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ir Pagod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가람배치(伽藍配置)의 내원(來源)과 중국적 전개양상 고찰 (A Consideration on Origin of Temple Building Arrangement and Chinese Spreading Pattern)

  • 염중섭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2호
    • /
    • pp.43-66
    • /
    • 2010
  • In that the Buddhism is the religion founded by Buddha, the settlement of Buddha's existence is very important in the temple building arrangement which symbolizes the Buddha's world. What symbolizes the Buddha in the temple are the pagoda and the Buddhist image. Among them, the Buddhist image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Golden Hall. This kind of double structure is settled as a typical pattern for the arrangement of buildings such as halls and pagodas. The earlier one between the pagoda and Buddhist image is the pagoda, of course. It can be inferred that, through the gradual expansion of the Buddhist images, the gravity was transferred from the pagoda to the Golden Hall. But, if the Buddhist image can be connected with the Golden Hall in that it was the product reflecting the requests on the Buddha and his teaching, the internal origin of the Buddhist image should also go back to the early Buddhism. In fact, the gravest building in Venuvana - vihara or Jetavana - anaehapindasyarama was the Golden Hall, the Buddha's residence. And in the summit of Grdhrakuta or Jetavana - anaehapindasyarama where Buddha stayed long, there is the gandha - kuti the Buddha's place till now. It means that the symbolic request on the Buddha and his teaching had existed even before the Buddhist image and that this tendency could be connected with the generation of Buddhist image.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hall / pagoda structure generalized in the building arrangement of later age was originated not just from the Buddhist image and the sarira pagoda but from the gandha - kuti and the hair pagoda, and therefore the two should coexist inevitably. It is an attempt to develop a little more in the ideological perspective the general theory that the pagoda and the Buddhist image were fused into one precinct of temple later in their respective origins. That is, it tries to recognize the relation of pagoda and hall not as the conflicting one but as the complementary one.

석조문화유산의 손상지도 제작방법과 표면 및 3차원 손상율 평가기법 (Making Method of Deterioration Map and Evaluation Techniques of Surface and Three-dimensional Deterioration Rate for Stone Cultural Heritage)

  • 조영훈;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1-260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석조문화유산의 손상유형별 표준범례를 제시하고, 손상지도 작성방법에 대한 공정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균열지수 개발과 표면 및 3차원 손상율 평가기법을 제시하였다. 손상유형별 표준범례는 균열, 박리, 박락, 탈락, 입상분해 및 공동으로 세분한 다음 상용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제작하였으며, 손상지도는 손상 영역에 대한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3차원 디지털복원과 고해상도 사진맵핑 기술을 적용하였다. 또한 균열지수를 개발하여 대상 석조문화유산의 물리적 손상도에 대한 정량평가를 수행하였고, 가상복원 모델링을 통해 탈락부의 부피와 3차원 손상율을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 마곡사오층석탑의 손상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 전체적으로 북측면이 구조상 균열(1.70), 미세균열(1.34), 박락(20.2%), 탈락(13.0%)의 손상점유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1층 옥개석의 3차원 손상율은 6.7%로 산출되었다.

중국 소수민족 머리 장신구의 형태 특성 (Formal characteristics of headdress in Chinese minorities)

  • 장연;김주;이연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3호
    • /
    • pp.356-37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values of the headdress among Chinese minorities with diverse ethnic cultures, and to provide various data on the design of clothing accessories. Theoretical considerations about ethnic minorities were addressed through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with data being collected using literature and websi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 type of headdress is the horizontal type, which includes the head style, headband, and head scarf. The second most common is the cylinder type, which is a headdress with variations in the shape of a round hat, and has is evident among various minorities. Third, the pagoda type is decorated with ornaments mounted on top of a round shape. Fourth, the square crown type is a piece of wood as a material for a form of the material and for a variety of jewelry and the production of up to meet the women's head of the jewelry. Fifth, head belt-type ornaments consist of a headband and fancy bead ornaments from the bottom of the head. Mongol women usually wear an exaggerated form of this type. Sixth, the head cover type is a head decoration influenced by the dress code of Muslim women. Seventh is the disc type of crown shape worn by the Dai. Next, the ogival type is a cone-shaped headdress hat most commonly seen as head ornament hat among the Dai. Lastly, the sailboat type is the most exaggerated form of hair ornaments found among ethnic minorities.

고양 상운사 석불좌상과 조선 전기 조각 양식의 전통과 모색 (The Stone Buddha Statue of Sangunsa Temple at Bukhansan in Goyang, Gyeonggi Province)

  • 심영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4호
    • /
    • pp.246-263
    • /
    • 2019
  • 본고는 경기도 고양시 북한산 상운사 석불좌상에 대한 연구로, 이 작품은 15세기 후반에 조성된 완성도 있는 석불상의 예로 주목된다. 불상 하부에는 1497년에 조성되었음을 알려주는 묵서명도 함께 전하고 있어 자료적인 가치를 높여 주고 있다. 유존하는 조선 전기 석불상이 귀한 상황에서 상운사 석불좌상은 우수한 조각 작품으로서의 역사성 및 미적인 가치를 인정받아 최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본 석불좌상의 형식과 양식을 분석하여 15세기 조선 전기 불상으로서의 미술사적 가치를 구명하였다. 상운사 석불좌상은 육계와 정상계주의 형식, 대의 착의법과 옷 주름의 표현 방식, W자 모양으로 약간 늘어진 가슴, 앙복련의 단순한 연화대좌 등에서 고려의 양식을 이은 전형적인 15세기 불상의 조각적 특징을 보여준다. 여기에 허리가 길어진 장신의 표현은 당시 명으로부터 영향받은 새로운 양식이며 내의를 묶은 띠 매듭이 생략된 것은 향후의 조각 양식을 예고하는 새로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머리의 가르마라든가 내의 위로 늘어진 나뭇잎 모양의 짧은 자락은 상운사 석불좌상만의 독특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고대부터 사찰이 운영되어온 명산 북한산에는 1711년 도성 방비를 위해 산성이 축성되고 산성의 수비와 관리를 위해 승영사찰이 건립되었다. 30년간 팔도도총섭을 지낸 성능은 1745년 지은 『북한지』에서 이 사찰들의 현황을 전하면서 상운사는 승장 회수가 133칸 규모로 창건하였다고 적었다. 1813년의 <상운사극락전중창기> 및 이를 전하는 『봉은본말사지』(1943)에 의하면 상운사의 원래 이름은 노적사로, 1722년 승장 회수가 창건하였으며 1745년 상운사로 개칭하였다. 그런데 상운사 천불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의 발원문과 개금기에 의하면 1713년 상운사의 이름은 노적사였고, 1730년 개금 시의 사명은 상운사, 화주는 회수로 기록되었다. 이에 18세기 초반으로 알려져 있는 상운사의 초창 시기는 상운사 석불좌상의 조성 연대와 부합하지 않아 본고에서는 상운사의 연혁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재검토하고 불상의 조성지를 살펴보았다. 상운사에는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석탑 1기가 유존하므로 상운사의 역사를 고려시대까지 올려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또한 상운사 석불좌상은 사찰 인근에서 채취한 석재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상운사가 조선 초에도 운영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북한지』 등에서 언급한 회수가 관여한 133칸 규모의 상운사는 초창이 아니라 중창의 결과로 볼 수 있고, 중창 이전의 이름은 노적사였던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