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d Clam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초

Variation of Shell Color in Three Geographic White Clam ($Meretrix$ $lusoria$) Populations of the Yellow Sea

  • Yoon, Jong-Man;Park, Kyung-Il;Choi, Sang-Ho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1호
    • /
    • pp.47-51
    • /
    • 2012
  • Genomic DNAs (gDNAs) were isolated from the hard clam ($Meretrix$ $lusoria$, Roding, 1798) populations of Gunsan located in the Yellow Sea of the Korean peninsula. Genetic distances among different individuals of the LSCP (light shell color population) population of the hard clam (lane 1-11), GSCP (grey shell color population) population of the hard clam (lane 12-22) and DSCP (dark shell color population) population of the hard clam (lane 23-33), respectively, were generated using Systat version 10 according to the bandsharing values and similarity matrix. The dendrogram, generated by seven reliable oligonucleotides primers, indicates 3 genetic clusters. LSCP population could be evidently discriminated with the other two populations among three populations. The longest genetic distance (0.801) was found to exist between individuals in the two populations, between individuals' no. 33 of the DSCP population and no. 06 of the LSCP population. The higher fragment sizes (>2,000 bp) are much more observed in the GSCP population. Three hard clam populations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especially, by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PCR-based approach.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초기치패의 저질개선제 종류에 따른 성장 및 생존 (Growth and Survival on Different Kinds of Sediment Improvements of Early Spat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 김병학;조기채;변순규;김민철;지영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5-129
    • /
    • 2012
  • 실험에 사용한 어미는 2011년 7월 4일 전남 영광군 백수면 하사리에서 채집된 어미를 수송 후 채란하여 3일간 유생 사육한 초기치패 (각장 $196{\pm}14{\mu}m$) 9천 6백만 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시험기간은 2010년 7월 7일부터 8월 6일까지 30일간 사육 실험하였다. 실험 개시 전 각 저질개선제의 농도별로 치패의 생존가능 범위 조사 하였고, 농도는 요오드 10 ppm, 과산화수소 5 ppm, 차염소산나트륨 100 ppm, 이산화염소 100 ppm, 과망간산칼륨 5 ppm 으로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성장은 차염소산나트륨 100 ppm 실험구가 $1.04{\pm}0.26mm$ 로 가장 높았고, 이산화염소 100 ppm 실험구 $1.03{\pm}0.25mm$, 요오드 실험구 $1.01{\pm}0.28mm$ 순이었고, 생존율은 이산화염소 100 ppm 실험구가 31.4% 로 가장 높았고, 차염소산나트륨 실험구 100 ppm 12.1%, 요오드 실험구 10 ppm 11.6%, 과산화수소 실험구 5 ppm 1.5% 순이었으며, 과망간산칼륨 실험구 5 ppm 은 전량 폐사하였다.

인천 을왕동 패총 출토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의 성장선 분석을 이용한 패류 채집의 계절성 연구 (Seasonality of shellfish collection determined by growth-line analysi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recovered from the Eurwang-dong Shell Midden, Incheon, Korea)

  • 안덕임;류동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5-30
    • /
    • 2016
  • Growth-lin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80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from the Neolithic Age Eurwang-dong Shell Midden, Incheon, Korea, to determine the seasonality of shellfish collection and site occupation. Growth increments and the marginal index (MI) of the specimens were examined. And then the marginal index was compared to the monthly MI of modern specimen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growth pattern was the same as it is today. MI of the archaeological specimens ranged from 0.12 to 1.55 and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 0.63, spring; 0.63-0.76, summer; 0.76-0.89, fall; $${\geq}_-0.89$$, winter collection. As a result, 57 specimens (71.25%) of 80 specimens represented spring, 8 (10.0%) summer, 3 (3.75%) fall and 12 (15.0%) winter collec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shellfish could be collected year-round at the site with an emphasis on spring. Based on the size distribution of shells and the content of the midden, however, it seems that the midden site was not occupied permanently throughout the year but was used repeatedly but temporally for shellfish gathering and processing.

패류의 유기산 조성에 관한 연구 1. 소라, 대합, 전복 및 그 자건품의 비휘발성유기산 조성 (Studies on the Organic Acids Composition in Shellfishes 1. Nonvolatile Organic Acids Composition of Top Shell, Hard Clam, Abalone and their Boiled-Dried Products)

  • 조길석;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7-234
    • /
    • 1985
  • 우리나라산 주요패류의 유기산조성과 이의 가공처리에 따른 변화를 밝히고져 실험검토하였다. 본보에서는 소라, 대합 및 전복 등 3종류의 패류를 시료로 하여 생체 및 이를 자건하였을 때의 유기산조성을 GLC로 분석검토하였다. 3종류의 시료중 소라 및 전복에 있어서는 8증류, 대합에 있어서는 9종류의 유기산이 동정 및 정량되었으며, 주요산은 소라에 있어서는 succinic, malic 및 pyroglutamic acid로서 유기산총량의 $89.2\%$를 차지하였고, 대합의 주요산은 succinic, lactic 및 malic acid로서 총량의 $92.9\%$를 차지 하였으며, 전복의 주요산은 succinic, lactic 및 pyroglutamic acid로서 총량의 $85.7\%$를 차지하였다. 3종류의 시료는 모두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아, 소라에 있어서는 총산량의 $46.3\%$, 대합에 있어서는 $63.5\%$, 전복에 있어서는 $34.7\%$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기산총량에 있어서는 대합이 744.2mg/100g로서 가장 많아 전복의 경우의 약 3배양을 나타내었고, 다음은 소라로서 546.5mg/100g로서 전복의 2배양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전복이 가장 적어 259.4mg/100g이었다. 생시료를 자건하였을 때 유기산총량의 감소율은 전복이 $63.5\%$로 가장 높고, 이어 소라의 $52.1\%$, 대합의 $38.0\%$의 순이었다. 또한, 자건처리에 의한 각 유기산의 감소율은 시료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전반적로 볼 때 감소율이 큰 유기산은 fumaric, malic 및 citric acid등이고, 감소율이 적은 유기산은 malic, oxalic 및 succinic acid 등이었다.

  • PDF

Regional Difference in Fatty Acid Content of Korean Shellfish

  • Surh, Jeong-Hee;Lee, Hae-Jeung;Kwon, Hoon-Je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367-373
    • /
    • 2009
  • Regional variation in the fatty acid content of shellfish was investigated on 5 species of Korean shellfish including murex shell, ark shell, jack-knife clam, orient hard clam, and little neck clam that were originated from 2 geographically different regions in Korea (Region 1: South coast, $34-35^{\circ}N$, $127-129^{\circ}E$; Region 2: West coast, $36-38^{\circ}N$, $126-127^{\circ}E$).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 in total fatty acids content was observed in murex shell and little neck clam (p<0.01), but not in the other species of shellfish. The contents of saturated fatty acids,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cluding n-3 and n-6 fatty acids were appreciably higher in murex shell from Region 2 and in little neck clam from Region 1 than the shellfish originated from their counterpart areas (p<0.05). Nevertheless, relative percentages of the fatty acids remained constant within same species regardless of geographic regions or species. Considering the facts of that the fish/shellfish are unique sources of n-3 fatty acids and a little neck clam is the most-consumed shellfish in Korea, n-3 fatty acids intake might vary with the habitat of the shellfish that Koreans consume.

대합에 기생하는 흡충유 유충의 연구 (STUDIES ON THE TREMATODE LERVAE INFECTED IN THE HARD CLAM, MERETRIX LUSORIA)

  • 전세규;이종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5-42
    • /
    • 1976
  • 1974년부터 1975년 말까지 부안만 대합에 기생하는 흡충류 유충의 발육, 기생율, 조직변화 및 사육실험을 통하여 대합의 폐사원인을 밝혔다. 1. 대합의 생식소, 중장선, 새엽에 기생하는 유모 cercaria인 Cercaria pectinata Huet와 그 sporocyst를 검출하였다. 2. 기생충의 수와 량이 급히 증가하므로 흡충류에 기생된 대합은 기능장해를 받아 폐사된다. 3. 부안산 대합 2,639개체에 대한 대합에 기생되는 흡충의 평균 기생율은 $13.2\%$였는데, 월별로 보면 7월이 가장 높았으며$(29.6\%)$, 3월이 가장 낮았다$(2.0\%)$. 한편 각장에 관계없이 기생율은 거의 같았다. 4. 흡충류에 기생된 대합의 생식소는 거세되고, 유충의 증식으로 중장선은 압박을 받으며 새판내에 기생되므로 혈액순환장해를 일으킨다. 5. 수조 내에서 사육한 기생패는 35일만에 전부 폐사했다.

  • PDF

우리나라 국민의 비타민과 무기질 급원식품(I) -칼슘과 철분의 급원식품- (Food sources of vitamin and mineral for Korean people(I) -calcium and iron rich foods-)

  • 김영남;나현주;강희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7-6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calcium and iron rich foods in Korean people. The food sources presented in the current home economics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were investigated. And 40 kinds of calcium and iron rich foods were selected by the quantity in 100g edible portion. one serving size and according to 1997 food supply data. Also 3 major food groups of calcium and iron supply in Korean were identified, and 10 rich foods for each food groups were selec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ood sources of calcium 1) The food sources of calcium presented in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are milk and dairy products. small fishes such as anchovy icefish and dried strip and green vegetables etc. 2) The calcium rich foods by 100g edible portion were in order of skim milk powder river snail sesame sea mustard. whole milk powder. snapping turtle loach sea tangle(dried) opossum shrimp and sea lettuce(dried). And the calcium rich foods by the calcium content in one serving were in order of river snail snapping turtle opossum shrimp loach spiny lobster skate skim milk powder small alaska pollack freshwater crab condensed milk whole milk powder skate ray and milk. 3) The 3 major calcium supply food groups in Korean were vegetables fish and shellfishes and milk and dairy products. 4) The calcium supply foods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food supply in 1997 was in order of sea mustard, milk anchovy chinese cabbage soybean skin milk powder laver shrimp welsh onion and maize. The vegetables were the important sources of calcium in Korean. 2. The food sources of iron 1) The food sources of iron which are commonly presented in the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were meat liver egg(egg yolk) and green vegetables etc 2) The iron rich foods on the basis of the iron content in 100g edible portion were in order of surf clam marsh clam laver(dried)( sea lettuce(dried), crayfish pelilla seed little neck clam orient hard clam, venus clam, and freshwater carab. And the iron rich foods by the iron content in one serving were in order of surf clam marsh clam crayfish little neck clam orient hard clam freshwater crab venus clam hen cockle green confertii(fresh) pen shell and spiny lobster. 3) The 3 major iron supply food groups in Korean were cereals an cereal products fishes and shellfishes and vegetables. 4) The iron supply food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food supply in 1997 was in order of soybean sea mustard maize rice meat edible viscera laver wheat flour, pook, red pepper, egg and bovine meat.

  • PDF

한국 서해안 백합 Meretrix lusoria의 생물학적 활성요인의 계절성 (Seasonality of the Biological Activity Factors of the hard clam Meretrix lusoria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 송재희;김치홍;박성우;유진하;조영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1-122
    • /
    • 2008
  • 서해안 갯벌에 서식하는 양식대상 패류 중에서 백합 Meretrix lusoria은 가장 고급 품종으로서 각광받고 있지만,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하절기부터 가을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폐사로 인하여 생산성은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갯벌에 서식하는 백합의 환경요인 중에서는 수온 및 염분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이 갯벌의 지온일 수 있다는 가정하에 갯벌의 지온을 시기별, 깊이별로 조사하였다. 백합의 내부방어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지표로서는 혈림프 중에 존재하는 혈구의 밀도와 혈구의 종류별 조성비율을 조사하였다. 표층으로부터 1cm 깊이의 지온은 봄철에는 $8.7{\sim}26.8^{\circ}C$, 여름철에는 $27.6{\sim}32.8^{\circ}C$ 였으며, 유의차는 없었지만 공기 중에 노출된 곳보다는 해수가 고인 지점의 지온이 더 높았다. 백합의 성장기인 봄(3월)부터 가을(10월)까지 정상적인 백합의 잠입깊이는 평균 $0.9{\sim}3.6cm$ 였으며 겨울철(2월)에는 평균 8.0cm 까지 잠입하였고, 서식지의 기온, 수온, 지온 등이 잠입깊이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백합의 잠입소요시간은 2월에 약 40분, 8월에 약 5분으로서 시기별 차이가 컸고 서식지의 온도환경의 영향이 매우 컸다. 백합의 비만도는 습중량과 건조중량을 이용하여 4가지 방법으로 조사해 본 결과, 여름기간 중에는 김제산 백합의 비만도가 더 높았으며, 태안산 백합은 5월 이후에 김제산 백합에서는 6월 이후에 비만도 감소가 나타났다. 백합 혈중의 총혈구수는 태안산의 경우 6월에서 7월로 가며 급격한 감소를 보였고, 김제산은 태안산과 변화패턴은 비슷하였으나 최저치를 나타내는 시기는 태안산보다 1개월 늦은 8월이었고, 9월부터 11월 사이에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백합의 혈구는 대과립구, 소과립구, 무과립구로 나뉘며, 봄에서 가을로 가며 소과립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무과립구의 비율은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백합 양식장의 폐사로 인한 피해감소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과학적 관리를 위하여는, 연안의 수온 뿐 아니라 갯벌의 지온이 환경요인으로서 매우 중요하게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성이 있었다. 백합의 행동학적 특성으로서 노출직후 다시 잠입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생물학적 지표로서 비만도, 총혈구수 및 혈구의 종류별 조성 등을 개체 수준에서 각 지표들간의 상호 관련성을 밝힐 수 있다면 자연산 및 양식 백합의 건강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방사선 조사된 조개류의 확인을 위한 ESR Spectroscopy의 이용 (ESR Spectroscopy for Detecting Gamma-Irradiated Shellfishes)

  • 남혜선;양재승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3-47
    • /
    • 2001
  •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scop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rradiation dose on the ESR signal intensity and to identify the stability of radicals after 9 weeks of storage in order to detect irradiated shellfishes. The irradiated shellfishes (short-necked clam, purplish washington clam, freshwater clam, jackknifed clam, scallop and hard-shell mussel) presented an asymmetric absorption in shape at $g_{1}$=2.002~2.003 and $g_{2}$=1.998. The strength of the ESR signal increased linearly with the applied doses (1~7 kGy).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R^{2}$=0.9136~0.9896) were obtained between the irradiation dose and corresponding ESR signal intensity. The intensity of the signals after irradiation was stable even after 9 weeks of storage at 5$\pm$1$^{\circ}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