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erachical Analysi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3초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SANAA 작품의 비위계적 공간구성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hierachical Arrangement of SANAA's Work by Space Syntax)

  • 이기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735-744
    • /
    • 2016
  • 본 논문은 알미르 슈타트 극장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하는 공간의 비위계적 구성(non-hierachical arrangement)으로 평면계획이 이루어진 SANAA의 작품들을 선정하여 공간구문론(space syntax)에 의한 정량적 분석을 시도하였고, 외형적으로 보여지는 평면구성의 비위계성이 정량적 수치값으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외형상 보여지는 비위계적 평면구성을 보이는 SANAA의 각 공간들은 정량적 수치값의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외형적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는 공간의 위계 차이가 분명히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통합도(Integration)값이 높은 공간들은 연결도(Connectivity)값도 대부분 함께 높음을 알 수 있었는데, 비위계적 평면구성의 위계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공간의 출입구 개수를 늘리거나, 실의 크기와 위치조정을 통해 숨겨진 위계성을 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SANAA는 그리드 형태의 평면구성에서 내부 복도 대신에 외곽부 복도를 이용하여 접근성 문제의 해결을 시도하고 있으며, 방과 방 사이의 오픈 코트 공간은 자연채광과 환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공간의 숨겨진 위계성을 조절하는 장치로 채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로위계구조를 고려한 노선배정기법에 관한 연구 (Traffic Assignment Incorporating Route Choice Behavior in Hierachical Highway Structure)

  • 김익기;김태중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33
    • /
    • 1995
  • Conventional traffic assignment techniques usually do not consider traveler's route choice behavior affected by hierachicla strucfture in urban highway system. This study realizes the route choice behavior such that travelers tend to choose more higher level of highway rather than lower level of highway for longer trops. Otherwise, for shorter trips, travelers tend to choose lower level of highway unless they can get sufficient travel time saving by using mojor arterial street or freeway (higher level of highwa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traffic assignment technique incorrporating route choice behavior related to hierachical highway structure by introducing some perception costs to generalized cost function such as perceptional preference measureemnt for higher level higheay and perceptional penalty when changing to different level of highway. Through simulation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simulation results with the new traffic assignment echnique can be different a lot from the results with the convential method.

  • PDF

Hot-Spot 마이크로셀을 가진 계층적 CDMA 셀룰러 시스템에서 역방향 및 순방향 링크에 대한 주파수 공유 방식의 용량 분석 (Capacity of Spectrum Sharing Scheme for Reverse/Forward Link in Hierachical CDMA Cellular Systems with Hot-Spot Microcell)

  • 이상문;이영용;최형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2B호
    • /
    • pp.1686-169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Hot-spot 마이크로셀을 가진 계층적 CDMA 셀룰러 시스템에서 여러 가지 자원 공유 방식들 중 스펙트럼 공유 방식에 대한 용량을 역방향 링크와 순방향 링크 대해 분석한다. 용량 분석은 마이크로셀 반경 및 마이크로셀의 위치 및 매크로셀에 대한 마이크로셀의 전력 비를 고려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행된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스펙트럼 공유 방식의 용량을 각 링크에 대해 이러한 영향들을 분석하였고, 일반적인 설계 접근방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링크에 대해 스펙트럼 공유 방식의 성능을 용량 평면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 PDF

Inter-LMA 이동시 Handover Latency 개선 방안 및 성능 분석 (Handover Latency Improvement & Performance Analysis over Inter-LMA)

  • 장재철;박병주;김대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8호
    • /
    • pp.34-42
    • /
    • 2009
  • 기존 이동통신 트래픽은 기존 음성위주에서 무선 인터넷접속 SMS/MMS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서비스위주로 확대되고 있고, 대용량 인터넷 사용니즈가 유선에서 무선환경으로 바뀌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인터넷(WIBRO) 및 갖가지 3G 데이터 상품들이 상용화되었고, 무선 인터넷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MIPv6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2004년 표준화된 MIPv6에서 Fast MIPv6(2005), Hierachical MIPv6(2005), Proxy MIPv6(2008) 등 성능이 개선된 프로토콜 및 관련 기술이 활발히 연구중이다. MIPv6에서 가장 중요한 지연요소가 기지국간 이동시 핸드오버 지연과 패킷 손실인데 08년 8월 발표한 PMIPv6에서는 이동 관련 시그널링 메시지 및 지연 감소에 성능개선 효과가 크지만 1개의 LMA 도메인을 고려하여 기술하였다. 복수개의 LMA를 가정하여 LMA간 이동시에는 현재 특별한 규정이 없어 과도한 지연 시간으로 실시간 통신에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LMA간을 이동할 경우를 가정하여, 세부절차 정립과 다양한 개선기법을 적용하고, 성능개선 효과를 확인한다.

건축구조해석을 위한 선후처리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ing A Pre-and Post-Procellor for Building Analysis)

  • 이정재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1-43
    • /
    • 1994
  • General concepts and overall procedures of inter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 a preand post- processor, for building analysis are introduced. Attention is forcused on the data structures and the modeling operators which can ensure the intergrity of its database should have. An example of model building process is presented to illustrate its capability, its facilities for modifying, and for processing.

  • PDF

계층적 슬라이싱 알고리즘을 사용한 정맥 패턴 검출 (Extraction of Vein Patterns using Hierachical Slicing Algorithm)

  • 최원석;장경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61-864
    • /
    • 2009
  • 최근에는 손의 다양한 부위에서 정맥을 인식하기 위한 생체인식 기술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맥 패턴을 검출하기 위한 계층적 슬라이싱 방법을 제안한다. 스캔한 정맥 이미지를 다양한 두께 값으로 슬라이싱한다. 슬라이스된 이미지에서 평균 밝기값을 구하고 이를 곡률 값으로 변환하여 정맥 후보 구역을 검출한다. 이 정맥 후보 지역을 재검색하여 중복 검출된 지점을 분석하여 실제의 정맥 패턴을 찾아낸다. 이를 통해 원래 이미지에서 정맥 패턴을 검출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공문적 분업과 지방 노동시장의 특성에 관한 연구 -구미공업단지 섬유.전기전자산업을 중심으로- (Spatial Division of Labor in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Kumi Local Labor Market)

  • 박원석
    • 지역연구
    • /
    • 제6권1호
    • /
    • pp.11-38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first to present the spatial division of labor in Korea and its mechanism, and second, to elucidate the organic integral relation between local labor market and local community by studing the mechanism that the spatial division of labor is projected into the individual lacal labor marker, and reproduction of labor force process in this local labor market. According to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frame of this analysis is done, the positive analysis is made and Kumi is choosed as its analysis case area. The main data is from 'Survey Report on Manufacturing Idustry Wage Conditions' published by Minimum Wage Council, Ministry of Labour and from the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on textile industry and electric electronics industry firms in Kumi Export Industrial Estat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The mechanism of spatial division of labor in Korea, seen through the employment structure index, is accelerating the regional discrimination by fixing the regional hierarchisation between Seoul (or Seoul Metropolitan Area as expanded Seoul) and other areas. But it is also developing highly the regional employment structure at the level of technical division of labor, since the spatial division of labor in Korea is leaded by large firms and influenced by the policy for regional development. 2. Local labor market is formed in Kumi area and its delimitation is Kumi city. The employment structure of Kumi local labor market is occupying lower hierarchy division at management hierachical level and occupying upper hierarchy division at the level of technical division of labor, and brand plants of large firs are determinating and dominating this emplogment structure. These bdranch plants of large firs are forming more favorable and stabel labor marker than locally controlled ploants in Kumi local labor market. But the reproduction of labor force process in Kumi local labor market is not fully carried out and leaked into central city, therefore Kumi is now becoming an unstable local community, suffering from large movement of population. This is because Kumi local labor market is found not for itself, but by the state policy and externally controlled plants of large firms, and therefore no potentiality to control and to absorb the exterior influences is built in Kumi local labor market. 3. The case firms A, B have spatial division of labor between decision-making function and production function, and between upper management hierachical labor force and lower management hierachical labor force in internal labor market.

  • PDF

계층형 MPLS 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를 이용한 장애 복구 방안에 관한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about the Failure Restoration Scheme Using a Multi-path in Hierarchical MPLS Networks)

  • 장성진;김기용;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1-64
    • /
    • 2007
  • MPLS 네트워크에서 QoS(Duality of Service)에 관한 요구가 증대함에 따라 확장성을 보장하고 장애 복구를 위한 다중 경로 계산 방안들에 관한 여러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MPLS 네트워크는 트래픽에 관한 확장성 문제와 기존의 장애 복구 방식들의 경우 자원 낭비와 많은 지연 발생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SP 다중경로 라우팅 알고리즘을 적용한 망의 효율적인 관리 및 신속한 장애 복구를 위해 H-MPLS(Hierachical-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네트워크 제안한다. 또한 확장된 규모의 망을 계층형 MPLS로 구성하여 기존의 장애복구 방식을 다양한 네트워크 모델로 적용하고, 이를 NS 시뮬레이터를 통해 성능 분석하여 그 효율성 및 확장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유한요소해석을 위한 3차원 구조물의 기하학적 모델링 (Geometric Modelling of 3-Dimensional Structures for Finite Element Analysis)

  • 이재영;이진휴
    • 전산구조공학
    • /
    • 제4권1호
    • /
    • pp.109-120
    • /
    • 1991
  • 이 논문은 유한요소해석의 전처리를 위한 3차원 구조물의 가하학적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제안한 모델링 체계에 의하면 구조물의 모델은 조절점, 곡선, 곡면 및 입체의 계층적 구성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형성된다. 혼성함수와 경계표현법을 기본으로하는 여러가지 곡면 및 입체의 모델링 방법을 유한요소망 발생에 적합하도록 체계화하였으며, 모델합성 및 연산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유한요소해석 전처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