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water flow rate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7초

제주도 표선유역의 물수지 평가를 위한 지하수 유동 모델링 (Groundwater Modeling for Estimating Water Balance over Pyosun Watershed in Jeju Island)

  • 송성호;이규상;안중기;전선금;이명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95-504
    • /
    • 2015
  • To estimate water balance of Pyosun watershed in Jeju Island, a three-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model MODFLOW was applied. Moreover, the accuracy of groundwater flow modeling was evaluat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recharge rate by flow modeling and the existing one from water balance model. The modeling result under the steady-state condition indicates that groundwater flow direction was from Mt. Halla to the South Sea and groundwater gradient was gradually lowered depending on the elevation. Annual recharge rate by the groundwater flow modeling in Pyosun watershed was calculated to 236 million $m^3/year$ and it was found to be very low as compared to the recharge rate 238 million $m^3/year$ by the existing water balance model. Therefore, groundwater flow modeling turned out to be useful to estimate the recharge rate in Pyosun watershed and it would be available to make groundwater management policy for watershed in the future.

터널 건설에 따른 지하수-지표수 상호 작용 및 영향에 관한 연구

  • 김태희;김영식;하규철;김구영;고동찬;양인제;홍순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839-846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evaluation of the tunneling effect on the groundwater-surface water interaction. The designed tunnel line is laid beneath the Gapo-cheon, which runs throughout study area. And, the pre-evaluation of the tunnel-influence on the Gapo-cheon is urgently needed.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out the similar domestic and/or foreign cases. In this study, we would exclude the numerical modeling technique with insufficient data. Instead of the evaluation of the tunneling effect on the groundwater-surface water interaction with the numerical modeling, we monitored the flow rate of surface water at various point. We measured the flow rate of surface water at 5 points. With the results of surface flow, we can conclude that 39% of flow rate in Gapo-cheon is contributed by the groundwater discharge, as baseflow.

  • PDF

통계적 접근법에 의한 불연속암반의 지하수 유동해석 (Groundwaterflow analysis of discontinuous rock mass with probabilistic approach)

  • 장현익;장근무;이정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6권1호
    • /
    • pp.30-38
    • /
    • 1996
  • A two dimensional analysis program for groundwater flow in fractured network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discontinuity characteristics on groundwater flow. This program involves the generation of discontinuities and also connectivity analysis. The discontinuities were generated by the probabilistic density function(P.D.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continuities. And the fracture network model was completed through the connectivity analysis. This program also involves the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through the discontinuity network. The result of numerical experiment shows that the equivalent hydraulic conductivity increased and became closer to isotropic as the density and trace length increased. And hydraulic head decreased along the fracture zone because of much water-flow. The grouting increased the groundwater head around cavern. An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through discontinuity network was performed around underground oil storage cavern which is now under construction. The probabilistic density functions(P.D.F) were obtained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discontinuity trace map. When the anisotropic hydraulic conductivity is used, the flow rate into the cavern was below the acceptable value to maintain the hydraulic containment. But when the isotropic hydraulic conductivity is used, the flow rate was above the acceptable value.

  • PDF

도시화(都市化)에 의한 지하수환경(地下水環境)의 변화(變化) (Environmental Change of Groundwater due to Urbanization)

  • 김수원;배상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9-77
    • /
    • 1996
  • To evaluate the change of the groundwater flow and the water table response resulting from urbanization, two cases of the transient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Variations of the groundwater flow system caused by withdrawals were analyzed. Two cases of infiltration rates were appli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water table changes. One is the rate under the circumstance during 1994 and the other is the revised rate. The numerical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groundwater flow was influenced by human impacts. Groundwater flow has been concentrated to Taegu Textile Complex area where had large amount of pumping. Water table so far decreased -2.76m a year due to withdrawals. Water tables of many points were increased more than 30cm when the surface was reformed by infiltrating the rainfall. It was appeared that the improvement of surface to recharge the precipitation was very important to preserve and manage for the groundwater.

  • PDF

터널굴착 중 지하수위 강하 및 깊이별 투수계수 변화를 적용한 지하수 유입량 변화 분석 (Assessment of groundwater inflow rate into a tunnel considering groundwater level drawdown and permeability reduction with depth)

  • 문준식;쩡안치;장서용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09-120
    • /
    • 2017
  • 터널 내 지하수 침투는 터널붕괴와 그에 따른 지반침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터널굴착 중 시간에 따른 지하수 침투량과 간극수압 변화를 적절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무에서는 균질한 지반조건으로 가정하는 Goodman의 산정법을 사용하여 지하수 침투량을 계산하지만, 터널굴착 중 지하수위 강하와 깊이에 따른 투수계수 변화를 고려하지 않아 설계단계에서 지하수 유입량을 과다하게 산정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강하 및 깊이별 투수계수의 감소를 적용한 매개변수분석을 통해 지하수 유입량 변화를 분석 비교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지하수 침투량 변화와 지하수위 및 간극수압 분포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비정상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지하수 변동자료와 모델링을 이용한 직리터널의 지하수 유출량 평가 (Estimation of Groundwater Flow Rate into Jikri Tunnel Using Groundwater Fluctuation Data and Modeling)

  • 이정환;함세영;정재열;정재형;김남훈;김기석;전항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5호
    • /
    • pp.29-40
    • /
    • 2009
  • 일반적으로 균열 암반 내 지하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터널 굴착과 지하 동굴 건설시 중요한 사안이다. 이런 경우에 굴착이전부터 굴착완료까지의 시추공 자료는 균열암반 내 지하수 유동 변화를 고찰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 그러나 충분한 시추공 자료가 여의치 않은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경기도 광주시 직리터널 지역에 대해 수리상수, 터널 굴착 후기의 지하수 모니터링 자료, 국가지하수관측망 자료, 전기비저항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직리터널 건설로 인한 지하수 유출량을 평가하였다. 해석학적 방법에 의해 계산된 지하수 유출량은 $7.12{\sim}74.4\;m^3/day/m$이었으며, 수치 모델링을 이용하여 산출된 지하수 유출량은 $64.8\;m^3/day/m$이다. 두가지 모델을 비교할 때, 수치 모델링에서는 공간적인 수리상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반면에 해석학적 방법으로는 이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치 모델링에 의한 지하수 유출량이 더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수치 모델링에 의하면 터널 건설이 완료되고 약 1년 후에는 하강되었던 지하수위가 터널 굴착이전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모사되었다.

단열암반내 터널 굴착에 따른 지하수유출 및 주변지역의 지하수위 하강예측 모델링 (Modeling on the Prediction of Flow Rate and Groundwater Level Drawdown Associated with Tunnel Excation in Fractured rock)

  • 이병대;성익환;정찬호;김용제
    • 지질공학
    • /
    • 제15권3호
    • /
    • pp.289-301
    • /
    • 2005
  • 단열암반내 터 널 굴착에 따른 지하수 유출로 인하여 하강되었던 주변 지역의 초기지하수위 하강 값을 예측하였고, 또한 향후 굴착될 터널 구간에 대해서 발생할 수 있는 지하수 유출량과 지하수위 하강을 예측하였다. 이미 굴착된 터널 주변 지역의 초기 지하수위 하강은 해석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예측하였고, 향후 굴착될 터널에 대해서는 수치 모델링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해석적인 방법에서 초기 지하수위는 15.3m까지 하강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수치 모델링에서 터널 컨덕턴스 값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터널 내로의 지하수 유출은 $1,870m^3/day$ 유출되는 것으로, 주변 지역의 지하수위는 $5\sim35m$하강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리고 컨덕턴스가 $50\%$ 증가할 경우 지하수 유출량은 $2,518m^3/day$, 지하수위는 $5\sim35m$ 하강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컨덕턴스가 $50\%$ 감소시에는 지하수 유출량은 $1,273m^3/day$, 지하수위는 $2\sim12m$하강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Transient Groundwater Flow Modeling in Coastal Aquifer

  • 이은희;현윤정;이강근;박병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93-297
    • /
    • 2006
  •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and the interface between seawater and freshwater in an unconfined coastal aquifer was evaluated by numerical modeling. A two-dimensional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aquifer was constructed. Coupled flow and salinity transport modeling were peformed by using a numerical code FEFLOW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groundwater flow and salinity transport in coastal aquifer with hydraulic condition such as the magnitude of recharge flux, hydraulic conductivity. Especially, transient simulation considering tidal effect and seasonal change of recharge rate was simulat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quasi-steady state and transient state. Results show that SGD flux is in proportion to the recharge rate and hydraulic conductivity,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seawater and the freshwater shows somewhat retreat toward the seaside as recharge flux increases. Considered tidal effect, SGD flux and flow directions are affected by continuous change of the sea level and the interface shows more dispersed pattern affected by velocity variation. The cases which represent variable daily recharge rate instead of annual average value also shows remarkably different result from the quasi-steady case, implying the importance of transient state simulation.

  • PDF

영천댐 도수로터널내 지하수 유출구간의 불연속성 단열 특성 및 단열 프랙탈 차원 (Discontinuous Fracture Characteristics and Fractal Dimensions of Groundwater Flow Section in Youngchun Waterway Tunnel)

  • 이병대;추창오;이인호;정교철;함세영;조병욱
    • 지질공학
    • /
    • 제12권3호
    • /
    • pp.333-344
    • /
    • 2002
  • 영천댐 도수로터널 내의 지하수 유출량이 단열면의 통계적인 분포 특성에 어느 정도 지배받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하수 유출구간에 분포하는 단열의 기하학적 매개변수의 분포특성 및 단열 프랙탈 차원과 지하수 유출량과의 상관성을 규명하려고 시도하였다. 전체 구간을 통하여 단층구조에서의 유출량은 84,465m$^3$/day 로 전체 유출량의 70%, 절리구조에서의 유출량은 36,525m$^3$/day 로 전체 유출량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로써 단층이 연구지역 터널내의 지하수 유출을 지배하는 주된 지질구조임을 알 수 있다. 터널내의 유출량과 암석 구간별 단열 프랙탈 차원과의 관련성은 퇴적암 구간인 NATM 전 구간에서 프랙탈 차원이 증가함에 따라 유출량이 증가하였다. 단열특성에 따른 프랙탈 차원과 유출량의 관계는 절리 구간에서보다 단층 구간에서 더욱 정비례 관계를 보이고 있다.

지하수 포화 석회석 채굴공동에서의 골재 충전 및 임시배수시 발생하는 지하수 유동 평가 (Evaluation of Groundwater Flow by Gravel-Filling and Temporary Drainage in Groundwater-saturated Limestone Mine Cavities)

  • 최우석;강병천;김은섭;신동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7권4호
    • /
    • pp.205-216
    • /
    • 2017
  • 지하수위 변동은 석회석 폐광산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의 주된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로 포화된 석회석 채굴공동에서 발생하는 지하수 유동을 자연상태와 골재 충전, 임시배수로 구분하여 지반 안정성에 미칠 영향을 3차원 지하수 유동 해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해석 결과 골재 충전시 지반 및 소류지의 지하수위가 상승하였지만 강우나 소류지 농업용수 사용으로 발생하는 수위차 보다 작고 유속 또한 자연상태의 유속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임시배수시에는 지반 및 소류지의 지하수위가 급격하게 하강하고 공동 내 유속이 최대 25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반침하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