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miltonian reduc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EXISTENCE OF SIX SOLUTIONS OF THE NONLINEAR HAMILTONIAN SYSTEM

  • Jung, Tack-Sun;Choi, Q-Heung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30권3호
    • /
    • pp.443-468
    • /
    • 2008
  • We give a theorem of existence of six nontrivial solutions of the nonlinear Hamiltonian system $\.{z}$ = $J(H_z(t,z))$. For the proof of the theorem we use the critical point theory induced from the limit relative category of the torus with three holes and the finite dimensional reduction method.

EQUIVARIANT MATRIX FACTORIZATIONS AND HAMILTONIAN REDUCTION

  • Arkhipov, Sergey;Kanstrup, Tina
    • 대한수학회보
    • /
    • 제54권5호
    • /
    • pp.1803-1825
    • /
    • 2017
  • Let X be a smooth scheme with an action of an algebraic group G. We establish an equivalence of two categorie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moment map ${\mu}:T^{\ast}X{\rightarrow}g^{\ast}$ - the derived category of G-equivariant coherent sheaves on the derived fiber ${\mu}^{-1}(0)$ and the derived category of G-equivariant matrix factorizations on $T^{\ast}X{\times}g$ with potential given by ${\mu}$.

정찰 드론의 탐색 경로에 대한 시뮬레이션 연구 (Simulation Study on Search Strategies for the Reconnaissance Drone)

  • 최민우;조남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23-39
    • /
    • 2019
  • 군 병력 감축, 인명중시 사상의 확산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을 통한 혁신 기술의 국방에서의 활용과 같은 시대적 요구 속에 드론-봇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드론을 활용한 감시 및 정찰은 미래 전장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정찰용 드론의 운용 개념, 특히 적을 찾기 위한 드론의 탐색 경로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찰 목적용 드론의 효과적인 운용을 위한 탐색 방법을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에서 드론과 적은 연속공간에서 선형(First-Order)으로 움직이며, 적은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랜덤워크 기법을 적용하였다. 연구는 먼저 기존에 군에서 주요하게 활용하던 탐색 방법(Parallel, Spiral)이 실제로 목표를 탐지하는 확률을 제시하며, 이어서 탐지자의 탐색반경과 속도가 탐지 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적이 랜덤하게 이동하지 않고 특정한 목표를 가지고 이동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탐지방법인 PS(Probability Search), PCS((Probability Circle Search), HS(Hamiltonian Search), HCS(Hamiltonian Circle Search) 방법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탐색방법은 드론의 정찰 작전 시 활용도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Luminescence and Crystal-Field Analysis of Europium and Terbium Complexes with Oxydiacetate and 1,10-Phenanthroline

  • Kang, Jun-Gill;Kim, Tack-J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7호
    • /
    • pp.1057-1064
    • /
    • 2005
  • Photoluminescence (PL) spectra of Eu(III) and Tb(III) complexes with mixed oxydiacetate (ODA) and 1,10-phenanthroline (phen) ligands and with homoleptic ODA reveal characteristic line-splitting at 10 K, depending on the site-symmetry of the lanthanide ion in the complex. The energy-level schemes of the $^7F_J$ states and the emitting levels for Eu(III) and Tb(III) ions have been proposed by simulating the line splitting in the framework of crystal-field Hamiltonian. The sets of refined crystal-field parameters for the experimentally determined sitesymmetry satisfactorily reproduce the experimental energy-level schemes. In addition, the PL quantum yield and the decay time were determined at room temperature. The PL quantum yields of [$Eu(ODA){\cdot}(phen){\cdot}4H_2O]^+$ and [Tb$(ODA){\cdot}(phen){\cdot}4H_2O]^+$ in the crystalline state (Q = 17.7 and Q = 56.6%, respectively) are much greater than those of [Eu($ODA)_3]^{3-}and\;[Tb(ODA)_3]^{3-}$(Q = 1.1 and Q = 1.3, respectively), due to the energy transfer from phen to the lanthanide ion. In the aqueous state, the relaxation of the phen moiety due to the solvent results in the reduction of the quantum yield and the shortening of the lifetime.

외판원 문제의 지역 분할-연결 기법 (Travelling Salesman Problem Based on Area Division and Connection Method)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11-218
    • /
    • 2015
  • 본 논문은 외판원 문제의 해를 쉽게 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사전에, n(n-1)개의 데이터에 대해 각 정점에서의 거리 오름차순으로 정렬시켜 최단거리 상위 10개인 10n개를 결정하였다. 첫 번째로, 각 정점 $v_i$의 최단거리인 $r_1=d\{v_i,v_j\}$로 연결된 부분경로를 하나의 지역으로 결정하였다. $r_2$에 대해서는 지역 내 정점간 간선은 무조건 연결하고, 지역간 간선은 연결 규칙을 적용하였다. 전체적으로 하나의 해밀턴 사이클이 형성될 때까지 $r_3$ 부터는 지역간 간선만 연결하는 방법으로 정복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지역분할정복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실제 지도상의 도시들인 TSP-1(n=26) TSP-2(n=42)와 유클리드 평면상에 랜덤하게 생성된 TSP-3(n=50)에 대해 제안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TSP-1과 TSP-2는 최적해를 구하였다. TSP-3에 대해서는 Valenzuela와 Jones의 결과보다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었다. 전수탐색 방법은 n!인데 반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수행복잡도는 $O(n^2)$이며, 수행횟수는 최대 10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