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Vp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천연 조미향상물질의 첨가에 의한 Maillard 반응에서 Meat-like Flavor의 개발 (Development of Meat-like Flavor by Maillard Reaction with Addition of Natural Flavoring Materials)

  • 고순남;남희섭;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39-846
    • /
    • 1997
  • Meat-like flavor를 생성하고자 당과 아미노산 혼합액인 0.2 M cystine-0.1 M lactose-0.1 M maltose를 대조구로 하여 천연 조미향상물질(HVP, HAP, YE)을 첨가하였다. 천연 조미향상물질의 첨가는 대조구에 농도별로 단독 첨가하였으며 단독 첨가시 선정된 농도의 HVP, HAP나 YE를 혼합하여 그 영향을 비교하였다. Meat-like flavor 생성에 유사한 조건인 $100^{\circ}C$에서 8시간 동안 마이야르 반응시킨 반응액은 흡광도, 색, 관능적 성질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HVP, HAP, YE를 첨가 농도별로 첨가하였을 때 반응 시간과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420 nm와 278 nm에서의 흡광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첨가 농도별 색의 변화는 HVP, HAP와 YE 모두 b값은 증가 경향을 나타낸 반면 L값은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 검사에서 meat flavor에 근접한 각 조미향상물질의 첨가 농도는 1.16% HVP, 0.94% HAP, 1.48% YE이었고 가장 meat flavor에 근접한 반응액은 대조구에 HVP 1.16%와 HAP 0.94%를 혼합 첨가한 반응액이었다. 대조구와 HVP 단독 첨가구 및 HVP와 HAP 혼합 첨가구에 대한 향기 성분을 비교하고자 GC/MS로 분석한 결과 hydrocarbon류 1종, aldehyde류 9종, ketone류 5종, ester류 1종, alcohol류 5종, aromatics(benzene)류 2종, furan류 2종, sulfur compound류 1종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andida Utilis 효모를 이용한 HVP 특유의 향 생성 최적화 (Optimization of HVP-flavour formation using Candida utilis)

  • 박근형;이재화;김의용;채희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07-31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분리대두단백(ISP: isolated soy protein)과 탈지대두박(DSF: defatted soy flake)을 Devolase Flavourzyme 효소로 가수분해한 각각의 HVP를 발효 배지로 사용하여 Candida utilis(KCCM 50342) 효모의 ethylalcohol, 4-ethylguaiacol의 생성과 향 생성의 주요 인자인 a -galactosid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Ethylalcohol은 발효 1일째에 탈지대두박을 원료로 하고 여과후 미생물 처리한 경우에서 가장 높게 생성되었고, 4-ethylguaiacol은 일부 여과하지 않고 미생물 처리한 경우에서 낮은 농도의 생성을 보였다. a-galactosidase 효소활성은 탈지대두박 보다 ISP를 원료로 한 HVP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관능검사결과 탈지대두박을 사용한 HVP의 관능적 특성이 ISP를 원료로 한 HVP보다 더 우수하였다. 결과적으로 탈지대두박을 원료로 한 HVP의 향기성분 및 관능적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Saccharomyces rouxii에 의한 아미노산 간장의 알코올 발효 (Optimization for the Alcohol Fermentation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HVP) Soy Sauce by Saccharomyces Rouxii)

  • 최수복;권오성;남희섭;신재익;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30-334
    • /
    • 1992
  • 아미노산 간장의 풍미를 높이기 위해 S. rouxii에 의한 알코올 발효시 아미노산 간장내에 존재하는 NaCl, 색소물질 및 glucose의 농도가 S. rouxii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발효온도, 통기속도 등 발효환경요인이 S. rouxii의 생육 및 알코올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아미노산 간장내 NaCl 6%(w/v) 까지는 균체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생육을 저해하였으며, 아미노산 간장 중 존재하는 색소물질은 균체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아미노산 간장에 첨가된 glucose의 농도가 25%(w/v)까지는 균체 생육을 크게 저해하지 않았다. S. rouxii의 생육 및 알코올 발효의 최적 온도는 $25^{\circ}C$이며, 최대 알코올 생산을 위한 최적 통기속도는 0.5 vvm이었다. 이때 아미노산 간장내 최대 알코올 농도는 4.2%(w/v)였다.

  • PDF

군위성통신 차량용단말 X-대역 TWTA용 HVPS 개발 (Development of HVPS of the X-Band TWTA for Military Transportable Satellite Communications)

  • 박재돈;장진상;동문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12A호
    • /
    • pp.1168-117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군위성통신의 차량용단말에 사용되는 X-대역 TQTA용 HVPS를 설계 및 제작하고 그 성능을 측정하였다. 본 HVPS는 X-대역에서 600 W의 RF 신호 출력을 발생시키는 TWT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HVPS의 스위칭 주파수는 80 kHz로 설계되었고 입력전원은 380 V의 직류전원을 사용한다. HVPS의 출력전압은 Cathode 전극에 -10.95 kV의 최대전압을 발생시키고 두개의 Collector 전극에 각각 -4.27 kV, -6.57 kV의 고압 전원을 제공하며 총 출력 전력은 1.6 kW를 발생시킨다. 한편, ripple 전압의 peak-to-peak 크기는 Cathode 전극의 경우 6 V, Collectorl은 12 V, Collector 2는 6 V로서 출력전압에 비해 각각 $0.055\%,\;0.281\%,\;0.091\%$ 수준으로 상당히 안정된 전원특성을 얻었다.

Reaction flavor 기술을 이용한 구운 쇠고기향 개발 (Development of a Burnt Beef Flavor by Reaction Flavor Technology)

  • 김기원;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45-1052
    • /
    • 2003
  • HVP로부터 구운 쇠고기향를 제조하기 위하여 쇠고기향 생성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반응들을 고려하여 전구물질을 탐색한 결과, 구운 소고기 향을 생성하는 전구물질조성으로 HVP, ribose, cysteine, furaneol, thiamin, methionine, 마늘분말 및 phospholipid를 선정 하였다. 선정된 전구물질조성을 고온 고압 반응기를 이용하여 구운 쇠고기향 생성에 영향을 주는 반응조건들을 알아본 결과, 최적 반응조건은 $130^{\circ}C$, 교반속도 100rpm 및 반응시간 1시간에 수분 7.5% 첨가시 좋은 구운 쇠고기 향이 생성되었다. Omission test에 의해 구운 쇠고기향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구물질을 선정한 결과 cysteine, furaneol, thiamin 및 마늘분말이었다. HVP 5% ribose, 5% methionine, 5% phospholipid를 기본 base로 하고, cysteine, furaneol, thiamin, 그리고 마늘분말을 독립변수로 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행한 결과 전구물질의 최적조성은 7.7% cysteine, 7.3% furaneol, 2.1% thiamin 및 6.9% 마늘 분말로 나타났다.

변환영역 기반의 시각특성 파라미터를 이용한 영상 분석 (Image Analysis using Transform domain-based Human Visual Parameter)

  • 김윤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78-38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DCT 변환과 퍼지추론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 한 바, 병해충 과실 등의 특성을 분석 할 수 있는 퍼지추론 알고리즘과 변환계수에 시각특성파라미터를 접목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다. 전처리 과정에서 이산코사인 변환계수로부터 엔트로피와 텍스처 등의 시각특징 파라미터들을 구하였고, 이 변수들을 이용하여 퍼지 추론의 입력 변수를 생성 하였다. 맘다니 연산자와 ${\alpha}$-cut 함수를 적용하여 영상 분석을 실험한 결과, 제안한 방법의 응용가능성을 입증하였다.

  • PDF

3-Monochloropropane-1,2-diol(3-MCPD) 저감화를 위한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조건 (Preparation Conditions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Soy Sauce for the Reduction of 3-Monochloropropane-1,2-Diol (3-MCPD))

  • 정용일;이지수;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22-52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3-MCPD의 함량을 신뢰할 수 있는 결과값의 도출을 위하여 HFBI 유도체화 방법을 이용하였다. 3-MCPD가 검출되지 않은 양조간장에 3-MCPD를 0.020과 $0.200{\mu}g/mL$의 농도로 spiking하여 그 결과 값을 측정한 결과, 회수율이 95% 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분석의 재현성 및 정밀성 또한 우수하였다.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 조건 중 3-MCPD의 함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조건 즉, 알칼리 처리시의 pH와 온도, 그리고 유지 시의 온도와 시간을 다양하게 하여 시료를 제조 한 후, 3-MCPD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처리시의 pH와 온도가 높고, 유지 온도와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3-MCPD의 함량이 감소되는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알칼리 처리 온도와 유지 온도에 대한 영향보다는 알칼리 처리시의 pH가 3-MCPD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특히 pH 10.0 이상에서 알칼리 처리를 하였을 경우는 알칼리 처리 온도나 유지시간 및 유지온도 등의 다른 조건들에 상관없이 3-MCPD의 함량이 $0.020{\mu}g/g$ 이하로 현저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일반적인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 공정 조건에 변화를 줌으로써 실질적으로 생성되는 3-MCPD의 함량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아미노산 간장의 3-MCPD 저감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구운 쇠고기 반응향의 특징적인 향기성분 동정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 Aroma-active Compounds from Burnt Beef Reaction Flavor Manufactured by Extrusion)

  • 김기원;서원호;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21-627
    • /
    • 2006
  •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구운 쇠고기 반응향의 향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휘발성 성분 및 aroma-active화합물을 SDE-GC-MS-O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VP에 ribose, cysteine, furaneol, thiamin, methionine, 마늘 분말 및 인지질 등의 전구문질을 넣고 최적 압출성형 조건인 $160^{\circ}C$, 스크루 속도 45 rpm 및 윈료공급 속도 38 kg/hr에서 압출성형하였다.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구운 쇠고기 반응향에서 모두 68개 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그 숫자는 furaneol을 빼고 압출성형 시킨 반응향과 HVP만 압출성형 시킨 시료에서 크게 줄어들었다. GC-O결과 구운 쇠고기 반응향에서 27개의 aroma-active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methional과 2-methyl-3-furanthiol이 가장 중요한 aroma-active화합물로 밝혀졌다. Furaneol이 구운 쇠고기 반응향 생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물엿의 Caramel 반응 중 아미노산과 가수분해 단백질 첨가의 영향 (Effects of pH, Amino Acids and Hydrolyzed Proteins on Caramelization of Starch Syrup)

  • 박천우;강근옥;이정근;김우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52-155
    • /
    • 1999
  • Caramel 반응의 반응속도의 향상을 위하여 pH, 아미노산, 가수분해 단백질 그리고 인산염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반응기질을 물엿으로 하여 $110^{\circ}C$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면서 Suv(different color functions-metric saturation)와 HMF(5-hydroxymethylfurfural)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갈색도는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반응 pH를 4에서 10으로 증가시켰을 때 반응속도는 31.9% 향상되었으며 HMF 함량과 420 nm에서의 흡광도도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여러 아미노산을 첨가한 결과 arginine, glycine과 같은 중성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이 caramel반응 속도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이는 Maillard반응이 관여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반응 향상 효과가 있는 arginine과 glycine 그리고 가수분해 단백질(HVP;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HAP; hydrolyzed animal protein)을 $K_2HPO_4$와 여러 비율로 혼합첨가한 결과 $K_2HPO_4$에 의하여 arginine과 HAP는 반응향상 효과가 매우 높아진 반면 glycine과 HVP의 효과는 감소되었다.

  • PDF

HVP를 이용한 Maillard 반응에 의한 Meatlike Flavor의 생성 (Formation of Meatlike Flavors by Maillard Reaction Using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HVP))

  • 윤석환;이정근;남희섭;이형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81-786
    • /
    • 1994
  • HVP를 기본 원료로 하여 몇몇 반응 전구물질을 첨가하여 여러 가지 반응 조건에 따라 meatlike flavor를 제조하였다. pH와 온도는 반응액의 갈변화도에 큰 영향을 미쳐, pH와 온도가 높을수륵 갈변화 속도는 빨라졌다. 반응액에 잔존하는 환원당과 유리 아미노산은 반응 1시간까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반응 온도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았다. 각 아미노산의 경우, glutamic acid와cysteine은 반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나, glycine과 methionine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Maillard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meatlike flavor외 향기 성분은 49종이 통정되었으며, 이중에 3-methyl butanal, 2-methyl tetrahydrothiophen-3-one, 3,4-d imethyl thiophene, 2,4-dimethyl thiagole 둥의 잘 알려진 natural meat flavor 성분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120^{\circ}C$에서 제조된 반응액을 관능 평가한 결과, 반응 1시간대의 반웅액이 5% 유의수준에서 구수한 맛이 가장 강하였고, 이미가 가장 적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반응 system에서는 반웅 1 시간내에 대부분의 Maillard 초기 반응이 일어나고, 그이후, 반응이 진행될수록 구수한 맛을 내는 성분은 줄어들고, 이미를 나타내는 성분이 증가한다고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