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BcAg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3초

The Expression of Codon Optimised Hepatitis B Core Antigen (HBcAg) of Subgenotype B3 Open Reading Frame in Lactococcus lactis

  • Mustopa, Apon Zaenal;Wijaya, Sri Kartika;Ningrum, Ratih Asmana;Agustiyanti, Dian Fitria;Triratna, Lita;Alfisyahrin, Wida Nurul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49-458
    • /
    • 2019
  • Hepatitis B treatments using immune therapy are gaining interest because of the improvements in dendritic cell performance for antigen presentation, which induces an appropriate immune response and raises patient survival rates. This research aims to produce a significant amount of the HBcAg antigen, which can induce an immune response and have a curative effect on HBV infection. In this study, the HBV subgenotype B3 of the HBcAg gene was used, which is dominant in Indonesia. Further, Lactococcus lactis bacteria was used as the host because of its safety and tightly regulated protein expression. The codon usage for the HBcAg gene was optimized to improve protein expression in L. lactis, which is important because a codon is not random between species. The HBcAg gene is attached to a pNZ8148 plasmid and transformed into the L. lactis NZ3900 expression host. The results confirm that a positive protein band (21 kDa) in two fractions of purified HBcAg was recognized by both western blotting and dot blot hybridization, even if the HBcAg optimized codon has higher GC contents than that suggested for L. lactis expression. Overall, this research strengthens the broad use of L. lactis bacteria for any protein expression, including higher protein expression of codon optimized HBcAg gene compared to non-optimized genes. Furthermore, the improvement in the codon optimization of the HBcAg gene significantly increases the total protein expression by 10-20%, and the expression level of the codon optimized HBcAg increases 1.5 to 3.2-times that of the native HBcAg.

대장균에서 한국형 B형 간염바이러스 내면항원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Hepatitis B Viral Core Antigen Gene in Excherichia coli)

  • 최수근;이원상;김성기;노현모
    • 미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0-84
    • /
    • 1991
  • We cloned and expressed hepatitis B viral core antigen (HBcAg) gene in E. coli using $P_{L}$ promoter system. For optimal expression of the gene, we undertook the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distance between Shine-Dalgarno (SD) sequence and start codon, copy number of repressor gene, induction temperature, and the stability of the core antige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nduction at 37.deg.C was more efficient than at 42.deg.C, and the 11 base pairs (bp) distance between SD sequence and start codon of HBcAg gene was more efficient than the 15 bp distance in E. coli. The copy number of cI857 repressor gene did not influence on the expression of HBcAg, and the expression level of HBcAg in mutant type (low protease activity) and wild type strains was almost the same. The produced core antigen appeared to be HBcAg not HBeAg judged by two different radioimmunoassat (RIA) kits.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antigen was stable in E. coli.i.

  • PDF

적혈구 농축제재에서 HBV DNA의 노출정도 (Prevalence of HBV DNA in Packed Red Blood Cells)

  • 이채훈;김정숙;송달효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339-346
    • /
    • 1995
  • 수혈 후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현재 적십자 혈액원에서 공급되는 적혈구 농축제재를 대상으로 HBV DNA, HBsAg, anti-HBs 및 anti-HBc를 측정 하여 수혈자에서 HBV DNA의 노출정도와 HBV DNA와 B형 바이러스 간염의 혈청학적 표지자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구 적십자 혈액원에서 공급되는 적혈구 농축제재에서는 HBsAg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HBV DNA는 0.6%에서 검출되었는데, 모두 anti-HBc만 양성인 경우였다. Anti-HBc양성률은 37%였으며, 이들중 65.8%에서 anti-HBs도 양성으로 나타나 anti-HBc만 양성인 경우는 공혈혈액의 13.0% 정도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anti-HBc양성률이 높은 지역에서는 anti-HBs를 추가하는 경우 13%의 혈액제제만을 폐기함으로써 HBV DNA의 전파를 차단시킬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현재 실시하고 있는 검사보다 예민도와 특이도가 높은 선별검사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돌연변이 내면항원의 발현 및 분비 (Expression and Secretion of Hepatitis B Viral Mutant Core Antigen)

  • 김용석;김성기;노현모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9-175
    • /
    • 1989
  • 포유동물 세포내에서 간염 바이러스의 내면항원의 발현과 전위내면 항원(precore) 부위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고등동물세포 발현용 벡터에 전위내면항원 부위를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내면항원 유전자를 클로닝 하여 COS 세포내에서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전위내면항원 부위를 포함한 내면항원 유전자를 갖는 플라스미드로감염시킨 COS 세포는 항원들이 세포추출물과 배양액에서 검출되었다. 분비된 항원의 증가율은 감염후 2일과 3일 사이가 가장 높았고, 부분결실된 제조합 플라스미드 중 내면항원의 ATG codon에서 180bp 떨어진 것이 가장 발현이 잘 되었다. 전위내면항원을 갖지 않거나 하나의 염기가 첨가되어 변형된 전위내면항원을 갖는 제조합 플라스미드의 경우 항원들이 세포 추출물에서만 검출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전이내면항원 부위가 HBe 항원의 분비에 관여 한다는 경우 항원들이 세포 그러나 대장균이나 효모 세포의 경우는 전위내면항원의 존재와 상관없이 항상 세포추출물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이들 세포의 경우에서는 전위내면항원 부위가 HBe 항원의 분비에 영향을 줄 수 없음을 의미한다.

  • PDF

효모에서 B형 간염바이러스의 내면항원의 발현과 분비에 미치는 전위내면항원의 역할 (Role of pre-C Region in the Expression and Secretion of Hepatitis B Viral Core Antigen in Yeast)

  • 신상훈;김성기;노현모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
    • /
    • 1990
  • B형 간염바이러스($\alpha$dr 형)의 내면항원(HBcAg) 유전자는 두개의 단백질 합성시작 유전자 암호 ATG를 갖는다. 하나는 전위내 면항원을 다른 하나는 내면항원 유전자들 위한 ATG 부호이다. 내연항원의 발현과 전위내면항원의 역할을 연구한기 위하여 전위내면 항왼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과 포함하지 않는 내연항원 유전자를 효모발현 운반체에 클j료녕 하였다. 또한 내면항원의 발현에 5 upstream 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5’ 제거툴연변이체를 클로닝하였다. 앞에서 만들어진 플라스미드로 여러 효모 균주을 형질전환시킨 후 발헨된 내면항원과 그와 관련된 항원 HBeAg을 방사면역측정법 으로 확인하였다. 효모에서 내면항원 발현의 최적조건 허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항원은 PGK promoter 와 terminator에 내연향원 올 포함한 pGKHBc를 가진 SHY4에서 검출되었다. 전위내면부위의 존재와 우관하게 내면항원은 배양액에서는 검출되지 않고 세포내에서만 검출되었다. 이 결과는 전위내면항원이 효모 내에서 내연항왼의 분비에 영향올 주지않음을 의미한다.

  • PDF

A Preparative Purification Process for Recombinant Hepatitis B Core Antigen Using Online Capture by Expanded Bed Adsorption Followed by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 Ho, Chin Woi;Tan, Wen Siang;Chong, Fui Chin;Ling, Tau Chuan;Tey, Beng T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4호
    • /
    • pp.416-423
    • /
    • 2009
  • Hepatitis B core antigen(HBcAg) is an important serological marker used in the diagnosis of hepatitis B virus(HBV) infections. In the current study, a fast and efficient preparative purification protocol for truncated HBcAg from Escherichia coli disruptate was developed. The recombinant HBcAg was first captured by anion exchange expanded bed adsorption chromatography integrated with a cell disruption process. This online capture process has shortened the process time and eliminated the "hold-up" period that may be detrimental to the quality of target protein. The eluted product from the expanded bed adsorption chromatography was subsequently purified using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novel purification protocol achieved a recovery yield of 45.1% with a product purity of 88.2%, which corresponds to a purification factor of 4.5. The recovered HBcAg is still biologically active as shown by ELISA test.

B형간염바이러스 및 C형간염바이러스의 표식자 양성율과 원발성 간세포 암의 연관성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A Case-Control Study on Association Between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Infection of Hepatitis B and Hepatitis C Virus)

  • 안형식;김민호;김영식;김정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1호
    • /
    • pp.1-15
    • /
    • 1997
  •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epatocellular carcinema(HCC) and infection of hepatitis B virus(HBV) and hepatitis C virus(HCV) in an HBV endemic area, a case-control study of 254 patients with HCC and of 1,270 age and sex matched health control subjects was done. Among the 254 HCC patients 166(65.4%) were positive for hepatitis B surface antigen(HBsAg), 49(19.3%) were positive for HCV antibody (anti-HCV Ab). The crude odd ratio of patients with HBsAg was 36.1(95% CI :22.4-58.2) and with anti-HCV Ab was 9.0(95% CI :5.5-14.6). In an analysis, which HBsAg(-), HBcAb(-), anti-HCV Ab(-) group was chosen as referent group, odd ratio of HBsAg(+) group was 14.4(95% CI: 7.2-28.9) and of anti- HCV Ab(+) was 10.7(95% CI: 2.9-40.0). odd ratio of anti-HCV Ab(+), HBsAg(+) group and anti-HCV Ab(+), HBsAg(-), HbcAb(+) group for HCC were elevated to 27.3(95% CI : 9.0-82.9), 15.9(95% CI:7.1-35.8) respectly, The odd ratio of anti-HCV Ab(-), HBsAg(-), HBcAb(+) group was 2.4(95% CI : 1.1-5.0). These result suggested that HBV and HCV were associated with HCC. In HBV endemic area patients with HBcAb alone should be considered risk group for HCC.

  • PDF

각종(各種) 간질환(肝疾患)에서의 B형(型) 간염(肝炎) Virus 표식자(標識子) 발현(發顯)에 대한 임상적(臨床的) 고찰(考察) (Clinical Significance on the Serologic Profiles of HBV Markers in Various Liver Diseases)

  • 유병희;이충규;김종화;김광일;이종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9-55
    • /
    • 1983
  • By radioimmunoassay, serologic markers of Hepatitis B Virus were studied in 44 patients with acute viral hepatitis, 10 patients with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10 patients with chronic active hepatitis, 44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nd 25 patients with primary hepato cellular carcinoma. The results were follows: 1) HBsAg was present in 77.2% of AVH, 40% of CPH, 80% of CAH, 55.1% of LC and 68 % of PHC. In this HBsAg positive groups, all but one in liver cirrhosis had Anti-HBc. 2) Anti-HBs was most commonly detected in CPR and accompanied by Anti-HBc except one case in AVH. 3) Anti-HBc was the only marker detected in 11.4% of AVH, 20% of CPH, 20% of CAH, 16.3% of LC and 8% of PHC. 4) HBeAg was most commonly found in HBsAg-positive CPH but Anti-HBe was most frequently detected in PHC. 5) The absence of HBV markers was noted in 2.3% of AVH, 10% of CPH, 8% of PHC except CAH and LC.

  • PDF

학동기 아동에서 A형 및 B형 간염의 혈청학적 역학조사 -1998년 현재 서울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Seroepidemiology of Hepatitis A and Hepatitis B in Korean Children)

  • 고재성;배선환;정주영;정준기;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1호
    • /
    • pp.40-45
    • /
    • 1999
  • 목 적: 1998년 학동기 소아에서 anti-HAV 보유율과 HBsAg, anti-HBs의 보유율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서울지역의 한 초등학교에서 6~12세의 학생 801명을 대상으로 anti-HAV, HBsAg, anti-HBs, anti-HBc IgG를 radioimmunoassay법으로 검사하였다. 결 과: 전체 801명 중 anti-HAV 보유율은 0%이었다. HBsAg 양성은 801명 중 3명(0.4%)이었다. anti-HBs 양성은 495명(61.8%)이었다. 연령별로는 6세 60.7%, 7세 60.0%, 8세 53.7%, 9세 68.1%, 10세 59.3%, 11세 69.0%이었다. anti-HBs 양성자 중 2명(0.4%)이 anti-HBc 양성으로 나와 anti-HBs 양성의 대부분은 예방접종에 의해 생긴 것으로 생각한다. B형 간염 백신을 접종받은 아동은 658명으로 예방접종률은 82.1%이었다. 결 론: 소아에서 A형 간염 항체의 자연 획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청소년과 성인에서 A형 간염의 집단 발병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소아에서 B형 간염 예방접종이 실시된 결과로 소아에서 B형 간염 항원 보유율은 감소하고 항체 보유율은 증가하고 있다.

  • PDF

만삭임부 및 신생아의 혈청 B형간염 바이러스 표식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rum HBV Markers in Term Pregnant Women and Their Neonates)

  • 이태형;박완석;김성림;이강원;이승호;정원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21-129
    • /
    • 1987
  • 만삭 임부 및 신생아에서의 B형간염 감염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1986년 1월 1일부터 1987년 6월 30일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을 위해 입원한 임부 2,032명중 1,276명에 대하여 HBsAg 혈증 여부을 검사하고 혈청 HBsAg 양성으로 확인된 임부 74명중 66명과 그 신생아에서 B형간염 바이러스 표식자 검사와 함께 SGOT 및 SGPT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만삭 임부의 혈청 HBsAg 양성율은 4.7%(53/1,279) 이었다. 2. HBsAg 혈증 임부의 신생아에서의 혈청 HBsAg과 anti-HBs 양성율은 각각 12.1%(8/66)와 9.1%(6/66)이었다. 3. HBsAg 혈증 만삭 임부에서의 혈청 anti-HBc, HBeAg, 및 anti-HBe 양성율은 각각 94.0%(62/66), 45.5%(30/66), 및 50%(33/66)이었으며, 혈청 anti-HBc, HBeAg, 및 anti-HBe의 모체 - 신생아 전파율은 각각 85.5%(53/62), 90%(27/30), 및 87.9%(29/33)이었다. 혈청 anti-HBc와 anti-HBe가 신생아에서만 검출된 경우는 각각 1예와 2예가 있었으며 anti-HBe가 검출된 신생아 2명중 1예에서만 혈청 anti-HBs도 동시에 검출되었다. 4. HBsAg 혈증 만삭 임부에서 모체가 혈청 HBeAg를 보유한 경우와 혈청 anti-HBe를 보유한 경우의 신생아 혈청 HBsAg 양성율은 각각 13.3%(4/30)와 9.1%(3/33)이었으며, 모체에서 혈청 HBeAg과 anti-HBe가 모두 검출되지 않은 경우, 신생아 혈청 HBsAg 양성율은 33.3%(1/3)이었다. 이상의 검사성적으로 미루어 한국인 임부에서도 임신말기에 B형간염 바이러스 표식자검사가 routine screening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B형간염 바이러스의 산전 태반을 통한 신생아 전파율이 본 연구에서는 24.2%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