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tide marsh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전북 동진강 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Salt Marshes of Dongjin-river Estuary in Jeonbuk)

  • 김창환;이경보;김재덕;조태동;김문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9호
    • /
    • pp.817-82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bout salt marsh flora and vegetation in the Dongjin-river estuary area where has a project for Sea Man Geum Reclaimed Land so that we can foster foundation on restoration of an ecological habitat, development of applicable plant and establishment of a conservation policy after deceloping the reclaimed land for salt marsh vegetation which has great value ecologically. In conclusion, we was distributed that there are 7 families 21 genera, 25 species, 2 varieties of vascular plant at the Dongjin-river estuary area which have 27 taxa in total and are $0.64\%$ among 4,191 of korean vascular plant. There are also 2 family, 2 genus, 2 species of a naturalized plant which are $1.1\%$ of indicator of a naturalized plant salt marsh vegetation of the downstream are very much affected by the time of inundation, tidal water so that a low degree of salt marsh has frequent flooding by sea water and has a pure group of Suaeda japonica. A Phragmites communis, Carex scabrifolia are distributed mainly around a waterway of salt marsh and Zoysia sinica, Atriplex subcordata, Phragmites communis are living in stock as forming into patch around medium salt marsh. Suaeda asparagoides, Phacelurus latifolius are living around a little high ground and a Phragmites communis is a behind vegetation of Phacelurus latifolius and a part of the Phragmites communis are living along with waterway in a salt marsh as a community. By the 2-M method twelve plant communities were recognized ; Suaeda japonica. Carex scabrifolia, Zoysia sinica, Artemisia scoparia, Phacelurus latifolius, Phragmites communis, Suaeda maritima, Suaeda japonica-Atriplex gmelini, Phragmites communis-Suaeda japonica, Suaeda japonica-Salicornia herbacea, Salicornia herbacea-Suaeda aspar-agoides and Scirpus planiculmis community.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constructed on the grounds of the communities classified and other data.

전북 만경강 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Salt Marshes of Mankyeong River Estuary in Jeonbuk)

  • 김창환;이경보;조두성;명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9-298
    • /
    • 2006
  • 만경강 하구역 염습지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10과 25속 29종 3변종으로 총32종류(taxa)가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5과 6속 6종 1변종 총7종류(taxa)이 조사되었다. 식물의 생활형에서 휴면형은 반지중식물(H)이 10종, 31.3%로서 1년생식물의 10종과 동일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번식형에서는 중력산포형이 23종으로 71.9%로 나타났다. 생육형을 보면 직립형이 9종, 총생형이 9종, 후직립형이 5종으로 조사되었다. 식생의 특징은 조간대가 넓게 펼쳐져 있어서 조수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 식생의 구성종으로는 칠면초가 가장 높은 우점도를 보이고 있으며, 갯개미취, 모새달, 갈대, 비쑥, 천일사초 등이 주로 나타난다. 표조작법에 따라 식물군락을 분류한 결과 칠면초 군락, 갯개미취-비쑥 군락, 해홍나물 군락, 해홍나물-칠면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 갈대 군락, 털물참새피 군락, 갯개미취 군락, 칠면초-갯개미취 군락, 갯개미취-칠면초 군락, 모새달 군락의 11개 군락으로 구분되어졌으며, 염습지내 식생의 분포는 저위염습지와 고위염습지의 지형적 차이에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칠면초 군락은 우리나라 서남해안 갯벌 염습지의 우점종으로서 본 조사지역내 저위염습지에서는 순군락을 이루고 있다. 염습지의 수로, 습지, 해안하구 주변에서는 주로 갈대가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기수지 역, 염습지내 토사가 퇴적된 곳 등에서는 천일사초가 집중반상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다.

A Preliminary Study on Changes in Macrobenthic Assemblages in the Fenced Experimental Plots for Restoring Tidal Marsh, Hogok-ri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Koo, Bon-Joo;Je, Jong-Geel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63-71
    • /
    • 2002
  • This preliminary study on the changes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experimental sediment fences was conducted as a part of tidal marsh restoration project. Intertidal sediment fences were design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pping sediments on unvegetated tidal flats in order to raise sediment elevation and to allow colonization of intertidal vegetation. Although increment of soil surface level was not observed over the first three months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obtain some effects of the sediment fence. Three months later, the particle sizes of the surface sediment at experimental plots became much finer compared to unfenced areas on the natural mudflats located in the same tide level as that of the plots. The difference was much greater on the plot with drainage canals than on the plot without ones. Species diversity of the experimental plots became much higher than that of natural sites. Perinereis aibuhitensis and Glauconome chinensis which were absent from initial community appeared with high density in the plot with drainage canals. Those spe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bund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plot and the natural mudflat.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were not detected in another experimental plot without drainage canals.

Soil factors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Phragmites australis and Phacelurus latifolius in upper tidal zone

  • Nam, Bo Eun;Hong, Mun Gi;Park, Hyun Jun;Kim, Jae 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205-210
    • /
    • 2018
  • To assess the environmental factors determining the zonation between Phacelurus latifolius and Phragmites australis, vegetation survey and soil analysis were performed at a tidal marsh. The vegetation of the tidal marsh was classified into P. latifolius and Suaeda japonica dominated quadrats, P. latifolius and P. australis dominated quadrats, P. australis dominated quadrats, and P. australis and other land plants dominated quadrats. The density of P. latifolius ($83.7{\pm}5.5\;shoots\;m^{-2}$) was higher than that of P. australis ($79.3{\pm}12.1\;shoots\;m^{-2}$) in each dominated quadrat but height of two species were similar. Soi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 latifolius dominated quadrats appeared to be affected by tide based on higher soil electric conductivity ($EC_{PL}=1530{\pm}152{\mu}Scm^{-1}$ ; $EC_{PA+PL}=689{\pm}578{\mu}Scm^{-1}$ ; $EC_{PA}=689{\pm}578{\mu}Scm^{-1$) and lower pH ($pH_{PL}=5.96{\pm}0.16$ ; $pH_{PA+PL}=6.28{\pm}0.31$ ; $pH_{PA}=6.38{\pm}0.22$). In redundancy analysi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 latifolius dominated quadrats and P. australis dominated quadrats were clearly separated and those of P. latifolius and P. australis co-dominated quadrats were similar to P. australis dominated quadrats. From our investigation, P. latifolius showed relatively high competitiveness when compared to P. australis in lower tidal zone rather than upper tidal zone. Zonation of P. latifolius and P. australis seems to be a transitional zone between halophytes and land plant species.

TerraSAR-X를 이용한 조간대 관측 (Investigation of Intertidal Zone using TerraSAR-X)

  • 박정원;이윤경;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3-389
    • /
    • 2009
  • TerraSAR-X자료를 이용하여 고해상 X-밴드 SAR시스템을 이용한 조간대 갯벌 관측에의 적용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연구대상지 역은 강화도 남단과 영종도를 잇는 조간대이며, 단일편파자료와 이중편파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X-밴드 영상에서의 연안의 레이더 반사도 특성 연구 및 waterline 추출 정밀도를 평가하였다. 연안지역의 waterline은 HH 편광자료의 레이더 반사도 특성을 통하여 추출하였을 때 가장 신뢰도가 높았으며, TerraSAR-X 시스템의 짧은 파장과 높은 궤도정밀도로 인하여 정밀한 지리좌표로의 변환이 가능하였다. 연구지역의 조간대 지형 경사도는 평균적으로 수평방향으로 60 m당 20 cm의 고도변화를 가지므로, TerraSAR-X HH 편광자료를 이용한 waterline 추출은 정밀한 조간대 DEM 추출로 응용될 수 있다. 둘째, 이중편파자료의 편파특성을 이용한 조간대 영생식물의 산란특성을 관측하였다. 조간대 수륙경계부에서 잘 관측되는 칠면초와 같은 염생식물은 해수면변화에 따른 조간대의 육지화 모니터링에 좋은 표적이 된다. TerraSAR-X 이중편파자료의 산란특성을 이용한 염생식물 관측결과는 2007년에 현장에서 취득된 실측자료와 비교하여 3 dB 이내의 정밀도로 일치하였다. 셋째, 단일편파자료의 레이더 간섭기법을 이용한 조간대 DEM작성을 시도하였다. 조간대 내에서 육지화가 진행된 지역은 표면에 염생식물이 발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간섭긴밀도를 나타내었다. 레이더 간섭기법을 통한 DEM의 제작은 일반적인 조간대에서는 적용이 제한적이며, TanDEM-X의 적용이 필요하다.

강화도 남단에 도래하는 도요새들의 해안 내륙 휴식지 이용과 이들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들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roost use of shorebirds in the southern Kanghwa Island, Republic of Korea)

  • 김관목;문영민;유정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51-264
    • /
    • 2013
  • 도요 물떼새들은 만조시에 해안 내륙 휴식지에서 휴식을 취하는데, 휴식지를 선택할 때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려한다. 우리는 도요 물떼새 8종(알락꼬리마도요 Numenius madagascariensis, 청다리도요 Tringa nebularia, 큰뒷부리도요 Limosa lapponica, 개꿩 Pluvialis squatarola, 민물도요 Calidris alpine, 중부리도요 Numenius phaeopus, 마도요 Numenius arquata, 뒷부리도요 Xenus cinereus)을 대상으로 휴식지의 시공간적 이용과 그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휴식지 내 고인 물의 면적과 길이, 기온, 풍속, 종별로 이동시기, 방해정도를 변수로 고려하였다. 시공간적으로, 이용하는 종이 달랐으며 개체수 또한 변동을 거듭하였다. 그리고 도요 물떼새의 휴식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종-특이적이었다. 연구지역의 휴식지는 폐장한 새우양식장이었으나 조사 기간 중 염생습지에서 자라는 함초 Salicornia herbacea 농장으로 전환하였다. 휴식지가 필요한 상황에서, 도요 물떼새들의 생태를 기초로 해서 기존 휴식지를 관리할 것을 권한다. 더불어, 여름철 가뭄에는 양식장의 수문을 열어주어 도요 물떼새들이 물을 이용해 체온관리를 할 수 있게 해주고, 만조시 도요 물떼새들이 양식장 안으로 날아 들어올 수 있도록 새들이 휴식지를 찾기 시작하는 만조 전네 시간부터는 농장 작업을 안 할 것을 권한다.

황해 곰소만 조간대에 발달한 Chenier의 퇴적학적 특성과 진화 (Sedimentary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History of Chenier, Gomso-Bay tidal Flat, Western Coast of Korea)

  • 장진호;전승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2-228
    • /
    • 1993
  • 황해 곰소만 조간대(대조차 환경)의 평균고조선(M.H.W) 상위의 니질 조간대층 위 에는 모래(95%)와 역(2.5%) 그리고 패각물질로 구성된 Chenier가 발달하고, Chenier의 바다쪽 사질 조간대층 위에는 모래와 패각으로 구성된 다수의 조간대사주(Intertidal sand shoal) 가 발달한다. Chenier는 양끝이 육지방향으로 흰 활모양의 형태로서 길이 는 약 860 m, 너비는 30∼60 m이며, 높이는 주변의 조간대보다 1∼1.6 m 더 높다. 내 부 구조는 대부분 육지 방향의 경사를 갖는 사층리군(Cross bed sets)으로 구성되며, 하부의 니질 조간대층과 매우 뚜렷한 경계를 갖는다. 이러한 Chenier는 1,800년 B.P. 이후 저조선 부근에서 사질물질의 재동에 의해 형성된 조간대사주(Intertidal sand shoal)가 육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형성되었는데, 현 Chenier의 서쪽 부분은 1967년 중부 조간대에 위치했던 조간대사주가 육지쪽으로써 형성되었는데, 현 Chenier의 서쪽 부분은 1967년 중부 조간대에 위치했던 조간대사주가 육지쪽(남동쪽)으로 약 300∼500 m 이동, 1976년 이후 상부 조간대에 위치한 기존의 Chenie에 연결됨으로써 형성되었 다. 지난 2년 동안 (1990∼1992) 연속측량을 통해 Chenier의 이동을 추적한 결과, Chenier의 이동 만조(Flood tide)의 수위 혹은 Swash의 높이와 관계되어 Washover 작 용과 Swash 작용에 의해 난무동쪽(육지쪽)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이동은 하절기 (6∼7 m/yr) 더욱 우세하였다. 따라서 곰소만 조간대에 발달한 Chenier의 형성과 이 동은 1,800년 B.P. 이후 해수면이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조석, 파랑, 태풍 등 주로 동력학적 제조건의 변화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