성능분석 연구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long-term field test for protected horticulture heating system using solar thermal energy)

  • 이상남;강용혁;유창균;김진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3-407
    • /
    • 2005
  •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demonstrate solar thermal space and ground heating system which is integrated to a greenhouse culture facility for reducing heating cost, increasing the value of product by environment control, and developing advanced culture technology by deploying solar thermal system. Field test for the demonstration was carried out in horticulture complex in Jeju Island. Medium scale solar hot water system was installed in a ground heating culture facility. Reliability and economic aspect of the system which was operated complementary with thermal storage and solar hot water generation were analyzed by investigating collector efficiency, operation performance, and control features. Short term day test on element performance and Long term test of the whole system were carried out. Optimum operating condition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closely investigated by changing the control condition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operating parameter. For establishing more reliable and optimal design data regarding system scale and operation condition, continuous operation and monitoring on the system need to be further carried out. However, it is expected that, in high-insolation areas where large-scale ground storage is adaptable, solar system demonstrated in the research could be economically competitive and promisingly disseminate over various application ar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