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Area Network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3초

PAN (Personal Area Network) 기반 가상 홈 (Virtual Home) 지원을 위한 홈 네트워크 연동 모델 연구 (A Study on Home Network Functional Model for Personal Area Network based Virtual Home Network)

  • 강현중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67-174
    • /
    • 2005
  • 다양한 차세대 PC 및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 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PMG (Personal Mobile Gateway)를 기반으로 하는 PAN의 보급의 보편화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 출현이 예상된다. 이러한 휴대 게이트웨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소형 단말로 구성된 PAN을 홈과 지속적으로 연결하여 가정내외 (家庭內外) 네트워크가 통합된 가상 흠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 구성 필요하다. 가정내기기 간 연동은 다앙한 표준화를 거쳐 서비스 단계에 접어들었지만, 휴대 게이트웨이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소규모 네트워크인 PAN과 연동을 위한 서비스 및 미들웨어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PAN과 연동을 위하여 사용자의 위치나 네트워크 상황에 맞추어 중단 없는 최선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연결 제어 방식 단말기 제어 방식, 그리고 확장된 미들웨어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 게이트웨이와 소형 단말로 구성된 PAN을 흠과 연결하여 가정내외 네트워크가 통합된 가상 흠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편리한 가상 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비교 분석하였고, 기존의 흠 게이트웨이나 홈 서버에서 추가 되어야 할 내용별로 제안 하였다.

  • PDF

Home Network에서 ZigBee Binding 기술을 이용한 댁내.외 망의 연계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f how to expand th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of a home using ZigBee binding)

  • 이재현;권경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27-1130
    • /
    • 2006
  • ZigBee기술은 Home Automation, Building Automation 그리고 Sensor Network 분야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적인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ZigBee기술은 WPAN(Personal Area Network) 영역으로 그 범위를 제한하고 있어 Home Automation에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ZigBee의 binding기술을 확장하여 home network에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댁외 device들이 home server를 통하여 ZigBee의 device들과 어떻게 binding될 수 있는지를 보이고자 한다. 또한 위의 내용을 기반으로 home network의 automation을 댁외 망으로 확장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 PDF

고속 인터넷 접속 방법들에 대한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e High-speed Internet Access Method)

  • 김연숙;김길용;이정태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3201-3209
    • /
    • 2000
  •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은 우리의 생활 전반을 뒤흔들고 있다. 특히, 가정에서의 네트워크 환경은 댁내 통신망(Home Area Network)이라는 이름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댁내의 가전기기들이 점차 디지털화 되고 네트워크 기술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가정에서의 인터넷 사용 요구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속 인터넷 기법으로는 케이블 모뎀과 ADSL 모뎀이 있다. 또 앞으로는 FTTH까지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고속 인터넷 기법들을 가정에서 이용할 경우에 사용자들의 멀티미디어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제 제공받을 수 있는 성능을 측정하였다. 또 초고속 시험망을 이용하여 FTTH를 사용할 경우에 우리가 제공받을 수 있는 성능을 측정하였다.

  • PDF

국내 홈네트워크 서비스의 분류 및 공급 실태에 따른 홈네트워크건물인증제도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Home Network Services and Its Supplies by Construction Industry)

  • 송광철;황영삼;정유경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69-474
    • /
    • 2008
  • In the last decade many advanced home network services have been provided by construction industry, and many researches on the area have been carried out. One of the problems we are confronted with is that we do not have a standard classification scheme for home network services yet. In this paper a more stable classification scheme is suggested after comparative analysis of many different schemes in previous researches. More commonly highly attended service categories in the scheme is selected, and those are examined in terms of how commonly they are supplied by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later part of this paper the current home network building certification code is reviewed if the code complies with the highly attended categories in the classification scheme suggested in this paper. Some ideas to improve the current certification code is suggested by adding or optionally adding the highly attended categories.

  • PDF

UML을 이용한 흠 네트워킹 지원 게이트웨이 관리 서버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anagement Sever for the Gateway Supporting Home Networking Using the UML)

  • 권진혁;민병조;강명석;남의석;김학배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93-404
    • /
    • 2004
  • 최근에 일반 가정에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고, 인터넷이나 네트워크에 독립적으로 운용되던 가전 기기들이 네트워크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발전하고 있다. 이는 과거에 서브 네트워크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던 가정 자체가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로 되어가는 추세로 이어진다. 가정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통신규약들을 기존에 구축된 외부 네트워크(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홈 네트워크를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로 아여 이를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는 RG(Residential Gateway)가 필요하다. 그러나 내장형 시스템인 RG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를 제안하였다. 관리 서버의 시스템 구조를 통해서 하드웨어의 문제를 해결하고 각 기기들에 사설 IP를 할당하여 IP 부족 문제를 해결하였다. 원격에서고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서 도메인내의 모든 RG 및 정보가전들을 관리,감시,제어가 가능하고 HTTPS 프로토콜을 통해서 통신에 대한 보란 수준을 높이는 웹 기반의 접근 방법을 관리 서버에서 제공한다. <중략> 관리 서버의 UI는 UML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 모드로 접속하도록 설계하였다. 설계된 3가지 모드는 관리자 모드,RG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SNMP를 사용하고 있으며 관리 서버와 RG간의 폴링 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폴링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다중 쓰레드를 이용한 관리 서버와 RG간의 폴링 방법을 나타낸다.

  • PDF

차세대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end-to-end QoS 보장을 위한 DSON 구조와 서비스 모델 (DSON Architecture and Service Model for End-to-End QoS Guarantee in Next Generation Home Network)

  • 김도원;김응규;김양중;정일영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9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333-336
    • /
    • 2009
  • DSON is a service overlay network architecture that can guarantee end-to-end quality of service to home network area. DSON makes service possible to be provided dynamically. This paper gives service model and scenario using DSON architecture.

  • PDF

Cognitive Beamforming Based Smart Metering for Coexistence with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Lee, Keonkook;Chae, Chan-Byoung;Sung, Tae-Kyung;Kang, Joonhyuk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4권6호
    • /
    • pp.619-628
    • /
    • 2012
  • The ZigBee network has been considered to monitor electricity usage of home appliances in the smart grid network. ZigBee, however, may suffer from a coexistence problem with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In this paper, to resolve the coexistence problem between ZigBee network and WLAN, we propose a new protocol constructing a cognitive smart grid network for supporting monitoring of home appliances. In the proposed protocol, home appliances first estimates the transmission timing and channel information of WLAN by reading request to send/clear to send (RTS/CTS) frames of WLAN. Next, based on the estimated information, home appliances transmit a data at the same time as WLAN transmission. To manage the interference between WLAN and smart grid network, we propose a cognitive beamforming algorithm. The beamforming algorithm is designed to guaranteeing zero interference to WLAN while satisfying a required rate for smart metering. We also propose an energy efficient rate adaptation algorithm. By slowing down the transmission rate while satisfying an imperceptible impact of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receiver, the home appliance can significantly save transmit power.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ultiple antenna technique provides reliable communications for smart metering with reduced power comparing to the simple transmission technique.

스마트 홈을 위한 CAN 기반 화재 감지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CAN-based Fire Detection System for Smart Home)

  • 이경창;김정희;이홍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734-741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 network based fire detection system using CAN, in order to evaluate feasibility of home automation protocol for smart home. In general, because a traditional fire detection system has an analog transmission method with 4-20mA current, it has several shortcomings such as weakness to noise. Hence,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system, this paper presents the architecture of CAN based fire detection system and the design method of CAN communication network. Also, th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system is evaluated through an experimental testbed. Especially, CAN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low cost and easiness of implementation compared to Ethernet or ARCNET, which are low layer of BACNet. Therefore, if CAN is adopted as low layer of BACNet, the home automation system is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종단간 끊김없는 연결과 TCP 성능의 향상을 위한 무선 홈네트워크 플랫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ireless Home Network Platform for End-to-End Seamless Connection and TCP Performance Improvement)

  • 김병훈;탁성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295-1309
    • /
    • 2007
  •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기반의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s)을 사용하는 무선 홈네트워크에서는 모든 무선 단말간의 통신이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무선 단말이 음영 지역(Dead Zone)으로 이동하면 이동한 무선 단말과 액세스포인트간의 통신이 불가능하여 끊김없는 연결(Seamless Connection)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무선 홈네트워크 플랫폼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애드 혹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 홈네트워크 구조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지만, 애드 혹 모드 기반의 무선랜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기반 무선랜에 비하여 네트워크 용량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무선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애드 혹 라우팅 기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AODV 및 DSR 라우팅 기법은 무선 채널 정보를 참조하지 않고 네트워크 계층에서 독립적으로 라우팅을 수행하기 때문에 무선 채널의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없어 끊김없는 연결을 제공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종단간 끊김없는 데이터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ESCOD(End-to-end Seamless multi-hop COnnection based on Dual network mode) 기반의 무선 홈네트워크 플랫폼과 VLR(Virtual Link Routing) 기법을 제안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VLR을 탑재한 ESCOD 기반의 무선 홈네트워크 플랫폼은 기존의 AODV 및 DSR 라우팅 보다 낮은 패킷 전송의 실패율과 빠른 패킷의 평균 전송시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기존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만을 제공하는 무선 홈네트워크 플랫폼보다 넓은 통신 범위와 향상된 TCP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홈네트워크 구축현황 및 이용실태 조사연구 - 판교신도시를 중심으로 - (Field Survey on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Home Network - Focusing on Pangyo New Town -)

  • 임미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25-35
    • /
    • 2016
  • 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me network systems presently applied in multi-housing complexes and resident's usage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se systems and services as well as maintenance methods. Subjects were 27 housing complexes equipped with home network systems in west Pangyo area. The investigation methods of communal network systems were observed and photographed. Unit systems were investigated through photography, interviews, and observation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Wall-Pads by visiting one unit of each housing complex.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ost housing complexes that we investigated were built with high-grade IT infrastructure. Also, remote meter reading, electronic security, vehicle access, and building access systems were established. Wall-Pads with similar functions were installed in 23 housing complexes, excluding private rental housing complexes. (2) Even though people were well aware of the need for common systems within their housing complexes, only 10~20% of Wall-Pad menus were used. (3) Low utilization rates of home network stem from Wall-Pad menus which were user-unfriendly, and a lack of user training for the complex's common system and unit system. Therefore, to promote active use of home network systems, the systems must be diversified in accordance with use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Wall-Pad menus should be reorganized to be user-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