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gija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7초

구기자 가공품의 생리기능성 및 항고혈압 활성 검증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Gugija Products and an In Vivo Examination on Anti-hypertension Effects)

  • 이지수;박영춘;백승우;이석수;안용근;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5-120
    • /
    • 2008
  • To develop a new Gugija(Lycium chinensis Mill) product having increased value,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various commercial Gugija product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an in vivo study was performed using spontaneous hypertensive rats(SHR) to examine the anti-hypertension effects of products. The results showed that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st in the methanol extract of Gugija leaf pickle(97.7%), and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activity was 80.4% in Gugija doenjang(soybean paste) water extract. Anti-cholesterolemia HMG-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st in the methanol extract of Gugija rice cake(66.1 %). However, SOD-like activity was below 30% in most products; and fibrinolytic activity was not detected or was very weak. Ultimately, we selected Gugija tea and Gugija wine as superior anti-hypertensive Gugija products, and subsequent in vivo testing was performed using SHR, comparing the tea and wine to Gugija fruit. Among them, the Gugija fruit demonstrated the best anti-hypertension effects in SHR.

구기자를 이용한 전통주의 제조 및 생리 기능성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Wine by Using Gugija (Lycii fructus))

  • 이대형;박원종;이봉춘;이주찬;이대형;이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89-794
    • /
    • 2005
  • 구기자(Lycii fructus)를 이용한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전통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구기자 열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구기자 전통주에 지골피, 두충, 감초와 민들레를 0.1%-3.0%까지 각각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발효주를 제조한 후 에탄올 생성량과 기호도를 측정하였다. 구기자 전통주에 지골피 0.1%, 두충 0.1%, 감초와 민들레 각각 1.0%를 덧밥에 첨가하여 발효시켰을 때 에탄올이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전체적인 기호도도 우수하였다. 여기에 구기자 잎을 0.1%, 0.5%, 1.0%씩 각각 첨가하여 구기자 전통주를 제조한 후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구기자 잎을 0.1% 첨가하여 제조한 전통주가 기호도가 제일 높았고 항고혈압 활성을 나타내는 ACE 저해활성도 68.5%로 비교적 우수하였다.

구기자를 첨가한 드레싱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Dressing made with gugija(Lycium chinense))

  • 양정수;김현아;송청락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9-71
    • /
    • 2015
  • 본 연구는 구기자 추출물을 첨가하여 한국 사람의 기호에 부합하는 마요네즈, 요거트, 이탈리아 드레싱을 개발하고자 한다. 구기자 추출물 10%, 15% 그리고 20%를 첨가하여 드레싱을 만들고 드레싱의 수분 함량, pH, 색, 점도,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 함량은 구기자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당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드레싱의 pH는 구기자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구기자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드레싱의 명도는 대조군보다 낮아졌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아졌다. 드레싱의 점도는 대조군에 비해 구기자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마요네즈 드레싱은 구기자 추출물이 20% 첨가된 MC3가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요거트 드레싱도 구기자 추출물이 20% 첨가된 YL3가 가장 선호되었다. 이탈리아 드레싱도 구기자 추출물이 20% 첨가된 GL3가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드레싱에 구기자 추출물을 첨가할 경우 드레싱의 색,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구기자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선호됨을 알 수 있었고 한약재가 첨가된 건강한 드레싱의 개발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구기자생과를 이용한 구기자청 제조시 당첨가량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dded Sugar Ratio on Gugija-Sugar Leaching by Using Gugija (Lycii fructus) Raw Fruit)

  • 이가순;김관후;김현호;이희철;백승우;이석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44-751
    • /
    • 2008
  • 생구기자를 수확 후 건조하지 않고 바로 가공용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데치기 처리 유무에 따라 저온($5^{\circ}C$)에서 5개월간 당침 숙성하여 구기자청을 만든 후, 첨가당량에 따른 구기자청 제조 시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데치기 처리를 하지 않은 구기자청에서 구기자에 대하여 첨가당량이 80%일 때, 77.5%의 회수율로 가장 높았다. 색도에서는 당첨 가량이 많을수록 L값(밝기)이 증가하였으며 pH는 첨가당량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총산도는 첨가당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다. 생구기자 장명의 주된 유기산은 tartar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로 각각 0.63, 0.57, 0.54 및 0.3%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구기자청 제조 시 당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itric acid와 succinic acid는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tartaric acid와 malic acid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특히 malic acid가 눈에 띄게 증가하여 UPRGSL-4(당 80% 첨가 구기자청)에서 가장 높았다. 폴리페놀성 물질과 베타인 함량은 데치기 처리를 하지 않은 구기자청에서는 당첨가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으나 사용된 생구기자량과 비교해보면 거의 같은 수준으로 함유하고 있었으며, 데치기 처리를 행한 구기자청은 당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베타인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80%와 100% 당첨가 청액에서는 정량되지 않았다. 생구기자의 유리아미노산은 총 15종이 검출되었으며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serine으로 218.1 mg/100 g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이 601.6 mg/100 g이었다. 데치기 처리를 한 구기자청(PRGSL-4)은 총 6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지 않아 총량이 383.3 mg/100 g으로 약 반량이 감소되었고, 데치기 처리를 하지 않은 구기자청(UPRGSL-4)은 17종 모두 검량되었고 생구기자보다 약간 높은 함량을 보여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이 705.7 mg/100 g이었다.

구기자 침출액을 첨가한 녹두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mook Added with Gugija (Lycii fructus) Infusion)

  • 김애정;정진주;이명숙;주나미;정은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8권3호
    • /
    • pp.213-221
    • /
    • 2012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mook prepared with five different levels (0, 5, 10, 15, and 20%) of Gugija (Lycii fructus) infusion. We analyzed Hunter's color values, pH, texture characteristics, and perfomed sensory evaluation of mungbeanmook prepared with Gugija infusion. The pH levels of mungbeanmook ranged between 5.45 and 6.12 an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s Gugija infusion concentration increased, the color lightness "L" value decreased, whereas redness color "a" value and yellowness color "b" values increased (P<0.05). With regard to mechanical texture properties of the mungbeanmook samples, as the Gugija infusion concentration increased, the scores of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all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ringiness or cohesiveness.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score of the LFLT10 sample (10% Gugija infu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s in terms of taste,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quality (P<0.05). Taken together, the recommended optimum level of Gugija infusion in mungbeanmook is 10% for sensory evaluation. Gugija infusion can be a useful approach to improving quality of mungbeenmook as a functional food.

Saccharomyces cerevisiae C-2로 제조한 구기자-맥문동 막걸리의 저장 중 품질특성의 변화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Gugija-Liriope tuber Makgeolli Mad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C-2)

  • 백승예;남윤규;주정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2-125
    • /
    • 2011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helf-life of Gugija-Liriope tuber raw makgeolli. After we prepared Gugija-Liriope tuber raw makgeolli by using Gugija, Liriope tuber, nuruk, cooked rice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C-2, changes of its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storage at $4^{\circ}C$ and $20^{\circ}C$. Ethanol contents was decreased from 8.3% to 7.2% for storage of 9 days at $4^{\circ}C$ and 6 days storage at $20^{\circ}C$, respectively.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Gugija-Liriope tuber makgeolli was increased from 63.1% to 66.0% after storage for 9 days at $4^{\circ}C$. Total acceptability of 9 days storage makgeolli at $4^{\circ}C$ was still good. In conclusion, shelf-life of Gugija-Liriope tuber raw makgeolli was 9 days at $4^{\circ}C$ in this respect of ethanol contents, antihypertensive action and total acceptability.

구기자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ugija (Lycii fructus) Extracts)

  • 손희경;이영상;박영현;김미정;이경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05-911
    • /
    • 2008
  • 물, 50% 에탄올, 100% 에탄올로 추출한 건조 구기자 및 볶은 구기자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추출수율은 물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건조 구기자보다 볶은 구기자의 추출물의 추출수율이 높았다. 건조 구기자 및 볶은 구기자의 pH는 10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50% 에탄올 추출물, 물 추출물 순으로 낮아졌고 볶은 구기자의 추출물이 건조 구기자의 추출물에 비해 낮은 pH를 나타내었다. 건조 구기자 및 볶은 구기자의 추출물의 당도는 각각 $15.0{\sim}20.1\;%Brix$, $18.0{\sim}21.2\;%Brix$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건조 구기자의 추출물이 $6.9{\sim}19.0\;mg/g$, 볶은 구기자의 추출물이 $12.4{\sim}15.8\;mg/g$이었고 건조 구기자의 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이 가장 높았으며 50% 또는 10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볶은 구기자가 더 높았다. 건조 구기자 추출물 및 볶은 구기자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67.6{\sim}87.7%$, $84.7{\sim}89.8%$이었고, 총항산화능은 각각 $58.6{\sim}85.0%$, $80.6{\sim}83.7%$이었다. 건조구기자는 물 추출물이, 볶은 구기자는 50% 또는 100% 에탄올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전자공여능과 총 항산화능이 높았다. 건조 구기자 추출물과 볶은 구기자의 추출물에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Thr이었으며 총 아미노산 중 필수 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44.9{\sim}63.6%$, $45.4{\sim}59.0%$이었다. 따라서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을 고려한다면 건조 구기자와 볶은 구기자의 추출물 제조에 적합한 추출용매는 각각 물, 50% 또는 100% 에탄올로 생각된다.

전통 구기자 탁주의 제조 및 품질 특성 (Manufactur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Gugija(Lycii fructus) Tagju)

  • 송정화;이지수;이은나;이승환;김재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6-91
    • /
    • 2009
  • To develop a new traditional Gugija tagju, various koji were prepared using several starch sources along with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 and then their effects on the quality of the tagju were investigated. Ethanol contents(11.1${\sim}$13.8%)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ugija tagju made from the various types of koji, whereas the tagju made using non-glutinous rice koji had the best total acceptability. The addition of 1% Gugija extracts into the mash increased its total acceptability and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inhibitory activity, and the optimal fermentation period for brewing the Gugija tagju was 10 days.

구기자 추출물 제조 시 백삼 및 홍삼 첨가에 의한 항산화활성 및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에 대한 저해활성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Inhibi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by Lycii fructus Extracts Prepared by Adding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 성봉재;김선익;지무근;김수동;권아름;김현호;원준연;이가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70-381
    • /
    • 2018
  • Background: To enhance the taste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ycii fructus (Gugija) extracts,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ugija extracts caused by adding white ginseng (WG) and red ginseng (RG) Methods and Results: Gugija extracts, including 10G10, 10GW-G8 : 2, -G6 : 4, -G4 : 6, -G2 : 8, and -G0 (mixtures made by replacing 0, 20, 40, 60, 80, and 100% of Gugija with WG), as well as 10G10, 10GR-G8 : 2, -G6 : 4, -G4 : 6, -G2 : 8, and -G0 (mixture made by replacing 0, 20, 40, 60, 80, and 100% of Gugija with RG) were extracted with water at 10 times the respective mixture's volum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Gugija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assessing their 1,1-diphenyl-2-picr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FRAP)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As the amount of WG added increased,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ctivity of the Gugija extract decreased.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value of 10G10, 10GW-G6 : 4, 10GR-G6 : 4, and 10GR-G0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25.50{\pm}1.04$, $52.06{\pm}1.46$, $16.87{\pm}1.24$, and $9.50{\pm}0.16{\mu}{\ell}/m{\el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Gugija extract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increasing amounts of RG. However, ACE inhibitory activity was the highest ($50.25{\pm}2.58%$) in the Gugija 10-fold extract without any added RG. Conclusions: From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that adding RG to Gugija extracts increase their antioxidant, FRAP,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구기자-맥문동 전통주 제조용 진균 발효제와 알콜발효 효모의 선발 및 최적 발효조건 (Screening of Fungal Nuruk and Yeast for Brewing of Gugija-Liriope tuber Traditional Rice Wine and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

  • 송정화;백승예;이대형;정재홍;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8-84
    • /
    • 2011
  • 구기자와 맥문동을 이용하여 새로운 생리기능성 전통주를 개발하고자 항고혈압 활성이 보고된 구기자 3품종과 항통풍성을 가진 맥문동 2품종과 시판 Saccharomyces cerevisiae 3종류와 시판 2종류의 발효제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구기자-맥문동 전통주 제조에 적합한 알콜 발효 효모로 Saccharomyces cerevisiae C-2와 당화효소를 생성하는 진균 발효제로 SJ누룩을 최종 선발 하였다. 또한 이들을 이용한 발효 최적조건으로 구기자-맥문동 첨가량과 발효 최적시간 등을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장명 구기자와 맥문동 1호를 덧밥에 각각 3%씩 첨가하고 Saccharomyces cerevisiae C-2와 SJ 누룩으로 $25^{\circ}C$에서 5일간 발효시켜 고품질의 기호도가 높고 항고혈압 활성과 항통풍성을 가진 새로운 구기자-맥문동 전통주를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