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vruta Teaching-Learning Method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컴퓨터 실습수업에서 하브루타 교수법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ing of Havruta Teaching Method in Computer Practice Class)

  • 김창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77-18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earning flow,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by dividing the time when class was taught by Havruta. The Havruta teaching method is a traditional Jewish method of learning, with a one-on-one discussion with a partner that has a positive impact on each other. Havruta teaches learners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and perspectives, helping them to improve their learning ability by attracting new ideas and solutions. In the computer lab,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 learner's abilitie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Havruta teaching method will help the learners who have lost interest in learning and improve the learning ability in the conventional way which does not consider personal abilities. do. In this paper, based on the friendship teaching model of the Havruta teaching style,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through the Havruta practice and the play. Through the pre- and post-test, the students who taught the class with the help of the verbal method improved the learning flow, the learning interes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of Communication Ability by Havruta Teaching-Learning Method

  • Jae-Nam Kim;Seong-Eun Ch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197-205
    • /
    • 2023
  • 본 연구는 하브루타 교수-학습법을 대학생들의 전공 수업에 적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의 효과성 평가와 하위요인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의사소통 능력 점수는 하브루타 교수-학습 전·후에 따라 달라졌으며 하브루타 교수-학습 전보다 하브루타 교수-학습 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 효과는 직접 효과에서 해석 능력과 역할수행 능력의 목표설정 능력 간의 관계를 제외한 잠재 변수들 간의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하브루타 교수-학습 방법은 창의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회성 발달과 의사소통 능력은 물론 자신과 다른 의견들을 경험해보면서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수-학습법이라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호모마키나 시대에 걸맞은 철저한 학생중심 교수-학습법의 연구는 지속되어야 하고 교육현장에서의 적용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될 것이다.

하브루타 기반 교수학습방법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만족도,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avruta-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n Nursing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Stress)

  • 장양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366-13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하브루타 기반 교수학습방법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만족도,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로 간호학과 2학년 9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하브루타 기반 수업설계는 5단계이며 1단계는 사전학습단계, 2단계는 도입 및 전개단계, 3단계는 수업 내용의 조직화 단계, 4단계는 질문하고 가르치는 단계, 5단계는 정리 및 통합단계로 구성되어있다. 4주간의 하브루타 기반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으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실험처치의 효과측정을 위한 종속변수의 검증은 paired t-test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하브루타 기반 교수학습방법의 적용이 학업적 자기효능감(t=-3.711, p<.000), 학습만족도(t=-2.580, p=.012), 학업스트레스에(t=6.500, p<.000)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하브루타 기반 교수학습방법은 대상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만족도를 높이고 학업스트레스를 낮추는 효과적인 교수법임이 확인되어 추후 다른 전공교과목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브루타(Havruta) 수업이 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avruta class on learning attitude and class satisfaction in a class of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 정은정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2-75
    • /
    • 2021
  • Background: The world has entered the age of bio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ncouraging students to test the valu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e to become information fluen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 education system is also changing in order to adapt to the times. As a part of this, the cultivation of creative talent is a core goal of many nation states, and Israel's Jewish education methods are attracting attention; havruta (or chavrusa) is one such method. This study aims to effects of havruta class on learning attitudes and class satisfaction in a class of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Design: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s: The subjects were 95 students in College A. The learning attitudes questionnaire were us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class satisfaction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habits about physical therapy of learning attitudes (p<.05) and class methods and contents attention and understanding (p<.05), class interest of class satisfaction (p<.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vruta class improves learning attitudes and class satisfaction. Therefore, follow-up study is needed to apply the havruta class in various students and teaching methods.

하브루타를 활용한 SW 수업 설계 및 적용의 효과성 (Effectiveness of Designing and Applying SW Classes Using Havruta)

  • 김창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37-148
    • /
    • 2019
  • This paper i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gramming awareness by designing and applying programming classes using Havruta. In the present society, wher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in full swing, the capacity to be equipped has changed, and the education has been changed accordingly. Programming education is logically capable of thinking and improves comprehensive problem solving skills. This direction of programming education allows us to get ideas for solving problems based on computing thoughts and to create our own creative results. However, because they require the grammar of the programming language and many additional abilities, they are not easy for learner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competencies make learning less immersive and interesting. In this pap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uniform programming class, this study is designed and applied to the class applying the Jewish traditional teaching method, Havruta's teaching method, to find out the effect of computing thinking and programming perception.

플립드러닝과 하브루타 학습법에 기반한 학습자 중심의 코딩 수업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learner-centered coding class based on flip-learning and havruta learning method)

  • 이애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9-78
    • /
    • 2018
  • When it comes to the value of modern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to perform the role of a helper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he role of a manager to facilitate smooth learning, and the role of a guide who has expert knowledge in the learning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kind of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there are, which require teachers to perform the roles of helper, manager, and guide, and conducted a pedagogical research on coding education to explore class models for self-directed learning. Subsequently, a class model was proposed by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and havruta learning to a coding class. In this study,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s of flipped learning and havruta method were applied to constructing a coding class as a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course. The feature of this class is that it enables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s well as active interaction between leaners in a classroom instruction. After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the actual class and analyzing it, the students taught using suggested method were more positively assessed in learning interest than those taught using a traditional method. And that in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suggested method was more effective.

A study on non-face-to-face 5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pplying extended reality (XR)

  • Lee, Byong-Kwon;Lee, Kyoung-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9호
    • /
    • pp.125-132
    • /
    • 2021
  • 코로나(COVD-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장기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비대면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에 제시된 교수학습방법은 대면 형태의 실습 및 체험형 교수법을 제시하고 있어 비대면 수업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혁신원에서 선정된 교수학습 방법인 5AL(5Activity Learning) 교수법을 대상으로 확장현실(XR:eXtended Reality)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5AL교수법은 문제중심학습(PBL Learning), 하브루타학습(Havruta Learning), 플립드학습(Flipped Learning), 스마트엑티비티학습(Smart Activity Learning) 및 게이미피케이션학습(Gamification Learning)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출시된 확장현실 콘텐츠를 5AL과 접목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또한, 5AL의 5가지 학습법을 통합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시험을 통해서 학습 효과를 확인했다.

하브루타를 적용한 경전강독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Havruta Method in the Reading the Chinese Classics)

  • 이해듬;김용진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9-9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pplied Havruta,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method,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to break from the existing mechanical memorization methods of scripture reading classes, which are basic subjects of East Asian medicine at East Asian medicine universities. Method: To this end, D University's scripture reading course was redesigned according to Havruta's teaching model, and Havruta class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design. Results: As a result of the class, students' Chinese translation ability improved, and they were able to concentrate on class (M=4.24). Through class, they acquired knowledge in the field (M=4.21) and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improved (M=4.21). M=4.25), it can be inferred and interpreted that the learner is engag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amples of apply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quired in the East Asian medicin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East Asian medicine at East Asian medicine universities, and can be used as practical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not only to scripture reading subjects but also to other subjects.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ult Nursing Education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 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547-554
    • /
    • 2019
  • 하브루타는 사고의 과정개발을 위한 최상의 교수학습방법으로, 다양한 학생활동 중심의 교육방법이다. 본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을 간호 대학생에게 적용하여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9월부터 12월까지 U시 소재한 일개 대학의 재학 중인 2학년 간호 대학생 96명 중 실험군 47명, 대조군 49명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유사실험 연구이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2-test$, t-test, Two-way repeated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을 시행한 실험군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가 집단과 시점간의 교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을 시행한 실험군는 교육 후, 비판적 사고성향(md=.14, p=.045), 학습몰입(md=.27, p=.025), 학습만족도(md=.30, p=.03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은 간호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한 학년 및 교과목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기본간호학 수업에서 하브루타 수업방식의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Havruta learning method in fundamentals nursing classes)

  • 김지현;양정하;박선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9-37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본간호학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에게 하브루타 수업방식을 적용한 교육이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는 2023년 9월 18일부터 11월 6일까지 진행되었고, 간호학과 학생 43명을 대상으로 기본간호학 수업에서 6주 동안 하브루타 수업을 적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28.0을 사용해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브루타 수업전후로 문제해결능력(t=4.52, p<.001), 자기주도학습능력(t=-4.61, p<.001), 비판적사고성향y(t=-4.10,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으나, 학습몰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28, p=.782). 하브루타 수업은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을 향상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업방식이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학과 교수들이 하브루타를 활용한 교수학습 전략을 기획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하브루타 수업방식을 다양한 교과목에 활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