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el Brand Experienc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8초

호텔브랜드 체험이 브랜드신뢰, 브랜드애착과 브랜드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tel Brand Experience on Brand Trust, Brand Attachment and Brand Commitment)

  • 무시원;이기육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410-421
    • /
    • 2016
  • 본 연구는 감성 마케팅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오늘날, 호텔브랜드 체험을 기반으로 브랜드에 대한 체험적 요소가 브랜드자산인 브랜드 신뢰, 브랜드 애착 및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무적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설문조사를 통해 얻는 자료로 분석한 결과 몇 가지 의미 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경로분석을 통해 호텔브랜드 체험의 하위구성요소들이 브랜드자산인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감각체험, 감성체험, 행동체험, 지적체험은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호텔브랜드 체험에 따른 브랜드자산인 브랜드 신뢰, 브랜드 애착 및 브랜드 몰입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브랜드신뢰와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신뢰가 브랜드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호텔 경영자에게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호텔 공간의 브랜드화 환경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randed Environments in Hotel Spaces)

  • 이화경;안성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43-151
    • /
    • 2014
  • Nowadays, space branding becomes more important since it reflects and synthesizes the diverse experiences of the consumer.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present the new possibilities that space branding offers by analyzing the brand strategy an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branded hotels, which are being projected as constructed branded environments. By integrating the brand with visible or invisible elements of the hotel, such as unique space planning, service, and consumer experience, a branded hotel can be a good vehicle to reflect fast changing consumer lifestyles and trends; it enables the consumer to experience brands in his or her everyday life, and it conveys the overall image of the brand by considering the consumer's multi-sensual experiences. The study processed with theoretical research which is related to the hotel space and branded environment. Four brands were selected with distinct business area and brand strategy, and studied to analyze the strateg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nded environment in a branded hotel. In particular, the case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distinctiveness of the branded hotel's spatial design by comparing each brand's representative flagship store with the hotel. As a result, four characteristics of branded environments in branded hotels were identified, namely, strengthen brand image, consistent brand strategy, extend brand perception, spatialize brand experience. Armani emphasizes their consistent brand image by applying similar design methods in both retail stores and hotel spaces. IKEA, in contrast, applies not their design identity but their brand concepts like practicality, efficiency, and low prices. Pantone gives an expanded brand experience by using synesthetic sensual stimulation using their color system. Missoni mixes and composes their patterns and materials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and strengthens design possibilities and spatiality.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design methods to construct a branded environment in a branded hotel and offers new strategic directions for space branding.

체인호텔 기업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인지, 태도, 그리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rand Communication of Chain Hotel Group on Brand Awareness,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 김은정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4권2호
    • /
    • pp.31-46
    • /
    • 2023
  • Purpose: Brand communi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redibility of consumer behavior as it enhances brand equ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brand communication (firm-created communication, consumer-generated communication) on brand awareness, brand attitude, brand loyalty in the hotel business sector by applying the SOR theory (stimulus-organism-response theo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was analyzed in a quantitative way using the survey results of 400 customers who had experience of visiting hotels. In this study, SmartPLS 4.0 was used to evaluate the research model. The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verified. Result: Result was found that consumer-generated communic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wareness and brand attitude, whereas firm-created communica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wareness. In addition, brand awar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Finally, brand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Conclusions: This study redefines the concept of where chain hotel groups should focus when providing consumers with information about their brands and services. As a result, the conceptual framework of brand communication to increase new customer visits to the hotel brand has been expanded.

특급호텔 레스토랑의 체험 마케팅이 브랜드 개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Deluxe Hotel Restaurants on Brand Personality)

  • 김주영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3-4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 레스토랑에 있어서 체험 마케팅이 브랜드 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연구의 의도는 호텔 레스토랑에 있어서 체험 마케팅과 브랜드 개성의 요인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특급호텔 레스토랑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개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특급호텔브랜드 레스토랑 체험공간을 이용한 고객을 대상으로 세부 브랜드 개성 요인 도출과 호텔레스토랑 체험 도출, 브랜드개성과 전략적 체험의 상관관계의 연구 과제를 실증조사 및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체험 마케팅에 있어서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의 다섯 가지 요인 중 행동, 관계의 요인만이 브랜드 개성의 역량, 호감, 활기, 세련, 강인의 다섯 가지 요인 중 역량, 호감, 활기, 세련의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강인요인은 기각 되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다른 선행연구들과의 브랜드 개성 차원을 비교하고 향후 연구에 호텔 레스토랑에 적용할 수 있는 브랜드 개성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

호텔 웹 광고의 광고속성이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dvertising Attributions on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 Emphasis on Hotel Web Advertisement)

  • 김연미;한진수
    • 지식경영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6
    • /
    • 2011
  • This study was motivated by consideration of advertising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of hotel customers in the situation that people can experience in web advertisements more easily and quickly through four main media. We intends to propose strategic web advertising marketing plan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 among hotel web advertising attributions,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s. In conclusion, in the situation that hotel service industry endeavors a lot to attract young customers, according to gentrified consumption culture and changes in an environmental tren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data to establish web advertising marketing strategies to show trendy brand images to hotel customers, especially consumers of N Generation using official websites of hotels.

  • PDF

프랜차이즈 레스토랑과 국내 호텔 식음료부문 브랜드제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branding Determine FactorsBetween Franchise Restaurant and Hotel F&B Department in Korea)

  • 주승우;이상윤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2권1호
    • /
    • pp.134-151
    • /
    • 2011
  • 기업은 예측 불가능한 변화에 대하여 신개념의 접근 방법을 준비하여야만 하는 시대에 살게 되었고, 다양한 시장 환경의 변화로부터 도전을 받고 있다. 기업들은 자사의 역량을 핵심 분야에 집중시키고 나머지 부분들은 제휴를 통해 기업비용의 절감을 실현시키는 방법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호텔의 식음료 상품역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기대가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식음료 업장의 운영자들은 고객 가치 증진을 위해 가격의 하향 책정과 품질 향상이라는 양자택일의 상황에 놓여 있다. 그러나 대다수 의 호텔들은 대기업에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이미지 유지를 위해 을 가격의 하향 책정을 택하여 손실을 감수하고 있는 현실에서 국내 호텔 운영자들에게 '브랜드 제휴'가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매출을 증진시키는 하나의 해결책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국내 중가 호텔 경영자들에게 브랜드 제휴 결정 요인을 제시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브랜드 제휴를 수행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을 통한 디자인호텔의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Design of Hotel Design through Brand Marketing Collaboration)

  • 박시윤;김정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52-62
    • /
    • 2014
  • The rapid growth of economy improves not only the life quality of people in this modern society but also standards of value in connection with how those people would spend money as they engage in variou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That being the case, hotels are currently changing into places of new concepts depending on those new lifestyles of these people, and in those new places, people can entertain and experience as enjoying cultures. The marketing collaboration of the hotels with brands can be used as a more inclusive way to enhance brand images. In addition, as having infinite possibilities of the collaboration's being able to create a new-concept space with an identity of a brand included, this collaboration makes it possible for the design hotels to decorate their interior spaces differently from those of other hotels. In the light of that, the brand collaboration is basically divided into three groups which are the fashion collaboration, the technique collaboration and the designer collaboration, and the brand collaboration is also able to express the interior spaces of the design hotels as working on those six components, such as reproduction, events, alteration, messages, culture and image. After all, through the brand collaboration marketing, this thesis expects an interior design of a new-concept design hotel which would play a role as a complex cultural space.

호텔광고 태도와 브랜드이미지가 고객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tel Advertising Attitude and Brand Image toward Customers' Purchase Intention)

  • 한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181-19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호텔기업의 호텔광고 태도와 브랜드이미지가 고객의 구매의도, 재구매의도, 계속구매의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에 있어서는 2015년 4월 1일부터 2015년 4월 30일까지 서울시내에 위치한 5성급 호텔인 L호텔, I호텔, W호텔, S호텔, H호텔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총 306부의 설문지를 유효표본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호텔광고에 대한 태도 요인, 즉, '느낌 및 설득적 태도'는 구매의도, 재구매의도, 구매계속의도에 있어서 각각 1%, 5%, 1%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명성 및 유용적 태도'에 있어서는 구매의도, 재구매의도에는 각각 1%, 5%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매계속의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호텔의 브랜드이미지인 '정서적 브랜드 이미지'와 '물리적 브랜드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서적 브랜드 이미지'와 '물리적 브랜드 이미지' 요인 모두 구매의도, 재구매의도, 구매계속의도에 각각 1%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호텔기업은 각 호텔의 특성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설득력 있고 유용한 호텔광고를 만들어야 하며, 타 호텔과 구별되는 서비스 및 새로운 호텔상품 기획 등을 통한 차별화 마케팅이 필요하다.

커피전문점의 문화 마케팅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카페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ultural Marketing on Customer Satisfaction of Coffee Shops: Focused on Jeju Island Cafe)

  • 이진주;왕채연;현미희;한상호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0권1호
    • /
    • pp.33-42
    • /
    • 2019
  • Purpose - Since the number of cafés operated by using cultural marketing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increasing,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ultural marketing, which is a different strategy of specialty coffee shops, focusing on Jeju Isl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itiv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brand image on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cultural market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ultural marketing of specialty coffee shops, and how the positiv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brand image brought through cultural promotion, culture support, cultural support, cultural enterprise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of this study, Jeju residents who have experience using cultural marketing conducted in coffee shops in Jeju Island are targeted. The cafe in Jeju area, which runs from April 4 to April 14, 2018. A total of 1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the final 100 copies were used as final empirical analysis data. Result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motion and culture business activities have positive influence on brand image. Second, production and cultural business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Third, brand image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service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Conclusions -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as: First, if you want to grow into a cultural enterprise in the province by enhancing your brand image, you need to prioritize cultural direction and business direction for cultural companies among sub-factors of cultural market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brand image considering the composition of the stores in the city, the facilities and the atmosphere, and the consumer tendency such as product and customer age.

이성적 행동이론을 이용한 호텔이용의향의 결정요인에 대한 대안적 접근 (An Alternative Approach to Determinants of Hotel Patronage Intention Based on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 윤성준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1-21
    • /
    • 2007
  • 본 연구는 이성적 행동이론의 모형을 토대로 정보탐색과 브랜드이미지가 호텔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연구의 주요 목적은 이성적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호텔에 대한 태도가 이용의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또한 이성적 행동이론에 대한 제한점을 고려하여 대체변수로써 브랜드이미지가 호텔태도와 이용의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브랜드 이미지가 주관적 규범을 대체 할 경우 이성적 행동이론의 설명력에 유의한 기여를 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호텔이용의향에 있어서 정보탐색의 유형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세 가지 속성요인 즉, 인적서비스와 물리적 시설, 정보화로 구분한 호텔의 인지적 평가요인 중에서 특히 인적서비스와 물리적 시설이 호텔이용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이미지는 호텔이용의향 뿐만 아니라 호텔에 대한 태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브랜드 이미지가 이성적 행동이론을 개선해 주는 역할을 한다는 분석결과는 이성적 행동이론의 주관적 규범이 갖는 제한점을 극복하여준다는 면에서도 중요성을 갖는다. 호텔이용을 위한 정보탐색과정율 통해 고객은 TV. 라디오, 신문, 잡지, 인터넷 같은 외적 정보원을 호텔 이용결정에 있어서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