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telematic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대구지역에서의 유비쿼터스 헬스 시스템 구축 현황 (Recent Developments of Ubiquitous Health System Construction in Daegu Area)

  • 박기현;유상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17-27
    • /
    • 2006
  • 웰빙의 개념이 점차 확산되고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현재의 여건에서 자신의 건강 상태를 필요시마다 점검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이를 관련 의료기관에 전달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헬스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국내외 유비쿼터스 헬스 연구개발 활동에 대해서 알아보고, 대구지역에서 수행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헬스 프로젝트인 '의료텔레매틱스'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대구지역의 의료텔레매틱스 프로젝트는 지역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대학교, 의료기관, 테크노파크 및 지역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이루고 미래의 유비쿼터스 헬스 산업을 대비하기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있다.

EFFICIENT USN MIDDLEWARE FOR ASSET TRACKING

  • Kim, Kwang-Soo;Kim, Min-Soo;Jo, Jung-Hee;Pyo, Cheol-Sig;Park, Shin-Yo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361-364
    • /
    • 2007
  • A small sized device with computing, communicating, sensing capability is changing our life. It will be deployed in the world and acquire a lot of data from the world. It is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military surveillance, environmental monitoring, structure health monitoring, building management, asset tracking, etc. In this paper we focus on USN middleware for asset tracking. A mobile asset is moving here and there within a specific area. The USN middleware tracks the mobile assets in real-time by using sensor nodes and notify their current positions to a user. To achieve the goal, the USN middleware provides some features related to the positions of mobile assets.. They are storing location data by using 3D indexing method, retrieving them by using spatio-temporal query, making trace of an asset, and retrieving the history data of an asset. In the paper, we developed USN middleware to adapt the requirements of asset tracking. It can help users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ir business related to mobile assets and make a valuable decision.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GIS EVENT PROCESSING SYSTEM

  • Lee, Moon-Soo;Kim, Ju-Wa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66-269
    • /
    • 2008
  • Urban is more intelligent continuously with the help of the convergence with IT technology. And it requires an integrated control system, which can manage urban facilities or monitor large-scale events based on GIS data, to provide its citizen with various ubiquitous services such as u-Health, u-Traffic, context-awareness etc. In order to realize the intelligent city geo-sensors that have the functionalities of generic sensing as well as location awareness will be established everywhere in the near future. Our system we presented have a rule engine to handle a atomic event as well as complex events that contain control flow or branch among them. And it can allow for visualization and monitoring the results through KML (Keyhole Mark-up Language) in the Google Maps. This paper describes au-GIS event processing system that can deal effectively with u-GIS events coming from various geo-sensor data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 PDF

독일 원격의료 합법화와 법개정 논의 (Liberalization of Telemedicine in Germany)

  • 김수정
    • 의료법학
    • /
    • 제21권2호
    • /
    • pp.3-33
    • /
    • 2020
  • 원격의료가 이미 허용되어 상당히 진행된 국가도 있는 반면, 원격의료가 법률해석상 금지되는 국가들도 있다. 최근까지 한국과 독일은 모두 후자에 속하였다. 독일에서 원격의료가 금지되는 가장 주요한 근거는 독일연방의사협회가 마련한 표준의사직업규정 제7조 제4항이 "상담을 전적으로 인쇄 및 통신매체를 통해 수행해서는 안 된다. 원격의료절차에서도, 의사가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었고 각 주(州)의 의사직업규정이 이를 그대로 수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독일 내에서도 전적인 원격의료가 허용되어야 한다는 논의 및 전자의료(E-Health)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와 그를 규제하는 법을 마련해야 한다는 논의가 상당히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2018년 표준의사직업규정이 변경되었고 대부분의 주(州)의사협회가 의사직업규정을 개정하였으므로 이제 독일에서는 원격의료가 대부분 허용된다고 할 수 있다. 아직 우리나라는 원격의료를 허용하지는 않으나, 우리와 같은 입장이었던 독일이 어떤 준비 하에 원격의료 허용 쪽으로 선회하였는지 살펴보는 것은 우리법이 개정될 경우를 대비하여 여전히 중요한 작업이라 할 것이다.

STEPSTONE: An Intelligent Integration Architecture for Personal Tele-Health

  • Helal, Sumi;Bose, Raja;Chen, Chao;Smith, Andy;De Deugd, Scott;Cook, Diane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5권3호
    • /
    • pp.269-281
    • /
    • 2011
  • STEPSTONE is a joint industry-university project to create open source technology that would enable the scalable, "friction-free" integration of device-based healthcare solutions into enterprise systems using 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 Specifically, STEPSTONE defines a first proposal to a Service Oriented Device Architecture (SODA) framework, and provides for initial reference implementations. STEPSTONE also intends to encourage a broad community effort to further develop the framework and its implementat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SODA, along with two implementation proposals of SODA's device integration. We demonstrate the ease by which SODA was used to develop an end-to-end personal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We also demonstrate the ease by which the STEPSTONE system was extended by other participants - Washington State University - to include additional devices and end user interfaces. We show clearly how SODA and therefore SODA devices make integration almost automatic, replicable, and scalable. This allows telehealth system developers to focus their energy and attention on the system functionality and other important issues, such as usability, privacy, persuasion and outcome assessment studies.

Analytical Approach of Multicasting-supported Inter-Domain Mobility Management in Sensor-based Fast Proxy Mobile IPv6 Networks

  • Jang, Ha-Na;Jeong, Jong-Pi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권2호
    • /
    • pp.1-11
    • /
    • 2012
  • IP-based Wireless Sensor Networks (IP-WSNs) are gaining importance for their broad range of applications in health care, home automation, environmental monitoring, industrial control, vehicle telematics, and agricultural monitoring. In all these applications, a fundamental issue is the mobility in the sensor network, particularly with regards to energy efficiency. Because of the energy inefficiency of network-based mobility management protocols, they can be supported via IP-WS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twork-based mobility-supported IP-WSN protocol called mSFP, or the mSFP: "Multicasting-supported Inter-Domain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Sensor-based Fast Proxy Mobile IPv6 Networks". Based on [8,20], we present its network architecture and evaluate its performance by considering the signaling and mobility cost. Our analysis shows that the proposed scheme reduces the signaling cost, total cost, and mobility cost.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IP-WSN nodes, the proposed scheme reduces the signaling cost by 7% and the total cost by 3%.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hops, the proposed scheme reduces the signaling cost by 6.9%, the total cost by 2.5%, and the mobility cost by 1.5%.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IP-WSN nodes, the proposed scheme reduces the mobility cost by 1.6%.

나이변화를 위한 얼굴영상의 분석과 합성 (Analysis and Syntheris of Facial Images for Age Change)

  • 박철하;최창석;최갑석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1B권9호
    • /
    • pp.101-111
    • /
    • 1994
  • The human face can provide a great deal of information in regard to his/her race, age, sex, personality, feeling, psychology, mental state, health condition and ect. If we pay a close attention to the aging process, we are able to find out that there are recognizable phenomena such as eyelid drooping, cheek drooping, forehead furrowing, hair falling-out, the hair becomes gray and etc.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method to estimate the age by analyzing these feature components for the facial image. Ang we also introduce the method of facial image synthesis in accordance with the cange of age. The featur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age can be obtainec by dividing the facial image into the 3-dimensional shape of a face and the texture of a face and then analyzing the principle component respectively using 3-dimensional model. We assume the age of the facial image by comparing the extracted feature component to the facial image and synthesize the resulted image by adding or subtracting the feature component to/from the facial image. As a resurt of this simulation, we have obtained the age changed ficial image of high quality.

  • PDF

800MHz대의 전자파에 노출된 두부의 온도 측정 (Temperature Measurement for the Human Head under Local Exposure of Electromagnetic Wave with 800MHz)

  • 박주태
    • 전자공학회논문지T
    • /
    • 제36T권2호
    • /
    • pp.70-76
    • /
    • 1999
  • 최근에 휴대전화기가 저 연령층까지 널리 보급되어 어린이들의 두부내에 열점(hot-spot)형성문제가 염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파의 인체영향이 체온상승의 열적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휴대전화기에 의해 발생하는 두부내 국소SAR의 인체영향도 두부의 온도상승과 연관된다고 추정된다. 본 논문은 휴대전화기를 실사용 상황에서 시간대별 두부의 국소부위에 대한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휴대전화기의 통화시작점에서 계속적인 온도상승을 보이다가 통화가 끝나는 시점에서 두부의 국소적인 온도변화는 빠르게 회복되지만 생체전신의 평균온도는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래주택에 적용될 고령친화기술의 특성연구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Aging-friendly Technologies into Future Smart Housing)

  • 최경옥;이연숙;황지혜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1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서 융합될 수 있는 미래 스마트주택의 고령친화기술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스마트융합기술을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는 대표적인 국제 저널 ICOST의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고령친화기술 특성의 주요 분석유목을 선별하였다. 2007년~2014년까지 발표된 215개의 논문 중 사용자 지향적 기준에 해당되는 논문 65개를 재 선별하였다. 그리고 선별 된 논문에 나타난 기술 항목은 76개의 요소로 세분화 하였다. 분류된 기술 항목의 특성은 크게 기술의 개발목적과 기술의 적용방식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되었다. 기술의 개발목적에서는 지속가능한 노인의 독립적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의 생리적, 심리적, 편의성, 건강성, 오락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고 있었다. 기술의 적용방식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두 가지로 측면으로 접근하고 있었으며, 소프트웨어는 활용 프로그램을 위주로, 하드웨어 부분은 주택의 고정적인 구조체에서 부터 이동성이 용이한 주택 내 가구, 제품, 착용아이템(wearable device), 로봇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구조체나 가구보다 가변적이고 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생활 제품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볼 때 기술의 적용방식 연구 추세에 있어서 로봇기술 분야는 더욱 많이 증가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은 미래 스마트주택의 고령친화기술에 있어 노인 개개인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사용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보다 맞춤으로서 노인은 물론 다양한 연령과 생활패턴을 수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단계로 발전될 것으로 여겨진다.

센서기반 FPMIPv6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팅 기반의 도메인간 이동성관리 기법 (mSFP: Multicasting-based Inter-Domain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Sensor-based Fast Proxy Mobile IPv6 Networks)

  • 장하나;정종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1호
    • /
    • pp.15-26
    • /
    • 2013
  • IP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IP-WSN)는 의료, 주택 자동화, 환경 모니터링, 산업용 제어, 차량 텔레매틱스 및 농업 모니터링 등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적용은 에너지 효율과 함께 센서의 이동성이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진다. 에너지 비효율로 인해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성관리 프로토콜은 IP-WSN에서 지원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IP-WSN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캐스팅 기반의 빠른 이동성관리 기법(mSFP)을 제안한다. 네트워크 구조와 시그널링 비용, 이동성 비용 등을 고려한 성능분석을 수행하였고[8,20], 분석 결과 PMIPv6와 SPMIPv6에 비하여 mSFP의 시그널링 비용, 전체 시그널링 비용, 이동성 비용이 모두 감소되었다. IP-WSN 노드의 수 측면에서 mSFP의 시그널링 비용은 7%, 전체 시그널링 비용은 3% 더 감소되었다. 홉의 수 측면에서 mSFP의 시그널링 비용은 6.9%, 전체 시그널링 비용은 2.5% 더 감소되었다. IP-WSN 노드의 수 측면에서 이동성 비용은 1.6%, 홉의 수 측면에서 이동성 비용은 1.5% 더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