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ppophae rhamnoides leaf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4초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나노에멀젼 연구 (A Study on Nano-emuls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Hippophae rhamnoides Leaf Extract)

  • 채교영;권순식;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3호
    • /
    • pp.260-26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0.01, 0.03, 0.05, 0.10% 함유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고, 5주 동안 이들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 입도분포 및 피부 투과능을 평가하였다. 나노에멀젼은 균질기(homogenizer) 처리 후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은 단분산 형태를 나타내었다. 5주 동안 실험에서, 0.0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가장 안정하였다. 0.0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함유 나노에멀젼의 in vitro 피부 투과 실험을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Oil-in-water (O/W) 에멀젼과 비교할 때 나노에멀젼이 피부 흡수가 더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O/W 에멀젼보다 안정성과 피부 투과능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비타민나무(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부위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 박유화;임상현;함헌주;정햇님;이광재;김경희;김성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75-979
    • /
    • 2010
  • 국내에서 재배된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의 생리활성을 부위별(줄기, 잎, 뿌리, 열매), 용매별(물, 에탄올)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 실험에서, 비타민나무의 저해활성은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이 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이 88.7% 순으로서 대조구 acarbose의 20.2%보다 훨씬 높았다. Pancreatin 기원의 $\alpha$-amylase 억제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잎의 물 추출물이 54.7%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가장 높았다. HT-29 cell과 DU-145 cell의 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 시험 결과 뿌리의 물 추출물에서 각각 47.1%, 32.3%의 항암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항균활성 실험 결과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위해균주인 Clostridium butyricum, Proteus mirabilis, Shigella flexneri에 대한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생리활성 효과가 나타난 물질에 대한 분리, 정제 등의 연구가 계속 수행되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착즙 분말의 항산화 활성 및 Nitric Oxide 생성과 Elastase에 대한 저해활성 (Antioxidative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 and Juice Powder from Hippophae rhamnoides L. against Nitric Oxide and Elastase Production)

  • 박주희;이찬옥;유지혜;;유남호;김명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9-126
    • /
    • 2018
  • Background: The flowering plant Hippophae rhamnoides L. has been used for many studies on fruit or leaf extra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a new cosmetic material from H. rhamnoides fruits and leaves that have by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wrinkle improvement activities. Methods and Results: The antioxidant abilities of H. rhamnoides extracts, including of a water-soluble fruit powder (FW), a fatsoluble fruit powder (FF), a supercritical extract of fruit by-product (BS), and a mixture of leaf and fruit (MIX), were investigated in vitro. A DPPH radical assay for antioxidant activity was performed for these fractions alongside assay to evaluate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TPC and TFC). As expected, the MIX ha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C_{50}=10.27{\mu}g/m{\ell}$), and the TPC and TFC also were highest in MIX ($225.7mg{\cdot}GAE/g$, and $25.18mg{\cdot}QE/g$, respectively).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PS-induced RAW264.7 cells was estimated and the results indicated an over 75% decrease of NO production in FF and MIX. In other assays, the highest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was found in FW. Conclusions: These results revealed that H. rhamnoides extracts have a high potential for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wrinkle activities. H. rhamnoides products are suggested to be applied as the functional materials of cosmetic ingredients.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 (Antioxidative and Inhibitory Activities on Tyrosinase of Hippophae rhamnoides Leaf Extracts)

  • 김정은;채교영;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65-27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활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우수한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 = 4.68 ${\mu}g$/mL)을 나타내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아글리콘 분획의 총항산화능($OSC_{50}$)은 0.19 ${\mu}g$/mL이었다.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에 대하여 $^1O_2$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 결과 아글리콘 분획은 10 ${\mu}g$/mL의 낮은 농도에서 ${\tau}_{50}$이 133.3 min으로 매우 큰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비타민나무 추출물 아글리콘 분획의 tyrosinase 저해활성($IC_{50}$)은 54.86 ${\mu}g$/mL로, 미백제로 알려진 arbutin보다도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 활성 및 크림의 안정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Hippophae rhamnoides Leaf Extract and the Stability of a Cream with the Extract)

  • 채교영;김정은;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3-49
    • /
    • 2012
  •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균활성(MIC)을 측정한 결과 피부염의 원인인 S. aureus에서 0.06%로 methyl paraben(MP)의 0.25% 및 quercetin의 0.15%와비교하여 큰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여드름균인 P. acnes는 0.25%로 MP의 0.25% 및 quercetin 0.30%와 비슷한 항여드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0.25%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의 12주 동안온도별 저장($4^{\circ}C$, $25^{\circ}C$, $37^{\circ}C$, $45^{\circ}C$) 및 태양광선 노출에서pH 결과는 0.08, 0.23 0.52, 1.34, 0.70 감소하여 안정적인 순서는 $4^{\circ}C$ > $25^{\circ}C$ > $37^{\circ}C$ > 태양광선 > $45^{\circ}C$로 측정되었다. 온도별 저장 조건에서 비교크림의 점도는 초기 점도보다 2,096 cP 낮은 았지만 저장 기간동안 점도의 변화가 대조크림의 변화보다 적은 감소폭을 나타내었으며 태양광선에 노출시킨 크림의 영향을 제외하고는 모두 대조크림과 비슷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태양광선에서 대조크림의 점도가 감소하는 것과 비교해서 비교크림 점도의 증가는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이 태양광선에 대항하는 보호제로 크림의 점도를 유지시켜 제품을 안정화시키는데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에탄올에 용해시켜 4주 동안 저장 하였을 때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최대 흡수파장인 270 nm에서 관찰시 초기 흡광도에 비해 약 43% 감소하였고, 비교크림을 온도별로 저장하였을 때는 $4^{\circ}C$, $25^{\circ}C$에서 흡광도 변화는 각각 6%, 5%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고 보여지며 $37^{\circ}C$, $45^{\circ}C$, 태양광선에 저장한 비교크림은 22%, 27%, 37% 감소하였다. 크리밍이나 응집, 합일과 같은 분리 현상이나 산화에 의한 특이취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비타민나무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0.25%에서 P. ovale, P. acnes, 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 나타내며 이에 따른 결과를 참고하여 비타민나무 잎추출물을 0.25% 함유한 크림은 비교적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제품에 응용 시 사전 연구에서[8] 나타난 항산화및 미백과 주름개선에 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보완연구가 이루어 진다면 화장품의 제품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Leaf Extracts Protect Neuronal PC-12 Cells from Oxidative Stress

  • Cho, Chi Heung;Jang, Holim;Lee, Migi;Kang, Hee;Heo, Ho Jin;Kim, Dae-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7호
    • /
    • pp.1257-1265
    • /
    • 2017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leaves (SBL)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revealed five major phenolic compounds: ellagic acid, gallic acid, isorhamnetin, kaempferol, and quercetin. SBL harvested in August had the highest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Treatment of neuronal PC-12 cells with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SBL harvested in August increased their viability and membrane integrity and reduced intracellular oxidative stres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relative populations of both early and late apoptotic PC-12 cells were decreased by treatment with the SBL ethyl acetate fraction, based on flow cytometry analysis using annexin V-FITC/PI stai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BL can serve as a good source of antioxidants and medicinal agents that attenuate oxidative stress.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in In Vitro Culture of Hippophae rhamnoides

  • Lee, Songhee;Cho, Wonwoo;Jang, Hyeonsoo;Chandra, Romika;Lee, Sora;Kang, Hoduc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148-153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in vitro propagation system influenced by plant growth regulators through organogenesis with three different seed sources (China, Mongolia and Russia) for conservation of genetic resources in Northeast Asia. The experiment compared two different carbon sources (commercial sugar, sucrose),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rmination rate. Induced adventitious buds from leaf segments were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when supplemented with 1.0 mg/L BA, 1.0 mg/L Kinetin, and 5.0 mg/L IAA, in the case of Chinese origin 96.8%, Russian origin R-1: 95.6%, R-2: 85.6%, and Mongolian origin M-2: 77.8%. It was effective in BA and Kinetin with supplemented with IAA, respectively. Shooting development was also efficient in Woody Plant Media (WPM) supplemented with 1.0 mg/L BA, 1.0 mg/L Kinetin and 5.0 mg/L IAA.

비타민나무(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잎 에탄올 농도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eaf extracts at different ethanol ratios)

  • 박민규;주신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5-6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 농도를 달리한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에탄올 농도별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40% 에탄올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285.06, 285.64 mg GAE/g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총 비타민 C, 클로로필 a, 클로로필 b, 총 클로로필 함량은 각각 100% 에탄올 추출물이 123.78 mg NE/g, 807.11 mg/100 g, 30.65, 49.20, 77.58 g/mL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40% 에탄올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이 DPPH 라디칼 소거능(IC50 49.18, 49.03 ㎍/mL), ABTS+ 라디칼 소거능(IC50 67.52, 65.71 ㎍/mL), 아질산염 소거능(IC50 5.15, 4.24 ㎍/mL) 및 환원력(0.90-2.60, 0.97-2.73 O.D.)에서 가장 활성이 좋았고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은 40% 에탄올 추출물이 IC50 60.80 ㎍/mL로 활성이 좋았다. 또한 아질산염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의 경우 비교군보다 활성이 좋거나 비슷하여 비타민나무 잎의 천연 항산화 물질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물질과 항산화 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715-0.990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 제조 시 40% 에탄올 및 80% 에탄올 용매를 사용할 경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