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irdressing Busines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A Study on the Changes of Hairstyle by the Development in Hairdressing Industry in Korea - With the Focus on Women's Hairstyle -

  • Na, Yun-Young;Yoon, Jeom-Soon
    • 패션비즈니스
    • /
    • 제6권3호
    • /
    • pp.41-51
    • /
    • 2002
  • The author of the paper investigated the changes of hairstyle along the developments in hairdressing industry in the 20th century. The development process of hairdressing industry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of introduction, origination, growth, and establishment. The corresponding changes of hairstyle were analyzed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Hairstyle could be classified into such typical ones as traditional style, cut, bob, wave, permanent wave, up style, and hair coloring. 2. Fashion leaders affected the changes of hairstyle. 3. Whenever hairdressing appliances were introduced, new hairstyle was practiced as follows with the use of the appliances. (1) Introduction Period - Traditional Style : Chignon, pigtail ribbon $\rightarrow$ Variations were designed in hair length or split due to the limited availability of appliances. - Up Style : Pompadour, thick and up hair, encircling hair $\rightarrow$ Padding was used for sweep-up. (2) Origination Period - Bob Style : Women's first bob style. - Wave style : Wave with bob, close-cropped hair, up style $\rightarrow$ Iron, set, permanent devices were used. (3) Development Period - Wave Style : Wind wave, easily manageable wave $\rightarrow$ Blow dry, body permanent were used. (4) Establishment Period - Straight Style : Use of straight permanent. - Thick Wave Style : Development of various kinds of rod. - Hair Coloring : Advent of diverse fashion hair coloring, apart from the coloring of white hair, with the introduction of color TV. - Bob Style : Romantic bob style $^{\circ}\hat{E}$ Use of clippers and thinning scissors. Thus, the changes of hairstyl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in hairdressing industry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improvement in hairdressing appliances.

헤어미용업 종사자의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개인특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ships between the Hairdressing Business Worker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on Job Satisfaction)

  • 우미옥;박선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04-1015
    • /
    • 2017
  • 이 연구는 미용실 직원의 개인적 특성과 관련하여 조직 성과로서 직무 만족에 대한 조직 의사 소통의 효과를 결정하려고 연구했다. 실증 분석을 위해 경남의 뷰티 살롱 종사자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수집 된 자료를 분석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직의 의사 소통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다른 요인에 비해 의사 소통 능력이 직업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40 세 이상과 고졸 이하와 결혼 한 그룹에서 조직 간 의사 전달이 직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높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용 산업에서 직원의 직업 만족도를 높이는 등 비즈니스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는 개인의 특성과 조직 의사 소통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인적 자원 관리가 필수적이다.

헤어미용업의 관계효익이 고객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he Relational Benefits of Hairdressing Business on Customer Commitment)

  • 박선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1-87
    • /
    • 2023
  • 본 연구는 헤어미용실 고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고객몰입의 차이와 고객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헤어미용업의 관계효익을 규명하고자 한다. 실증적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경남의 헤어미용실 고객으로부터 수집하였고,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실 고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고객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졸 이상 집단과 남자 집단에서 고객몰입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관계효익과 고객몰입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계효익 중에서 고객화효익, 사회적효익, 심리적효익 각각 고객몰입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심리적효익이 고객몰입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