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onrie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7초

백로류 집단번식지의 식물사회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ve Composition Among Plants in the Heronries)

  • 안경환;임정철;한창욱;이윤경;조항수;서재화;서민환;신영규;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5호
    • /
    • pp.499-515
    • /
    • 2015
  • 본 연구는 백로류 집단번식지를 구성하는 식물사회의 특성과 변화를 이해하고 기초 생태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100개 이상의 둥지가 있는 전국 25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백로류 집단번식지의 식물군락은 8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17종의 귀화식물을 포함하여 총 60과 129속 167종이 확인되었다. 진단종으로서 호광성이면서 부영양화 또는 산성화된 입지에 내성을 가지는 미국자리공, 쇠무릎, 닭의장풀 등의 기여도가 높았으며, 일년생식물의 구성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입지적으로는 서식지의 0.5km 이내에 선호하는 취식공간 (논, 하천 등의 습지)이 분포하고, 주로 동향인 산지사면에 위치하였다. 집단서식지의 식물사회는 유형별 입지 환경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특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토양 오염 지역, 수관이 개방된 지역 또는 교란이 빈번한 지역 등과 유사한 식물상을 가진다.

전라남도 내의 백로류 집단번식지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xed heronries in Jeollanam-do)

  • 이두표;김상진;황인천;임동옥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6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 /
    • pp.86-96
    • /
    • 2006
  • 본 연구는 백로류 집단번식지의 보호 및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5년도 번식기에 전라남도 전역을 대상으로 번식지의 분포, 번식조류 종류 및 개체수에 대한 센서스를 실시하고 백로류 생태에 중요한 번식지 특성을 파악하였다. 센서스 결과 집단번식지는 총 17개소, 번식종류는 6종이 확인되었으며 왜가리와 중대백로가 가장 많은 지역(각각 92%)에서, 가장 많은 수(36.3%, 31.0%)가 번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식지 식생은 대나무 군락이 53.3%로 가장 많았다. 번식지 면적은 평균 $2,346m^2(500{\sim}7,000m^2$), 가까운 두 번식지간 거리는 평균 18.1km($5.6{\sim}40.4km$), 번식지와 마을간 거리는 평균 297m($10{\sim}2000m$), 번식지 경사도는 평균 $18^{\circ}(2^{\circ}{\sim}40^{\circ})$ 이었으며 번식지 사면방향은 동쪽이 40.0%로 가장 많았다.

  • PDF

전라남도 내의 백로류 집단번식지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ixed Heronries in Jeollanam-do)

  • 이두표;김상진;황인천;임동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6-191
    • /
    • 2007
  • 본 연구는 백로류 집단번식지의 보호 및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5년도 번식기에 전라남도 전역을 대상으로 번식지의 분포, 번식조류 종류 및 개체수에 대한 센서스를 실시하고 백희류 생태에 중요한 번식지 특성을 파악하였다. 센서스 결과 집단번식지는 총 17개소, 번식종류는 6종이 확인되었으며 왜가리와 중대백로가 가장 많은 지 역(각각 92%)에서, 가장 많은 수(36.3%, 31.0%)가 번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식지 식생은 대나무 군락이 53.3%로 가장 많았다. 번식지 면적은 평균 $2,346m^2(500{\sim}7,000m^2)$, 가까운 두 번식지간 거리는 평균 $18.1km(5.6{\sim}40.4km)$, 번식지와 마을간 거 리는 평균 $297m(10{\sim}2,000m)$, 번식지 경사도는 평균 $18^{\circ}(2^{\circ}{\sim}40^{\circ})$이었으며 번식지 사면방향은 동쪽이 40.0%로 가장 많았다.

도시숲 백로류의 잠재번식지 선정을 위한 서식환경 조사 - 군산 백로류 집단번식지를 중심으로 - (A Survey on the Family Ardeidae Habitat for the Selection of the Alternative Breeding Sites at the Urban Forest in Korea)

  • 김정수;김상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2
    • /
    • 2017
  •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habitat data for the alternative breeding sites of Family Ardeidae including Ardea cinerea, Egretta alba modesta, Egretta intermedia, Egretta garzetta, Bubulcus ibis and Nycticorax nyciticorax. Species numbers, flight directions for detecting foraging grounds and current vegetation structure were investigated nesting at Gunsan urban forest area. Data were collected over a period of 10 weeks, from 15 June - 31 August 2014. The total nest and population of Family Ardeida were 684 and 1,712 respectively. Percentage of birds observed flying in 8 major compass directions were as follows. 57.27% of all birds were observed flying northwest, 22.09% were observed flying south and 13.40% were flying north. For possible foraging areas, to the northwest, there are Geumgang river tidal flats, and to the south, paddy fields and streams within 2km. Flying directions by species (${\chi}^2=287.18$, P<.001, Cramer's V=0.12) and by seasons(${\chi}^2=839.94$, P<.001, Cramer's V=0.19)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relation between species and directions, 60.31% and 24.05% of Bubulcus ibis and 59.40% and 23.00% of Ardea cinerea were observed flying northwest and south respectively. Vegetation in the sites consist of an overstory of 3 to 7 species. At site 1, Pinus thunbergii was the dominant species and site 2, Chamaecyparis obtusa. Understory vegetation is composed of shrubs, saplings and small trees of Chamaecyparis obtusa, Quercus acutissima, Smilax china and Platycarya strobilacea. Egrets and herons usually nested at the dense population and canopy overlayed forest, and especially branches and leaves of smallwood with less than 10cm of breast height diameter were relatively severely damaged due to the nesting and excre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